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신분열증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인지장애의 특성을 사고장애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정신분열증으로 진단된 8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국판 웩슬러 성인 지능검사(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K-WAIS)의 11개 소검사 평가치를 사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세 개의 하위집단으로 나누어졌다. K-WAIS의 언어성 소검사 중, 기본지식, 어휘, 이해 및 공통성 문제 등의 언어적 반응에 기초하여 산출한 사고장애지수(Thought Disorder Index; TDI)와 11개의 소검사 평가치, 및 지능 등을 사용하여 각 집단을 비교하였다. 변량분석 결과, 세 개의 하위 집단은 사고장애 지수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사고장애가 심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인지기능의 장애가 심하며, 특히 그들은 합리적 판단력과 현실검증력이 유의미하게 장애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bout cognitive characteristics depend upon thought disorder of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luster analysis with 11 K-WAIS subtest measures divided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of 84 into three group. Thought disorder index(TDI) was assessed with 4 K-WAIS subsets(information, vocabualy, comprehension, similarities) and TDI, 11 K-WAIS subtest measures, & IQ were used to analyse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Analysis was performed by ANOVA. According to the ANOVA results, the differences between 3 groups were significant in thought disorder. In the evaluation of thought disorder, group 2 were found significantly severe on the thought disorder level(.50, .75) compared with group 1 and 3. Severe thought disorder group(group 2) was impairment of cognitive function compared with group 1 and 3. Especially, severe thought disorder group was significantly impairment of reasonal judgement and reality-testing.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환자의 사회생활기술의 손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신분열병환자, 비정신분열병환자(알코올-의존환자 및 기분장애환자), 그리고 정상인 등 세 집단을 대상으로 각기 모의사회적 장면에서 역할연기를 수행케 하였으며, 그에 따른 사회생활기술정도를 사회생활기술 척도와 어의미분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해 보았다. 그리고 사회생활기술 척도와 어의미분 척도를 자신의 사회적인 행동을 조망하는 능력 및 타인의 부적절한 사회행동을 조망하는 능력과 관련시켜서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정신분열병환자는 사회생활기술 척도와 어의미분 척도에서 사회생활기술수준이 낮음을 발견하였다. 비정신분열병환자는 정상인과 정신분열병환자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이들도 정상인에 비하여서는 사회생활기술수준이 낮음을 발견하였다. 자신의 사회행동에 대한 조망능력이나 타인의 사회행동의 부적절성을 조망하는 능력과 같은 인지적 능력은 사회생활기술과 유의한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자신의 사회행동을 조망하는 능력이나 타인의 부적절한 사회행동을 조망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을 향상시키면 사회생활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social skills of schizophrenics through the use of three groups: schozophrenics, nonschizophrenic patients(alchol-dependant, mood disorder individuals) and a normals group, and their social skills results as measured on the social skills scales and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based upon role-enactments in mock social situations. It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kills scales and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and perspective of self's social behavior and perspective of socially inappropriate behavior of ot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schizophrenics rated significantly lower on the social skills measures of the social skills scales and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Nonschizophrenic patients rated at an intermediate level between the normals group and the schizophrenic group. They also exhibited lowered social skills. This study foun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 skills and cognitive ability with respect to perspective of self's social behavior and perspective of socially inappropriate behavior of other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an improved cognitive ability as to the perspective of self's social behavior and perspective of inappropriate social behavior of others may help toward an improvement in social skills.
