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이승만시기 국무회의록과 정부부처 기록의 연관구조 분석에 기반한 역사 컨텐츠 설계 방안

Development of Historical Contents Based on Relational Structure of Minutes of State Council and Records of Ministries in the Period of Rhee Regime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06, v.17 no.2, pp.115-136
설문원 (한국국가기록연구원 )
김익한 ( 명지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국무회의록은 국정 전반의 의사결정 내용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최고위 기록이며, 특히 이승만 시기의 국무회의록은 사안의 중요성과 상대적인 충실성에 있어서 다른 시기에 비해 남다른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공공기록으로서 국무회의록을 대상으로 연구자는 물론 일반 독자들도 쉽게 역사적 사실에 접근하고 이를 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역사컨텐츠 개발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이승만 시기 국무회의록의 내용을 재구성하고 회의 안건들을 위한 DB 설계방법을 제안하였다. 둘째, 안건들을 분석하여 이를 주제사안 분류체계와 연계하고, 각 주제사안별로 부처기록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이를 토대로 각 주제사안 별로 역사적 사실을 해석하여 이를 컨텐츠로 개발하는 절차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컨텐츠 방법론은 앞으로 공공기록의 활용범위를 확장하고, 아울러 정치, 경제, 사회 각 영역에 걸친 당대의 정책 사안들을 실증적으로 연구하고 해석할 수 있는 기록정보컨텐츠 개발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역사컨텐츠, 국무 회의록, 이승만시기, 컨텐츠 설계, 기록 연계 구조

Abstract

Minutes of the state council are the highest level records which can show the overall decision making process at the state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thodology for designing historical contents based on relational structure of minutes of state council and records of ministries in the period of Rhee Regime. The methodology has three steps; first, it suggests directions of DB design that represent the basic information and agenda of the state councils through the period of Rhee Regime. Second, it proposes subject classification scheme for major policy matters in the period. to which each agenda will be assigned and related ministries' records will be linked. Third, it suggests the basic structure and procedures to develop the historical contents on each subject matter based on the minutes and relational records of ministries.

keywords
역사컨텐츠, 국무 회의록, 이승만시기, 컨텐츠 설계, 기록 연계 구조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