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2733-6123
- E-ISSN 2799-3426
2019년 봉준호 감독의 영화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 모티브인 '수석 水石'은 비판인종이론 (CRT)의 '교차성' 개념이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상당 부분 드러낸다. 선비의 돌인 수석은 현대 한국에 여전히 존재하는 유교 문화의 다양한 양상들을 영화를 통해 굴 절시키는 프리즘 역할을 하며, 이는 비판인종이론으로 통해 더 자세히 분석할 수 있다. 특히 본 논문은 수석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해석학 이론의 ‘의미 과잉’ 및 ‘지평의 융 합,’ ‘근본적 가치와 뿌리 패러다임’이라는 문화 인류학 개념을 사용한다. 이러한 고려 사 항은 우리의 범문화적 관점을 양방향으로 확장하고 학제 간 및 문화 간 분석과 종합을 고양시키기 위한 교차연구를 촉진할 수 있다.
The ‘Scholar’s Stone’ (Suseok수석 水石), which is used as an extensive and pervasive motif in Bong Joon-ho’s 2019 film, reveals a good deal of what the concept of ‘intersectionality’ in Critical Race Theory (CRT) seeks to uncover. The Scholar’s Stone functions also as a prism to see refracted through the movie the various hues and colors of Confucian culture still present in contemporary Korea, and these in turn can be further analyzed using aspects of CRT. To ground this thesis, I employ the established cultural anthropology concepts of ‘fundamental values and root paradigms’ along with ‘excess of meaning’ and ‘fusion of horizons’ from hermeneutical theory. These considerations can broaden our cross-cultural perspectives in both directions and facilitate some helpful cross-fertilization that may nurture both inter-disciplinary and cross-cultural analysis and synth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