본 연구는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사회적 기능 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증상 및 인지적 변인을 통해 관련성 및 설명력 정도를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증상 및 인지적 기능외 과외 변인들을 함께 포함시켜 분석을 실시해 보았다. 48명의 만성정신분열증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기능은 일상생활기능과 대인관계기능의 두 가지 하위영역으로 구분된 5점 척도인 PEI로 평가되었으며 인지적 기능은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를 사용한 4개의 측정치, 그리고 증상은 PANSS를 통해 3가지 증상 영역으로 평가되었다. 상관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증상은 양성 및 음성 그리고 일반정신병리 증상 등 모든 평가치에서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사회적 기능과 유의미하게 부적인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일반정신병리 증상은 사회적 기능의 가장 적절한 설명인자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인지적 변인인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의 측정치들은 정확반응수 및 완성된 범주수의 경우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특이 오류수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지만 보속 오류수는 아무런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또한 모든 인지 측정치는 유의미한 설명인자로 채택되지 못했다. 물론 사용된 도구의 문제, 중요 변인들간의 상호 관련성 문제, 변인들간의 인과관계의 문제 등 제한점을 지니고 있지만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심각한 장애중 하나인 사회적 기능 장애와 관련되는 중요 상관변인 및 설명변인을 탐색해봄으로써 재활 치료시 보다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을 하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Social dysfunction is generally considered as an essential feature of schizophrenia. Recent studies have found that symptom and cognitive deficits ar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social dysfuction of schizophrenia. Present study explore what to extent these two factors are correlated with and what is the best predictor of schizophrenic patients' social dysfuction. 48 chronic schizophrenic inpatients were selected and PEI, WCST, PANSS were used for measuring social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psychiatric symptom. The results show that three cognitive measurements except for persverative error and three symptom measurements a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aily self-management and personal relationship of chronic schizophrenia. However general psychiatric symptom selected the best predictor of two social function area and negative symptom intermittently a good predictor in specific social area while cognitive measurements did not. Although the function scales are very limited to measure various function area and specific relationship or causal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are not found, it is noteworthy that the results support cognitive function and symptom ar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social function of chronic schizophrenia and of them general psychiatric symptom is selected the best predictor. So more effective theraputic intervention in rehabilitation of chronic schizophrenics' social dysfunction is available.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들의 MMPI와 자아방어기제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직업재활훈련을 받고있는 지체장애인 122명의 MMPI를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 프로파일은 T점수 50 - 60 사이의 정상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척도별 T점수를 군집분석한 결과 1) 6-8-7 프로파일 (n=54) 2) T점수 45-53 사이 프로파일(n=49) 3) 1-3-2 프로파일 (n=19) 의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지체장애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신체화, 수동공격적, 투사, 해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MMPI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선호되는 방어기제를 알아보았는데, 집단 1 (6-8-7 프로파일 집단)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방어기제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특히, 행동화, 신체화, 전치, 해리, 투사, 수동공격적 기제의 사용이 유의미했다. 집단 2 (T점수 45 - 53 사이 프로파일 집단)는 전반적으로 방어기제의 사용이 적었으며 승화와 부정의 방어기제를 주로 사용하였다. 