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규정 및 지침

투고 규정

한국심리학회지: 원고제출 및 작성요령

 

 

1. 한국심리학회지에 게재할 수 있는 논문의 종류는 경험적 및 이론적 연구논문, 자료(연구용 및 심리학사 관계) 및 사례연구이다. 상세한 것은 심리학회 홈페이지의 학회지편집위원회 게시판 안내를 참조하기 바란다.

2. 본 학회에 게재를 희망하는 논문은 수시로 각 심리학회 편집위원회에 전자우편으로 발송한다. , 필요시에는 편집위원회에서 논문의 출력본을 요청할 수 있다.

3. 논문 작성은 HWP()를 사용하여 작성해야 한다. 논문 작성의 기본사항은 다음과 같다. 그 외 상사세항은 한국상담심리학회 홈페이지 학회지편집위원회 게시판을 참조하기 바란다.

1(심사용)

편집용지: A4

용지 여백 : 위쪽 20mm, 아래쪽 55mm, 좌측 35mm, 우측 35mm, 머리말 13mm, 꼬리말 12mm, 용지 방향: 좁게

문단모양: 문단 시작은 들여쓰기 2, 줄 간격 160%, 장평 95%, 자간 -6

마침표 다음: 한 칸 띌 것 (두 칸이 아님)

논문 제목: 신명조, 20포인트, 진하게

저자: 신명조, 11포인트, 진하게

소속: 신명서, 10포인트

초록: 신명조, 9포인트, 보통모양

본문: 신명조, 10포인트, 보통모양

참고문헌: 신명조, 9포인트

영문초록: 제목, 저자, 소속, 초록의 내용은 국문의 그것과 동일함

각주, 저자 주, 표 및 그림의 주: 신명조, 9포인트

쪽수 표시

부록: 제목은 중고딕 10포인트, 내용은 신명조 9포인트

4. 논문의 모든 내용, 특히 인용문, 그림, 표 등은 반드시 저작권법 및 한국심리학회에서 제정한 연구진실성심사운영세칙에 위배되지 않게 기술해야 한다.

5. 논문제출 시 게재신청서를 별도로 작성하여 논문 및 저자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기하도록 하며 논문의 모든 페이지는 1부터 연속적 숫자가 부여되도록 한다. 저자명은 실질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사람에 한하며 논문에 대한 기여도 순으로 나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6. 학위논문투고 시에는 다음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 학위논문의 경우 2년 이내의 논문을 원칙으로 한다.

- 학위논문임을 반드시 명시한다(신청서 및 논문제목 각주).

예시: 본 연구는 저자명(연도)OO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제목() 요약(or 일부 발췌, 수정)한 것임.

- 석사학위논문의 경우, 지도교수와 공동으로 게재해야 한다. , 그 이외의 연구자와 게재할 수 없다.

- 교신저자는 학위청구자 본인이어야 한다.

7. 투고자가 희망하는 경우 연구비 지원 사실을 별도의 양식으로 논문에 표시할 수 있다.

8. 제출된 논문은 학회지 논문 심사위원의 심사를 받게 되며 심사된 논문의 게재 여부의 최종결정은 편집위원장이 한다. 본 학회지에 게재키로 한 논문의 체제와 길이는 심사위원의 의견을 참작하여 편집위원장이 저자에게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9. 제출 논문의 분량은 A4 용지 20매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0. 경험적 연구논문의 형식은 서론(제목 없이), 방법, 결과, 논의 그리고 참고문헌의 순서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문과 동일한 언어로 작성한 초록은 서론 앞부분에 제시하고, 다른 언어로 작성한 초록은 참고문헌 뒤에 첨가한다.

11. 제목은 논문의 내용을 대표할 수 있도록 간결하고 구체적으로 한다. 동일저자에 의한 일련의 연구인 경우에 한해 같은 제목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는 논문전체에 대해 심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12. 모든 연구 논문은 120-150 단어의 국문초록과 120단어 내외의 영문초록을 포함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은 APA 규정에 맞게 쓰여야 하고, 국문 및 영문 초록의 하단에 주요어 5개 내외를 표기한다.

