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799-7995
  • E-ISSN 2951-2069

‘대순’의 용어적 개념과 연구 경향

The Terminological Concept of Daesoon and Its Research Trend

대순종학 / Journal of Daesoon Studies, (P)2799-7995; (E)2951-2069
2022, v.2, pp.65-84
https://doi.org/10.23209/jods.2022.2.65
최치봉(Chi-bong Choi) (아시아종교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대순진리회라는 명칭에서 이 ‘대순’이라는 용어는 대순진리회의 근간이자 종단을 대표하는 개념으로, 교리를 이해하는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종단의 경전이 번역되어 해외로 소개되면서 관련된 학술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대순진리회’, ‘대순사상’이라는 용어는 점차 국내외적으로 널리 알려지고 있는 상황이다. 대순이 종단의 정체성을 대변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용어 자체에 세밀한 분석과 이에 따른 의미나 개념의 분석은 더 활발하게 이뤄져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대순은 크게 “구천상제의 삼계대순에 대한 신앙적 의미”, “삼계대순, 개벽공사의 진리적 의미”, “천지공사의 내용을 순회ㆍ연포함의 수행적 의미”, “형이상인 무극, 태극의 본체적 의미”로 정리해볼 수 있다. 대순사상은 대순의 의미를 드러내는 ‘개념의 틀’로, 대순의 개념을 바탕으로 논리적 정합성을 가진 통일된 체계를 구축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대순의 의미에서 확장될 수 있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사고 내용을 확대 재생산할 수 있어 한다. 하지만 이러한 초창기에 종지, 신조, 목적을 중심으로 한 대순사상에 대한 체계화ㆍ개념화에서는 대순의 “형이상인 무극, 태극의 본체적 의미”는 온전히 드러나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기존에 종지, 신조, 목적을 중심으로 한 체계화는 종교적ㆍ신앙적 경향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전반적인 대순사상의 논의가 학술적 범주인 본체론, 인성론, 수양론 등에서 대순의 의미 접근을 난해하게 만든 경향이 있다. 대순의 개념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개괄해보면, 연구의 시작은 대순의 신앙적 측면에서 인격적 상제의 초월성과 주재성을 강조하는 논문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후 대순사상의 연구가 본격화됨에 따라 인격적 상제와 이법성에 대한 종교학적 논의가 이어졌다. 그 뒤 대순에 대한 무극ㆍ태극의 본체적 함의가 논의되면서 대순사상은 학술적으로 더욱 정교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대순, 대순사상, 본체, 인격성, 이법성, 무극, 태극

Abstract

The term, ‘Daesoon’ in Daesoon Jinrihoe is the foundation of the order and its representative concept, which leads to the core to understand the doctrine. As The Canonical Scripture (典經) of Daesoon Jinrihoe was published in English and introduced abroad, the academic events related to the publication became active. Accordingly, the terms such as Daesoon Jinrihoe or Daesoon Thought have become widely known to the academic circles home and abroad. Considering Daesoon represents the identity of the order, an attempt to analyzing the meaning or concept of the term should require more attention. Daesoon can be classified into the meanings of belief on the Great Itineration of the three realms by th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the dharma of the Great Opening, the cultivation including the itineration and spread of the Reordering Works, and the substantial and metaphysical Limitless and Great Ultimate. Daesoon thought is a frame of the concept that reveals the true meaning of Daesoon, which enable to establish the reasonable system in consistenc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generate and expand the systematic and rational thought in terms of the Great Itineration. However, an attempt to systemizing and conceptualizing such Daesoon thought based on the tenets, creeds, and objectives seems to somewhat have a limit in revealing the substantial meaning of metaphysical Limitless and Great Ultimates. The system based on the existed tenets, creeds, and objectives has been established in religious tendency. Thus, the discussion regarding Daesoon thought in general has been prone to making the approach to the meaning of Daesoon difficult in terms of the theories of substance, human nature, and cultivation. Summarizing the existed researches related to the concept of Daesoon, the mainstream of study includes the transcendence and presiding of personified supreme god. Henceforth, as the research of Daesoon thought accelerated, the comparative studies of religion, or philosophy regarding the personified supreme god and rationality have continued. Then, the implication about the Substance of Limitless and Great Ultimate has been discussed. As a result, the academic approach to Daesoon thought has been conducted more elaborately.

keywords
Daesoon, Daesoon thought, Substance, personality, dharma of principle, the Limitless (Mugeuk), the Great Ultimate (Taegeuk)


상단으로 이동

대순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