집단 3 (1-3-1 프로파일 집단) 역시 신체화, 투사 등의 방어기제를 많이 사용하였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xpore MMPI profile, defense mechanisms and MMPI profile types by cluster analysis and defense mechanisms in Physically Handicapped. MMPI was administered to 122 physically handicapped. So it was founded normal profile by total mean of T score of each MMPI scale. Three subgroups were forme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f T scores each. The first subgroup (44.26%) showed a profile 6-8-7, the second subgroup (40.16%) normal (45< T score < 53), the third subgroup (15.57%) 3-1-2. The result of relation between MMPI profile type by cluster analysis and defense mechanisms were as follows. The first subgroup used more passive-aggressive behavior, projection, displacement, distortion, anticipation, dissociation, somatization, acting out, regression, evasion than second subgroup. Although second and three sub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econd subgroup used more denial, sublimation. The third subgroup used more passive-aggressive behavior, projection, displacement, suppression, distortion, dissociation, somatization, acting out, evasion than the first and second subgroup. This findings suggest healthy groups used mature defense mechanisms, unhealthy groups used immature defense mechanism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의 진단 및 분류에 관한 신경심리학적 개념틀을 정립하고, 구체적인 하위유형들의 인지적, 신경심리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총 43명의 학습장애 집단을 대상으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세가지 하위유형을 분류하였다. 학습장애를 보이는 결함의 양상에 따라 언어적 집단(Verbal type:VLD; n=15명), 비언어적 집단(Nonverbal trye:NVLD; n=11명), 학습 문제와 주의력 문제의 결합 집단(LD+ADD; n=17명)으로 구분하였다. 이들의 지능검사 및 기초학습기능검사 수행을 비교한 결과, VLD 집단과 LD+ADD집단은 언어성 기능의 저하와 읽기 및 쓰기 수행이 유의하게 저하되었고, NVLD집단은 동작성 기능과 정신운동속도의 저하가 두드러졌다. 세 집단의 신경심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NVLD 집단의 주된 결함은 공간지각능력, 복잡한 운동 기술, 사회적 인지 기능의 결함인 반면, VLD 집단은 읽기 과정의 음운 처리와 청각적-언어적 처리상의 결함이 발견되었다. LD+ADD 집단은 부주의한 자극처리에 의해 읽기 및 철자의 오류가 더 증가되었고, 주의력 결핍 양상이 두드러졌다. 인지적, 신경심리학적 측정치들에 의한 세 집단간 하위유형의 분류정확율은 60%였으며, VLD 집단과 NVLD 집단의 분류율은 각기 91.7%와 71.4%였다. TPT 측정치들, 쓰기수행등이 NVLD집단을 다른 집단들과 구분짓는 제 1판별함수와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제2함수에서는 CPT와 Perdue Pegboard 변인들이 LD+ADD 집단과 다른 집단들을 구분하는 데 가장 기여하는 요인들이었다. 앞으로 이러한 하위유형 분류의 타당성을 높히기 위한 수렴타당도와 변별 타당도가 논의되었고, 제한된 연구대상과 개별 사례의 독특성이 덜 반영된 집단간 비교가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언급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gnitive-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disorder(LD) subtypes. We defined three LD subtypes by their clinical manifestations, our criteria for diagnosis, and deficient performances on the parts of KEDI-WISC and the Basic Achievement Test. As the result, we found the Verbal type(VLD), Nonverbal type(NVLD) and attention problem combined type (LD+ADD), and then compared their neuropsychological,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data. The results supported the view that LD subtypes are related to specific assets and deficits in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The VLD type and LD+ADD type revealed primary problems in reading and spelling, and in the phonological coding of written language. The NVLD types had specific problems in hand-writing and spatial cognition. They showed deficits in visual-spatial-perceptual organization, complex tactile perception, complex motor skills, and social cognition. The LD+ADD type showed attention deficits and more severe reading and spelling errors than VLD type. Discriminant analysis indicated that overall percentage of correct classification was 60%. TPT and Spelling test scor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Function 1 which discriminate NVLD type from other types. And CPT and Purdue Pegboard scores were very effective discriminants for the LD+ADD type. For successful classification of LD subtypes and clinical implication,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a particular subtype and limitation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충동적인 성격특질을 가지고 있는 집단이 처벌과 보상이라는 환경적 변인에 의해 인지적인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받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충동적인 사람이 비충동적인 사람에 비해 과제수행의 속도가 빠르고 부정확하며(Eysenck & Eysenck,1977),처벌단서 보다는 보상단서에 민감해 보상이 주어지는 상황하에서 더 충동적인 과제수행 특징을 보인다는 가설(Gray,1987)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성격차원검사의 외/내향성차원과 신경증적 경향성차원의 점수를 기준으로 각각 9점과 8점이상인 학생충동성집단(남자 20명)과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대상중에서 같은 기준으로 선발된 비행충동성집단(남자 17명) 및 각 차원점수가 8점과 7점이하인 비충동성집단(남자 25명)이었다. 과제는 문제단어쌍에서 제시된 관계와 유사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답안단어쌍을 찾아 응답하는 것이었으며 답안단어쌍 고려시간,답안단어쌍 고려횟수,반응잠재시간,답안단어쌍 주사순서 및 정확반응률이 컴퓨터프로그램에 의해 측정되었다. 처벌과 보상은 각각의 문제에 대한 답을 맞춘 경우와 틀린 경우 300원을 주거나 가져오는 것으로 조작하였다. 