-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자극성 액체의 주성분인 allyl isothiocyanate, capsaicin 및 dihydrocapsaicin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로 정량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호용인 목적이지만 스프레이 약제의 유해성과 품질관리는 또 다른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위해 시판 유통되고 있는 호신용 스프레이로부터 자극성 액체의 pH, 약제의 세척을 위한 세제의 용해정도, 기타 물질의 사용유무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극성 성분으로 이용되는 allyl isothiocyanate, capsaicin 및 dihydrocapsaicin의 함량을 GC-MS 로 정량하였다. 약제의 pH는 5.7 정도로 약산성이었고, 세제를 사용할 경우 약제의 유화되는 정도가 우수하였고, 실험에 사용된 액체에는 형광물질 및 유해 유기용매가 포함되지 않았다. 이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실제시료 3가지에 포함된 성분은 한 가지 제품에서는 allyl isothiocyanate 단일 성분[47,600 mg/kg (47.6%)]이었고, 나머지 두 제품은 capsaicin[228 mg/kg~368 mg/kg (1.14%~1.84%)]과 dihydrocapsaicin [224 mg/kg~414 mg/kg (1.12%~2.07%)] 혼합성분으로구성되어 있었다.
총포·도검·화약류 등 단속법 제12조.
J. M. Lundberg and A. Saria, Nature, 302, 251-253 (1983).
R. Gamse, Arch. Pharmacol., 320, 205-216 (1982).
R. M. Virus and G. F. Gebhard, Life Sci., 25, 1273- 1284 (1979).
G. Barbero, M. Palma and C. Barroso, J. Agric. Food Chem., 54, 3231-3236 (2006).
M. G. Ettlinger, G. R. Dateo, B. W. Harrison, T. J. Mabry, C. P. Thompson, Proc. Natl. Acad. Sci. U.S.A. 47, 1875-1880 (1961).
A. Kjar, Acta. Chem. Scad., 22, 3324-3326 (1968).
K. I. Seo, K. S. Kang and K. H. Shim, Korean J. Food Sci. Technol., 29(1), 51-56 (1997).
J. C. Mitchell and W. P. Jordan, Raphanus sativus. Br. J. Dermatol., 91, 183-189 (1974).
B. Ballantyne and D. W. Swanston, Arch. Toxicol., 40, 75-95 (1978).
L. H. Horsley, “Advances in Chemistry Series”, No 6, 73, Washingtone 1952.
M. Peush, E. Muller-Seitz, M. Petz, A. Muller and E. Anklam, Z Lebensm Unters Forsch A, 204, 351-355 (1977).
A. Saria, F. Lemberck and G. Skofitsch, J. Chromatogr., 208, 41-46 (1981).
A. Krajewska and J. Powers, J. Chromatogr., 409, 223- 233 (1987).
P-A. Araceli, R-M. Erika and A-S. Luis, J. Chromatogr. A., 1216, 2843-2847 (2009).
S. C. William, L. D. Michael, J. K-V. Melissa and C. A. Bruce,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58, 173-180 (2010).
Mi-Young Ham, J. Beau. Tricho., 4(1), 25-3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