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특화도서관 사서의 인식조사 기반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Plan of the Perception Survey Foundation for Specialized Library Librarian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18, v.29 no.4, pp.91-11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4.091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신영지 (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
곽우정 (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특화서비스 현황, 특화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 등을 조사하고, ISA 기법을 기반으로 특화 주제 자료, 특화서비스 장소, 특화프로그램, 특화 주제 분야 시설 및 환경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하여, 특화도서관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화도서관 주제 선정은 해당 도서관 지역의 특징, 역사, 자원 등을 반영하여 주제를 선정해야 하며, 뿐 만 아니라 지역 주민 및 이용자의 수요조사를 통해 선정해야 한다. 둘째, 특화도서관은 특화 주제 분야에 적합한 프로그램 유형과 이용자의 수요조사를 기반으로 체험형, 강의형, 관람형 등의 유형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특화도서관 공간은 일체형, 일체 속 분리형, 분리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분리형으로 독립적인 특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각 도서관의 상황 및 특화 주제의 특징을 고려하여 공간을 구성해야 한다. 넷째, 특화도서관은 해당 주제 분야의 전문가를 최소한 1명 정도는 특화 전담인력으로 배치해야 한다. 전담 인력은 특화공간에서 해당 주제와 관련된 수서, 정리, 열람과 관련된 업무, 특화관련 프로그램 운영, 특화 관련 대출 및 참고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특화주제분야의 전문가이면서도 도서관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사서여야 한다.

keywords
특화도서관,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 중요도-만족도 분석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specialized library librarians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overall satisfaction of specialized services and to compare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pecialized subject data, specialized service places, specialization programs, specialized subject area facilities and environment based on ISA technique in order to deriv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specialized libraries. A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a specialized library subject should be sele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history, and resources of the library location as well as based on the demand survey of the local residents and users. Second, based on the appropriate program type of specialized subject and the results from users' demand surveys, specialized libraries should develop different types of experience-type, lecture-type, view-type and the likes. Third, specialized library space types can be divided into integrated type, independent-in-integration type, and independent type. Even though it is most ideal to provide independently specialized space, the space must be constructed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and subject of specialization of each library. Fourth, specialized libraries should have at least one dedicated specialist in the corresponding subject. Dedicated specialists should provide lending and reference services related to the specialization such as tidying, browsing, reading and operating specialized programs. And a dedicated specialist must be an expert in the specialized subject and also a librarian who is responsible of the general library operation.

keywords
특화도서관,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 중요도-만족도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