종속측정치를 연령과 추상적인 사고능력을 공변인으로하여 공변량분석을 한 결과, 과제를 수행 하는 속도인 답안단어쌍 고려시간과 반응잠재시간 및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이 얼마나 불규칙적인 가하는 정도에서는 집단이나 조건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답안을 고려한 횟수는 처벌조건보다 보상+처벌조건에서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을 정확하게 한 정도에서는 처벌조건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없었으나 보상+처벌조건에서는 비충동성집단이 가장 높았으며 비행충동성집단이 가장 낯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충동적인 집단의 인지과제 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처벌조건보다 보상조건하에서의 반응통정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빠른 반응을 억제시키는 학습보다 정확성을 강조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점을 시사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unishment and reward on performing problem-solving task among impulsive groups and non-impulsive group. Hypotheses were that impulsive groups will show rapid and inaccurate performance on task in reward condition rather than punishment condition. Suject classified four groups including student impulsive group(n=20), student non-impulsive group(n=25) and delinquent impulsive group(n=17) by the combination of the scores of extraversion/introversion and neuroticism of Eysenck Personalty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Inspection time, inspection frequency, response latency time, order of inspection and rate of hit response on performing task were measured by computer program. Subjects performed under two incentive conditions including punishment only and involving reward and punishmint. No signigicant effects were found in the inspection time, response latency time and order of inspection. But rate of hit response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Group*Condition. Student non-impulsive groups performed best and delinquent impulsive group performed worst. The result indicate that in contrast to non-impulsive group, impulsive group are activated by the availability of reward, and suggest that the training program will focus the accurate response rather than speed on performing problem-solving task.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의 섭식행동 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대생 290명을 대상으로 섭식행동질문지(DEBQ), 삼요인 섭식 질문지(TFEQ), 섭식절제척도(RS) 및 섭식장애검사(EDI-2)를 실시하였고, 다이어트에 대한 개인력을 알아보았다. DEBQ 반응을 군집분석한 결과, 정상인의 섭식유형은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각 집단은 정상 섭식군, 정서/외부 섭식군, 및 절제 섭식군으로 지칭되었다. 정상 섭식군은 전체 피험자의 50%를 차지했고, DEBQ의 세 척도(절제된 섭식, 정서적 섭식, 및 외부적 섭식) 점수가 모두 평균보다 낮았으며, 세 척도 모두에 균등한 점수 분포를 보였다. 정서/외부 섭식군은 낮은 절제된 섭식점수와 높은 정서적 섭식점수 및 외부적 섭식점수를 보였으며,전체 피험자의 18.6%에 해당하였다. 절제 섭식군은 높은 절제된 섭식점수를 보였고, 낮은 정서적 섭식점수 및 외부적 섭식점수를 나타냈으며, 전체 피험자의 31.4%를 차지했다. 집단별 현재 다이어트 시행자는 정상 섭식군의 4.9%, 정서/외부 섭식군의 25.5%, 절제 섭식군의 57.8%이며, 전체 피험자의 25.3%가 현재 다이어트를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외부 섭식군은 폭식 및 배고픔 정도를 높게 나타낸 반면, 절제 섭식군은 마르고 싶은 욕구 및 체형에 대한 불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의 섭식유형 특징, 다이어트 양상 및 효율적인 다이어트에 관여하는 요인들에 관해 고찰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eating and dieting style of college women.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DEBQ) and other scales of dietary restraint were administered to 290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 cluster analysis of DEBQ data showed three patterns of eating group; the Normal eating group, the Emotional/External eating group, and the Restrained eating group. The proportion of each group was 50%, 18.6%, and 31.4% respectively. The Normal eating group obtained under-average scores on the three subscales; Restrained Eating Scale(R); Emotional Eating Scale(EM), External Eating Scale(EX) of DEBQ. The Emotional/External eating group showed higher scores than other groups on EM and EX, but lower score on R. The Restrained eating group obtained higher score than other groups on R, but lower scores on EM, EX. It is found that 25.3% of the all respondents are undergoing current restrained dieting. The proportions of current dieting in each group were 4.9%, 25.5%, and 57.8% respectively. The Emotional/External eating group seemed to have a tendency to binge eating. The Restrained eating group seemed to have high motivation on weight los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between DEBQ-R and TFEQ-CR was .85; and that between DEBQ-R and RS was .64.
