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십진분류법 역사(900) 분야 개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f Revision of the History Class(900) for the KDC 6th Edition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09, v.20 no.3, pp.149-161
곽철완 (강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십진분류법(KDC) 제5판"이 발간됨에 따라 역사(900) 분야에 대한 개정된 내용을 조사 분석하여, "한국십진분류법(KDC) 제6판"의 개정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주요 분석 내용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지역구분에 대한 부분으로 지역구분표의 확장, 지역구분에서 계층구조의 강조, 북한 지역을 행정구역 명칭으로 변경, 외국의 주요 국가에 대해서 세부적인 지역구분, 중앙 및 서남 아시아 국가들의 위치 조정 등이 포함되었다. 둘째, 대한민국의 시대구분을 확장하였다. 셋째, 중국과 일본의 항목 주기를 간소화하였다. 넷째, 용어의 조정으로 중국 및 일본의 지명과 인명을 자국발음으로 변경하였고, 외국 지명에 대해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을 지양하고 원음 그대로 적용하였다. 6판의 개정방향으로 한국지역구분에서 계층구조를 적용한 광역단위 전개, 해당 국가의 수도를 중심으로 한 지역전개, 자국에서 사용하는 지명표기, 시대별 연도구분을 제시하였다.

keywords
한국십진분류법 제5판, 역사류, 지역구분표, 지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se the revised contents of the history class in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5th edition, and then identify problems and propose the revised contents for the KDC, 6the edition. Major analysed areas are divided into four. First, geographic area table is discussed. It includes extension of the geographic area table, emphasis of hierarchical structure in the geographical area, revision of North Korean geographical names, extension of subgeographical structure of major nations in the world, and revision of nations in the central and west Asia. Second, Korean time period is extended. Third, the notes of entries of the Chinese and Japanese history areas are shorten. Fourth, the geographical and personal names are changed their native pronunciation, specially Chinese and Japanese. For the revision of the KDC, 6th edition, four areas are discussed: first, Korean geographic areas would be categorized by broaden area, second, the areas are arranged from the capital of the nation to others, third, foreign geographical names would be used their native names, and last, time period would be categorized by years.

keywords
한국십진분류법 제5판, 역사류, 지역구분표, 지리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