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 및 이들 사이의 연계, 그리고 이들 자본이 재생산하는 사회적 계급의 해소를 위해 공공도서관이 어떠한 역할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사회자본, 문화자본 및 공공도서관 이용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의 이용은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학력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은 계급일수록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으로 인한 사회적 계급화의 해소에는 부분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평등한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개방된 사회적 교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문화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기능이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public library use on the construction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and the close of social classes reproduction through the survey targeting public library users. As a result, the use of public libraries positively affects the construction of both social and cultural capital. In contrast, it partially addresses the problems in social classes reproduction because the social classes with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income tend to use public libraries more often. In order to take a role of and contribute to equal construction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public libraries need to be public places for open and social interac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public libraries to improve their roles to allow community members to access and utilize various cultural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