본 연구는 관계신념 척도(Relationship Belicfs Scale:RB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RBS는 친밀한 애정관계(특히 부부관계)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관한 신념을 측정하는 척도로서, 전체 피험자 230명(남성=66, 여성=164; 기혼자=53%)을 대상으로 척도의 내적일관성 신뢰도 및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원래 척도의 요인구조와 상당히 비슷한 4개 신념요인 구조를 보였다. 추출된 신념요인들의 내적일관성 신뢰도는 .55에서 .90 사이로서 비교적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관계신념 척도의 수렴적 및 변별적 타당도를 위해 사랑태도 측정치 및 관계 만족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랑태도 하위척도 측정치와는 예측했던 유형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고, 관계 만족도 측정치와도 예측했던 것과 같이 비교적 높지 않은 상관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문제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lationship Beliefs Scale(RBS), which was developed for measuring the beliefs concerning what makes close relationships(particularly, marital relationship) successful. RBS was administered to 230 subjects(male=66, female=164; 53% were married). A factor analysis revealed the four-factor structure which was very similar to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scale. RBS has sufficient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from .55 to .90.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RBS also were adequate: The belief factors were not strongly, or moderately, correlated with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were generally related in the predicted fashion to love attitudes. Finally,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uses for the RB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Barratt충동성검사의 3가지 하위요인(인지, 운동, 및 무계획충동성)이 한국대학생집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또한 충동성의 성차가 있는지를 검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총 354명이었으며, 남자가 189명, 여자가 165명이었다. 요인 분석결과, 고유가가 1.0이상인 요인이 7개로 나타났으며, 이는 한국대학생의 경우 충동성이 보다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있음을 시사해주는 결과로 볼 수있다. 특히 Barratt의 요인구조와 직접적인 비교를 위하여 요인의 수를 3개로 제한한 경우에는 각 하위요인이 서로 혼합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한국 대학생의 경우 충동성이 덜 분화되어 있음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남·녀성차이를 알아 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한 결과, 운동충동성점수와 인지충동성점수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무계획충동성점수에서는 남자가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이러한 성별차이를 전체집단의 요인구조와 비교한 결과 Barratt의 하위요인구조와 여자집단의 요인구조가 유사함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충동성과 관련된 연구를 할 때에는 남녀를 구분하여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ree subfactors of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BIS) - Cognitive, Motor, and Nonplanning Impulsiveness -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done to test the gender differences. The BIS was administered to 189 male and 165 female university students.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BIS scores showed seven factors which suggest the variety of impulsivenss of the subject group. When the number of factors was limited to three to compare with Barratt's original scale, the items of the subfactors were confounded with each other.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that the impulsivity of Korean students did not differentiate more than Americans. In the result of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to test the gender difference, the ma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Motor and Cognitive subfactors than the female group. But in the comparison of the Non-planning subfactor, gender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structure of the subfactors in the male and female group showed smiliarity only in female group to the structure of the BIS. It was suggested that it is desirable to consider the gender differences in interpreting the scores of the BIS.
MMPI 내용척도는 수검자가 검사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해주며, MMPI의 해석을 정교화시켜 줄 수 있는 구성개념 지향적 척도들이다. 본 연구는 15개 척도로 구성된 한국형내용척도의 규준을 제시하고, 대학의 상담기관을 찾은 대학생 자료를 통해 내용척도의 활용 방안및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내용척도의 해석을 위해 신판 MMPI 표준화 집단을 대상으로 남녀별로 일반인과 학생군(대학생, 고등학생, 중학생)의 규준을 산출하였다. 또한 규준을 적용하여 내용척도가 정신병리를 반영하는 임상척도의 보완적 정보로서, 혹은 정상인의 성격특성이나 행동 특징을 기술해주는 데 독자적으로 유용한 척도임을 알아보았다. 끝으로 내용척도를 다양한 임상장면과 연구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정신병리나 성격특성에 대한 MMPI의 예측력을 높히는 내용척도의 공헌도가 논의되었다.
