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718
This study aims to explore influences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TRs), child’s self-esteem (SE), prosocial behaviour (PB) on academic performance adjustment (APA)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633 cases drawn from the 10th data collected for the PSKC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loseness in STR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SE and PB, and conflict in STR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PB. However, conflict did not influence SE, and SE did not influence PB. Second, PB showed a partially mediated positive effect when closeness influenced APA. And PB had a fully mediated negative effect when conflict did. However, SE did not serve as a mediator for the influence of STRs on APA.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the professional support programs to create and maintain intimate and positive STRs and to promote PB through empowering relationships, empathy, and social skills programs.
김수정, 곽금주 (2010). 가정의 소득 수준에 따라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변인 간 관련성에서 차이: 양육효능감, 자아개념 그리고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9(3), 85-105.
김원경, 권희경 (2019). 한국 아동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심리, 사회환경, 어머니 양육행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2(4), 1-19.
김은주, 이승희 (2013). 초등학생 자아탄력성과 정서행동문제의 관계 및 학업성취수준별 차이. 정서․행동장애연구, 29(2), 25-44.
김진미, 홍세영 (2019).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영향 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6), 699-719.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남궁기순, 김기선, 이재영, 김지혜 (2019). 아동의 공감능력과 교사와의 관계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6(4), 189-211.
노경섭 (2014).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통계분석. 서울: 한빛아카데미.
도현심, 신정님 (1999). 교사 폭력과 남자중학생의 학교생활의 질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교과교육학연구, 3(1), 36-52.
민미희 (2018).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 긍정적 양육,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성별간 다집단 분석. 육아지원연구, 13(4), 101-126.
박성혜, 윤종희 (2013). 초중등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개인적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70, 147-169.
박아청 (2007). 에릭슨의 인간형성론의 발달이론적 구조에 관한 일고찰. 사회과학논총, 26(2), 143-163.
방다미 (2005). 교사 학생간의 인간관계와 자아존 중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전북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혜전, 노성향 (2018). 아동의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10(4), 55-70.
송승희, 장경은 (2015). 유아의 정서적 공감능력, 어머니의 공감능력 및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한국아동권리학회지, 36(3), 59-75.
신혜영, 김지현 (2016). 어머니애착, 또래애착 및 교사와의 갈등관계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아동의 행복감. 한국생활과학회지, 25(5), 545-558.
신효정, 최현주 (2016). 청소년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건강,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 교사-학생관계,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3(1), 31-54.
오한나, 김종훈, 이희연 (2018).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0), 29-50.
원재순, 김진숙 (2016).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청소년학연구, 23(9), 117-205.
이승미, 이경님 (2008). 남녀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 (2), 1-12.
이지언, 정익중, 백종림, Byambaakhuu, B. (2014).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아동복지학, 47, 125-155.
이진화 (2019). 교사-아동관계, 아동의 강점/난점이 초등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23(2), 81-92.
하영희, Edwards, C. P. (2004). 청소년의 공격성과 관련변인 간의 인과관계: 친사회적 행동, 감정이입, 자기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5(2), 121-132.
장혜진, 김은설, 송신영 (2014). 아동 개인 및 가정 환경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학기 초 학교적응차이 연구. 초등교육연구, 27(2), 95-122.
정옥분 (2004).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정이나 (2015).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지성애, 정대현 (2006). 초등학교 일학년용 학교적응 척도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7(1), 1-15.
최옥희, 김용미, 김영호 (2009). 생태학적 변인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적응,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2(4), 133-160.
홍명숙, 이수영 (2017).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경영연구, 4(1),183-211.
황성혜 (2010). 청소년 학교 부적응의 발달궤적 연구 -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 청소년학연구, 17(4), 211-239.
Awoyemi, A. E., & Dombo, D. O. (2016). Influence of Parenting Styl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of Secondary School Adolescents in Bayelsa State, Nigeria. IFE Psychologia, 24(2), 10-16.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Coplan, R. J., Liu, J., Cao, J., Chen, X., & Li, D. (2017). Shyness and School Adjustment in Chinese Children: The Roles of Teachers and Peer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32(1), 131-142.
Demirtaş-Zorbaz, S., & Ergene, T. (2019). School Adjustment of First-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Effects of Family involvement, Externalizing Behavior, Teacher and Peer Relations. Children and Youth Service Review, 101, 307-316.
Epstein, S. (1979). The Ecological Study of Emotions in Humans. In P. Pliner, K. R., Blankstein, & I. M. Spigel (Eds.), Advances in the Study of Communication and Affect: Vol. 5. Perception of Emotions in Self and Others (47-83). New York: Plenum Press.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Erikson, E. H. (2014). 유년기와 사회 (송제훈 역). 고양: 연암서가 (원저 1994년 출판).
Goodman, R. (1997).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a Research Not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8(5), 581-586.
Harter, S. (1999).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a Developmental Perspective. New York: Guilford.
Hay, D. F. (1994). Prosocial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5, 29-72.
Kiuru, N., Laursen, B., Aunola, K., Zhang, X., Lerkkanen, M., Leskinen, E., Tolvanen, A., & Nurmi, J. (2016). Positive Teacher Affect and Maternal Support Facilitate Adjustment after the Transition to First Grade. Merrill-Palmer Quarterly, 62(2), 158-178.
Mantzicopoulos, P. Y. & Neuharth-Pritchett, S.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to assess Head Start Children’s Appraisals of Teacher Suppor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1, 431-451.
MCS. (2008). MCS Child Paper Self Completion Questionnaire. Retrieved from http://www.cls.ioe.ac.uk/page.aspx?&sitesectionid=957&sitesectiontitle=Surveys+and+documentation
Perret, P., Ayad, M., Dauvier, B., & Congard, A. (2019). Self-and Parent-rated Measures of Personality are related to Different Dimensions of School Adjustment.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70, 182-189.
Pianta, R. C. (2001).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Odessa, FL: Personality Assessment Research.
Pianta, R. C. & Stuhlman, M. W. (2004).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uccess in the First Years of School. School Psychology Review, 33(3), 444-458.
Richman, J. M., Bowen, G. L., & Woolley, M. E. (2004). School Failure: an Ecointeractional Development Perspective. In M. W. Fraser (Ed.),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An Ecological Perspective (133-160). Washington DC: NASW Press.
Swanson, J., Valiente, C., Lemery-Chalfant, K., & O’Brien, T. C. (2011) Predicting Early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Social Competence, and Physical Health From Parenting, Ego Resilience, and Engagement Coping.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31(4), 548-576.
Wentzel, K. (2009). Student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s Motivation Contexts. In K. Wentzel, & A. Wigfield (Eds.). Handbook of Motivation at School (301-322). New York & London: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