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733-6123
  • E-ISSN 2799-3426

Dispatching Art: Building Peaceful Solidarity with Laid-Off South Korean Workers, 2012-2015

Dispatching Art: Building Peaceful Solidarity with Laid-Off South Korean Workers, 2012-2015

Journal of Korean and Asian Arts / Journal of Korean and Asian Arts, (P)2733-6123; (E)2799-3426
2023, v.7, pp.45-82
https://doi.org/10.20976/KAA.2023.7.003
Jae Hwan Lim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UCSD))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기타ㆍ악기 제조업체 콜트-콜텍에서 해고된 한국 노동자들의 복직 투쟁에 한국 예술가 콜렉티브 ‘파견미술’이 해고 노동자, 시위자들과 함께 했다. 소위 한국 1980년대 민중 운 동가들의 후임자로도 보이는 파견미술 예술가들은 해고 노동자들과 쫓겨난 거주민들 같 은 현대 사회적 약자들과 연대해 왔다. 하지만 파견미술의 사회참여예술 개념과 접근은 전통적 예술계가 예술적 자주권의 요소들을 기반으로 정의한 우세하고 정형적인 아방가 르드 예술의 참여 및 정치적 예술과는 다르다. 파견미술 구성원들과 그들의 협동 프로젝 트는 예술 기관보다 시위 현장에서 더 많이 발견된다. 누군가는 예술가들이 사회적으로 대중을 참여시키고 정치적으로 사회에 잘 조명되지 않는 이슈의 능동적인 리더가 되는 것이 가능한지 질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노동자들을 예술가로 인지시킨 공장 점령, 노동자들의 존재를 확대시킨 다양한 시각적 시위 전략과 물건 배치 그리고 신중한 평화 시위를 통해 다른 노동자들의 투쟁에 참여하고 노동자들과 문화 창작자들 과의 관계를 강화시킨 파견미술의 역할을 알아본다. 파견미술이 콜트-콜텍 부당 해고 노동자들과 펼친 협력과 시각적이고 평화로운 예술 만들기 활동들은 노동자들의 부분적 복직을 예시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노동자들이 시위했던 콜트 공장 내부부터 노동자들이 다른 사회적 약자들과 연대했던 야외 길거리까지, 파견미술 구성원들은 지속적으로 노동자들이 문화적 방법을 사용해 비폭력적으로 시위하도록 영감 주었다. 본 연구는 파견미술이 한국의 사회적 약자와 형성한 진실되고 도덕적인 인간관계를 강조한다.

keywords
Dispatch Art, Art-Activism, Socially Engaged Art, Deliberation, Social Issues, Peace, Ethics, Cooperation

Abstract

In the process of the dismissed workers’ struggle to return to the South Korean guitar manufacture company Cort and Cortek, a group of Korean artists from the art collective Dispatch Art stood alongside the workers and communal protestors. The Dispatch Art artists, who are successors of Minjung activists in the 1980s, shared their solidarity with contemporary social minorities, including dismissed workers and displaced residents. Dispatch Art’s notion of and approach to socially engaged art differ from the art world’s conventional engagement with political art, typified in the dominant model of Avant-Garde art and defined by principles of artistic autonomy. Dispatch Art’s collective members and their collaborative projects can be found more at protest sites than inside art institutions. Exactly how artists can socially engage the public and become politically active leaders of underrepresented social issues may be questionable. This article extends this line of questioning. Here, I analyze Dispatch Art's factory occupation project that included emphasizing workers as artists, various visual protest tactics and object displays to extend worker presence, and deliberately peaceful demonstrations with broader worker struggle to strengthen ties among workers and cultural producers. Dispatch Art's collaborative, visual, and peaceful artmaking with the Cort-Cortek dismissed workers functioned as prefigurative elements for the workers’ partial reinstatement. From the factory, where the workers protested, to the streets, where the workers shared solidarity with other marginalized communities, Dispatch Art constantly inspired the workers to protest non-violently through cultural praxis. This article underscores Dispatched Art’s cultivation of genuine and ethical human relations with South Korean social minorities.

keywords
Dispatch Art, Art-Activism, Socially Engaged Art, Deliberation, Social Issues, Peace, Ethics, Coopera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10-10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11-26
상단으로 이동

Journal of Korean and Asian 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