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799-7995
  • E-ISSN 2951-2069

대순사상의 우주관 연구 : 시간관과 공간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smology of Daesoon Thought: Focused on time and space

대순종학 / Journal of Daesoon Studies, (P)2799-7995; (E)2951-2069
2022, v.2, pp.85-117
https://doi.org/10.23209/jods.2022.2.85
이재원(Jae-won Lee) (대순종교문화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대순진리회(大巡眞理會)의 우주관(宇宙觀)을 시간(時間)과 공간(空間)의 측면에서 조망하였다. 대순사상이란 대순진리회의 사상을 이르는 말로 정산 조철제(鼎山 趙哲濟, 1895~1958)에 의해 정립된 것이다. 대순사상에서 우주는 신으로 가득차 있고 해당하는 신들의 작용으로 존재하는 곳이다. 이러한 신으로 구성된 세계는 엄밀한 질서가 존재한다. 그 정점에 서있는 이가 증산이다. 증산의 신격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姜聖上帝, 이하 구천상제)이다. 구천상제란 이 우주를 모든 면에서 총관장하는 최고 신격으로 전지전능한 하느님의 존칭을 의미하는 것이다. 「진법주(眞法呪)」를 살펴보면 대순진리회 신들의 체계를 알 수 있다. 구천상제를 정점으로 해서 각 사자들까지 이어지는 일관된 구조인 것이다. 대순사상의 시간관과 공간관을 대변하는 24절후 신명과 28수 신명의 경우를 봐도 이들에게 순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순사상의 관점에서 보면 시간의 변화도 그냥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신명의 교대로 되는 것이고 그 신명의 교대에 종교적 의례인 절후치성이 따른다. 또한, 24절후, 28수 신명을 통해 증산의 대중국(對中國)인식과 이들 중국의 신들이 대순진리회의 주문에 편입된 이유를 검토하였다. 증산의 대중국인식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그의 중국공사를 대해 알아봐야 한다. 그의 중국공사는 해원과 보은의 측면에서 조망할 때 제대로 된 해석이 가능하다. 증산의 천지공사의 과정을 보면 상황에 대한 증산의 객관적인 인식이 우선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 인식은 해원과 보은의 측면에서 재해석되고 이를 증산의 언명으로 공표하는 것이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거쳐 천지공사는 확정된다. 증산은 중국공사를 통해 이미 아주 오래전부터 조선이 중국을 섬겨 왔으므로 이제 중국의 신들이 조선을 섬기는 것이 보은의 차원에서 마땅하다고 진단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순사상의 우주관은 증산이 동양의 전통적인 우주론을 해원과 보은의 차원에서 종교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단순히 전통적 인식을 계승한 차원이 아니라 증산에 의해 새롭게 재해석된 우주관이라고 할 수 있다. 증산 자신이 주체가 된 우주론인 것이다.

keywords
우주론, 구천상제, 천지공사, 해원, 보은

Abstract

This paper overlooks the cosmology of Daesoon Jinrihoe (大巡眞理會, the Fellowship of Daesoon Truth) in the aspects of time and space. Daesoon thought is the term indicating the thought of Daesoon Jinrihoe, and is established by Jeongsan Jo Cheol-Je (鼎山 趙哲濟, 1895~1958). The universe is full of divine beings, and exists by each action. The world consisting of these divine beings have strict rules, and the one standing in the peak is Jeungsan. The divinity of Jeungsan is Gucheon Eungwon Nwehseong Bohwa Cheonjon Kangseong Sangje [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姜聖上帝, thereinafter Gucheon Sangje 九天上帝, th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Creation through His Thunderbolt, the Originator with Whom All Beings Resonate]. Gucheon Sangje (上帝, the Supreme God) means the most divinity directing overall universe in every aspect, and also the title of honor for almighty god. In Jinbeob-ju (眞法呪, the Incantation of Perfected Dharma), the system of Daesoon Jinrihoe’s gods is explained. With Gucheon Sangje as the top, a coherent structure to each envoy is shown. We can acknowledge that they have a certain order, as we look at 24 Jeol-hu-shin-myeong (節候神明, Divine Generals of the Twenty-Four Seasonal Divisions) and 28 su shin-myeong (28宿神明, Divine Generals of the Twenty-Eight Constellations) who represent views of time and space in Daesoon thought. In the view of Daesoon thought, the change of time does not happen by itself, but by the rotation of shin-myeong (divine beings), and jeol-hu-chi-seong (節候致誠, devotional offerings for the seasonal divisions), the religious ceremony, follows to it. Also, the paper examines Jeungsan’s perception towards China and the reason why these Chinese divine beings were included in the incantation of Daesoon Jinrihoe through 24 jeol-hu 28 su shin-myeong. An attempt to knowing Jeungsan’s perception towards China should require one to look at his Reordering Work on China (中國公事) first. This Reordering Work may have a correct interpretation when viewed in grievance-resolution (haewon 解冤) and reciprocation of gratitude (boeun 報恩). Such awareness of circumstances should be reinterpreted on the perspective of reciprocation for gratitude and reveal it by Jeungsan’s order. Through this process, his Reordering Work is established. Jeungsan diagnosed that because Joseon (朝鮮) had been serving China from long time ago, in turn, it is appropriate that Chinese divine beings serve Joseon as a reward. The cosmology of Daesoon thought is Jeungsan’s religious reinterpretation of oriental traditional vision of universe in aspects of grievance-resolution and reciprocation of gratitude. It is not only succession of traditional perception, but also the reinterpreted vision of the universe by Jeungsan. In other words, it is the cosmology in which Jeungsan himself becomes the subject.

keywords
Cosmology, th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Gucheon Sangje),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Cheonji gongsa), grievance-resolution (haewon), reciprocation of gratitude (boeun)


상단으로 이동

대순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