MMPI Content Scales help clarifying communications between testee and tester and they are construct-oriented scales which refine MMPI interpre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 The one is to establish norms for Korean version of the Content Sclaes which consists of 15 scales and the other is to investigate feasability for clinical implementation basing on data gathering from college students who have visited our couseling center. New norms were generated for gender and education level based on MMPI standardization sample for the interpretation of MMPI Content Scales. Applying this new norms, it was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Content Scales provide any supplimentary information to Clinical Scales or it is an independently useful scale which describe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normal group. Finally, the various methods of implementation in clinical settings and research, and contributions in the prediction of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by MMPI Content Scal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1995년 3월부터 1996년 2월까지 세브란스 병원 정신과에 내원한 46 명의 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MMPI 반응을 군집분석하고 반응유형별 특징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중학생 13명, 고교생 33명으로, 입원 환자와 외래 환자가 각각 23명 씩으로 구성되었다. 입원 집단은 정신분열증, 품행장애, 기분장애 등의 진단이, 외래집단은 기분장애, 품행장애, 적응장애 등의 진단을 부여받았다. 이들의 MMPI 반응은 4개의 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를 토대로 내원 청소년 환자의 MMPI 반응을 해석할 때 주의해야 할 점과 남자 청소년의 우울증과 품행 장애의 관련성, 그리고 치료 개입시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MMPI responses who have psychiatric problems.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psychiatric patients visited Severance Hospital from March, 1995 to February, 1996. They were in total 46, evenly divided between in-patient and out-patient group. Among them 13 wer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other 33 were high school students. High proportion of in-patient group were diagnosed as Schizophrenia, conduct disorder, mood disorder compared with mood disorder, conduct disorder, adjustment disorder were frequently found to be out-patient group.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cluster analysis. By cluster analysis 4 subgroups were extracted, and specific MMPI profiles were revealed. Relations of mood disorder and conduct disorder of male adolescent patients and implications for treatment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 환자 집단 자료를 중심으로 K-WAIS의 요인구조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16세부터 54세의 정신분열증 환자 157명(남자 100명, 여자 54명)이었다. K-WAIS의 요인 구조를 알아본 결과, 1개 요인(일반지능요인)만이 추출되었다. 일반지능요인의 전체 설명변량은 58.7%이었는데, 11개 소검사 전부가 .70 이상의 요인부하량을 보였으며, 특히 기본지식문제, 어휘문제 및 공통성문제의 요인부하량은 .83 이상이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WAIS in a sample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ubjects were 154 patients with schizophrenia(male; 100, female; 54) who admitte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in Wonkwang university hospital(ages 16 to 54). General factor in a sample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as abstracted from the K-WAIS factor analysis. Variance of general factor was 58.7%. All subscales of K-WAIS showed above .70 loadings on general factor. Specially, information, vocabulary and similarity of K-WAIS showed above .83 loadings of general factor. Finally significances, limi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성격요인검사의 임상적 타당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환자집단에 이 검사를 실시한 경우에도 요인의 구조가 정상인 집단과 동일하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정상인집단, 범불안장애집단, 주요우울증집단, 양극성장애 조증집단, 신체화장애집단, 정신분열증집단들간에 유의한 차가 있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그 요인의 의미와 증상간의 관계성을 검토함으로서 임상적 적용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성격요인검사를 정신과 환자집단에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요인의 추출순서와 요인구조가 정상인 집단에서와 동일 하여, 환자집단에도 신뢰롭게 사용할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둘째로, 집단간에 차이를 보인 요인은 B, C, N, O, Q1, Q3, Q4, EXT, ANX, SUP, IND, CRE요인들이었으며, 판별분석에서 각 집단을 정확하게 분류하는 정확분류율은 정상인(57.6%), 정신분열증(46.6%), 양극성장애 조증(41.6%), 범불안장애 집단(51.2%)에서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주요우울증(28.5%), 신체화 장애집단(29.7%)에서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각 집단에 특징적이었던 요인들과 증상들과의 관계로 볼 때, 성격요인검사를 통해 다차원적 성격구조의 틀 속에서 증상을 이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o examine the clinical validity of the Korean Personality Factor Test(KPFT), this study compared the factor structures of KPFT in psychiatric patient group to normal group. This study also tried to identify the different factors among normal,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major depression, bipolar disorder manic, somatization disorder and schizophrenia group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actors and symptoms to examine the validity of KPFT in its clinical appl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 first, the factors extracted from the patient group was similar to those of the normal group in extracted sequence and factor structure, which suggested this applicability for the patient group. second, the group differences in factor analysis were B, C, N, O, Q1, Q4, EXT, ANX, SUP, IND, CRE factors, and the accuracy rates of classification by discriminant analysis were considerably high in normal group(57.6%), schizophrenia group(46.6%), bipolar disorder manic group(41.6%),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roup(51.2%), and were a relatibly low in major depression group(28.5%) and somatization disorder group(29.7%).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sychiatric symptom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dimensional personality structure of KPFT.
