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799-7995
  • E-ISSN 2951-2069

강증산의 해원상생과 동아시아 생명철학의 지향점

Kang Jeungsan’s Grievance-Resolution & Withstanding for Mutual Beneficence, His Direction of the East Asian Philosophy of Life

대순종학 / Journal of Daesoon Studies, (P)2799-7995; (E)2951-2069
2022, v.3, pp.47-67
https://doi.org/10.23209/jods.2022.3.47
차선근(Seon-keun Cha) (대진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19세기 후반에 등장했던 생명철학[philosophy of life]은 20세기 들어서 쇠퇴했다. 내밀하고 개인적인 데다가 비형식적ㆍ체험적ㆍ심리적인 색채가 강하다는 비판을 극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 생명공학과 인공지능의 발달은 생명에 대한 진보된 철학적 성찰을 우리에게 요구하고 있다. 생명철학에 대한 논의를 다시 시작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다만 그 방법은 과거와는 달리 객관적이고 자기 성찰적(self-reflecting)이며 학술적이어야 한다. 동아시아의 사상에는 생명철학 논의의 장에 들어가야 할 내용들이 작지 않을 것이다. 이 글은 그 가운데 하나가 생명체가 가지는 갈등과 원한을 조명하고 그것을 해소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한 주장은 한국의 강증산에 의해 전개되었다. 증산은 인간과 만물이 모두 멸망의 위기에 빠져 있다고 보고, 그 원인을 상극과 그에 따른 원한으로 파악했다. 이러한 문제 진단에 따라 증산은 폭력이 아닌 상생을 전제로, 상생을 목표로, 서로 원한을 풀고 풀어주어야 한다는 해결책을 내어놓았으니, 그것이 바로 해원상생(解冤相生)이다. 그의 대표적인 종교 활동인 천지공사(天地公事)의 주제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증산의 해원상생 사상을 주제로 하는 생명철학은 오늘날 가해자-피해자 문제에도 적절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가해자와 피해자는 각자가 서로 살리는 위치에 있음을 자각하도록 유도하고, 그러한 상생을 바탕으로 개인의, 사회의, 그리고 국가의 정의를 바르게 세워나가는 것이 해원상생 생명철학이기 때문이다.

keywords
생명철학, 강증산, 대순진리회, 원한, 해원상생, 가해자-피해자 문제

Abstract

Philosophy of life which emerged in the late 19th century declined in the 20th century. This is because it failed to overcome the criticism that was secretive and private as well as informal, empirical, and psychological. However, cutting-edge bio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forced us to philosophically contemplate about life in depth. This is the reason why we have no choice but bring back that issue. Compared with the past, the method to carry this out has to be just object, self-reflecting, and scholarly. In East Asian thought, there will be no small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discussion of philosophy of life. This article believes that one of them should be to shed light on the conflicts and grievances of life and resolve them. Such an argument was developed by Kang Jeungsan of Korea. He thought all of human beings and things were in danger of annihilation and apprehended that it had resulted from mutual contention and grievances caused by it. According to his diagnosis for the problem, Jeungsan placed mutual beneficence under the premise and drew the solution of the grievance-resolution for one another with the aim of mutual beneficence.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one of his notable religious activities, were precisely focused on such grievance-resolution and withstanding for mutual beneficence. The philosophy of life, which is based on grievance-resolution and withstanding for mutual beneficence, can be an appropriate solution to the perpetrator-victim problem today.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are led to be aware of themselves that they are on the position of saving each other’s life. Based on this mutual beneficence, establishing the justice of an individual, the society, and the nation is just philosophy of life in the grievance-resolution and withstanding.

keywords
philosophy of life, Kang Jeungsan, Daesoon Jinrihoe, grievance, grievance-resolution and withstanding for mutual beneficence, the problem of a perpetrator and a victim


상단으로 이동

대순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