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799-7995
  • E-ISSN 2951-2069

대순사상의 공부론 고찰

A Study on the Holy-Works Theory of Daesoon Thought

대순종학 / Journal of Daesoon Studies, (P)2799-7995; (E)2951-2069
2023, v.5, pp.55-79
https://doi.org/10.23209/jods.2023.5.55
나권수(Kwon-soo Na) (대진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논문은 대순사상의 공부론에 대한 시론적 연구로서 공부라는 용어가 사용된 용례를 분석하고 그 의미 요소를 본래적 지평에서 이해하는 데 있다. 공부라는 말은 송대의 유가와 불교 경전에서 드러나기 시작하여 한국 문화에서는 고려 말에서부터 유입 형성되었다.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는 문명의 보고(寶庫)로 우리의 언어생활 속 전반에 뿌리내려 지극히 보편화된 일상어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오늘날의 공부는 대개 지식의 축적이라는 소박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반면, 『전경』의 용례는 47건으로 여기에는 특정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심신으로 행하는 수행, 학습, 의례 등의 모든 행위를 의미하는 공부의 전통적 의미가 충실하게 보존되어 나타난다. 예컨대 증산, 정산, 우당의 공부와 종도 및 수도인의 공부가 중층적이고 다채롭게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대순사상의 공부는 증산의 시루산 공부와 대원사 공부, 그리고 정산의 오십년공부종필과 그것으로 귀결된 시학ㆍ시법 공부에서 그 단초를 찾을 수 있다. 증산과 정산의 공부가 천지공사와 도수를 보는 것으로 신명계의 질서를 조화하고 천지의 운행과 구조를 조정하는 행위를 의미한다면, 시학ㆍ시법 공부는 정산과 우당에 의해 그 법방이 정해진 공부로 주송 수행으로서의 의례를 의미한다. 무엇보다 시학ㆍ시법 공부는 증산의 유지와 정산의 유법, 그리고 우당의 유훈을 받드는 데 동참한다는 신념을 형성하여, 1991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쉼 없이 지속되는 공부의 동력으로 기능하고 있다. 말하자면, 대순사상의 공부론은 ‘믿는 것’에서 그 믿음을 ‘실천하는 것’으로 승화하여 주어진 세계로의 진입이 아닌 함께 만들어가는 세계를 지향한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keywords
공부론, 시루산 공부, 대원사 공부, 시학, 시법, 천지공사, 오십년공부종필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usage of holy works (gongbu), and understand its significant elements from their original context as a temporal research in relation to the holy-works of Daesoon Thought. The term ‘gongbu’ emerged in the Confucian sphere and Buddhist scriptures during the Song dynasty, and it was introduced to Korea at the end of the Goryeo period. Over time, the term became a conventional expression embedded in our practical language, spanning both past and present as a cultural repository. However, in contemporary times, the term ‘gongbu’ is often used with a more universal meaning, referring to ‘accumulated knowledge.’ In the meantime, the usage of The Canonical Scripture amounts to 47, encompassing entire physical and mindful activities such as cultivation, learning, ritual, etc., all aims at achieving a specific goal. The traditional meaning of these activities appears to be well-preserved. For instance, the holy works of Jeungsan, Jeongsan, and Wudang, as well as those of the disciples and devotees, are utilized in diverse ways. Specifically, the holy works in Daesoon Thought can be concretely identified in Jeungsan’s Holy Works at Mount Steamer-on-Cauldron (Siru-san) and Great Court Temple (Daewon-sa), as well as Jeongsan’s completion of a 50-year holy works, which resulted in the holy works in Sihak (Serving the Teaching) and Sibeop (Serving the Dharma). The holy works of Jeungsan and Jeongsan involve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and re-calibrate the Degree Numbers (dosu), representing acts that harmonize the order of the divine realm, and regulate the operation and structure of Heaven and Earth. On the other hand, the holy works of Sihak and Sibeop constitute a set of practices determined by Jeongsan and Wudang, signifying a ritualistic performance through reciting incantations. Above all, the holy works of Sihak and Sibeop form a belief in participating in the maintenance of Jeungsan’s will, the virtuous practices of Jeongsan, and the teachings of Wudang, serving as the driving force behind continuous holy works from 1991 to the present day. In essence, the theory of holy works in Daesoon Thought emphasizes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ransitioning from ‘belief’ to ‘practical application,’ aspiring not just to enter the given world but to co-create a world together.

keywords
theory of Holy Works, Holy Works on Mount Steamer- on-Cauldron (Siru-san), Holy Works at Great Court Temple (Daewon-sa), Sihak (Serving the Teaching), Sibeop (Serving the Dharma),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completion of 50-year Holy Works


상단으로 이동

대순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