본 연구는 Beck 등(1988)이 불안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Beck Anxiety Inventory를 한국어로 번역한 한국판 Beck Anxiety Inventory(이하 BAI)를 사용하여 환자군과 비환자군별, 정신과 장애의 유형별, 연령별, 성별에 따라 BAI에서 나타나는 불안수준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이와 함께 환자군과 비환자군에서 나타나는 BAI의 요인구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입원하고 있거나 외래를 통하여 현재 치료중인 환자 130명과 비환자 224명에게 한국판 Beck Anxiety Inventory를 실시한 결과, 환자군의 평균 BAI점수는 16.6점, 비환자의 평균 BAI점수는 14.3점이었고 환자군과 비환자군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은 F=3.91(p<.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불안장애, 정동장애, 기타장애, 비환자 등 정신과적 장애의 유형에 따른 평균 BAI점수는 각각 22.4점, 15.2점, 14.0점, 14.3점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F=6.37(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간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 여자 각각 평균BAI 점수가 13.9점, 16.5점으로 통계분석한 결과, F=6.07(p<.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연령집단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F=1.36(p<.2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환자군과 비환자군를 요인 분석한 결과 각각에서 동일하게 주관적인 요인과 신체적인 요인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BAI점수를 통하여 불안정도를 평가하는데 있어 획일적으로 해석하기 보다는 피험자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장애의 유형, 성별, 연령에 따라 신중하게 해석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differcences the degree of anxiety and factorial structure of Korean Beck Anxiety Inventory(BAI) in various groups which was developed by Beck(1988) originally to measure the degree of anxiety. Korean BAI was administrated to 130 inpatients and 224 non-patie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eans on BAI scor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patients and nonpatient, in various psychiatric types and in sex. but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ge. The factorial strucre is same in patient group and non-patient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cautious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psychiatric disorder, sex, and age.
측두엽 간질환자군에 대한 기술통계치를 제시하기 위하여, 신경심리검사들이 실시되었다. 신경심리검사는 K-WAIS, WMS, Wisconsin 카드 분류 검사, 토큰 검사, 언어 유창성 검사, 계열학습(Hebb의 숫자 계열, Corsi의 토막찍기 검사), 도안 유창성 검사로 이틀에 걸쳐 실시되었다. 간질환자군(42명)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서, 기능적 환자군(20명)과 기질적 뇌손상 환자군(22명)에게도 동일한 검사들이 실시되었다. 결과는 기능적 환자군과 간질환자군에서 변별되었다. 기능적 환자군은 간질환자군과 기질적 뇌손상 환자군보다 더 잘 수행하였다. 그렇지만, 좌 측두엽에 손상이 있거나 병소를 가지는 간질환자는 우 측두엽에 손상을 가지는 간질환자들과 변별되지 못하였다. 이후에, 환자들을 돕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논의와 연구가 요구된다.
To present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emporal epileptics, neuropsychological tests were administrated. Neuropsychological tests were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R, the Wechsler Memory Scale, the Wisconsin Card Sorting, the Token Test, Ward Fluency Test, Sequences Learning(Hebb Digits and Corsi Blocks), Design Fluency Test, Object Naming Test during two days. To compare with the results of the epileptics(N=42), functional patients(N=20) and organic brain disorders(N=22) were administrated with same tests. The results were differentiated the epileptics from the functionals. The functional patients performed more than epileptics and organic brain disorders. However, epileptics who have damages or foci on left temporal lobe would not differentiated from those who have on right temporal lobe. Afterwards, more discussion and studies will be required to help th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