13. 그림(figuregraph)은 동판을 뜰 수 있는 형태로 제시하거나 쉽게 작성할 수 있는 형태로(graph의 경우 좌표 값의 명기) 제시한다. 표는 가능한 간결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림의 제목은 그림 아래 써넣고(: 그림 1. 실험 1의 자극재료), 표의 제목은 표의 위에 써넣는다(: 1. 평균 회상 반응수). 본문에서의 그림과 표의 언급은 괄호를 사용하지 않고 언급한다(: 그림 1에서, 1에서).

14. 자료는 가장 중요한 부분만을 간결하게 제시하며 원문에서는 자료수집의 목적 및 자료를 이용할 사람들이 알아야 할 사항을 적는다.

15. 문헌인용을 본문에서 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한다.

이복동(1970)Köhler(1940)

이복동과 김명기(1970)KöhlerWallach(1944)

이복동, 김명기, 신영식(1970)Colman, George, HoltConger(1997)

이 결과(이복동, 1970)그의 연구(Köhler, 1940)

이들의 연구(이복동, 김명기, 1970)는 그들의 연구(Köhler & Wallach, 1944)

이들의 조사(이복동 등, 1970)이 연구(Wallach et al., 1951)

와 같이 논했다(이복동, 1970). 와 같이 논했다(Köhler, 1940).

, 누구 등 또는 et al.을 쓰려면 먼저 본문 중에 생략된 연구자의 이름이 전원 소개된 다음 두 번째 인용될 때부터라야 한다. 여섯 명 이상의 공동저자의 문헌을 인용한 경우, 처음 인용 때부터 저자의 이름을 모두 쓰지 않고 첫 저자명을 쓰는데 첫 저자명 다음에 혹은 라고 쓴 후 출판년도를 괄호로 묶어 표기한다. 한국인의 이름은 본문과 참고문헌에 모두 성과 이름을 함께 표기한다.

16. 참고문헌에서 문헌나열은 먼저 동양어 표기 문헌을 가나다순으로 나열하고 그 다음에 이어 서양어 표기 문헌을 알파벳순으로 나열한다.

: 조성호 (2000). 경계선 성격장애. 서울: 학지사

이진희, 윤호균 (2001). 통찰명상 중의 경험내용에 대한 질적 분석: 알아차림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105-120.

황선정 (1998). 수식관 명상이 중학생의 충동성, 불안,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ackett, G., & Bets, N. E., O'Halloran, M. S., & Romac, D. S. (1990). Effects of verbal and mathematics task performance task and career self-efficacy and interes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7, 169-177.

Kline, R. B. (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The Guilford Press.

O'Neil, J. M., Good, G. E., & Holmes, S. (1995). Fifteen years of theory and research on men's gender role conflict: New paradigms for empirical research. In R. F. Levant & W. S. Pollack (Eds.), A new psychology of men(pp.164-206). New York: Basic Books.

17. 본 학회지에 게재되는 논문의 작성 및 출판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들은 한국심리학회가 발행한학술논문 작성 및 출판 지침(권석만, 남종호, 박영석, 박창호, 최윤미, 한규석 공저, 2001, 시그마프레스)을 참조하기 바란다.

18. 게재된 논문의 별쇄본은 저자 사전 요청과 부담에 의해 실비로 제공될 수 있다.

- 논문편집양식 -

 

1절 논문의 틀 편집

- 심사 제출용 : 1단 편집

- 최종 게재용 : 출판사에서 2단 편집 후 확인

 

1. 용지

A4용지 - 세로로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나 표, 그림 부록의 경우는 가로 사용 가능함

 

2. 여백

- 위쪽 20mm, 아래쪽 55mm

- 왼쪽 35mm, 오른쪽 35mm

- 머리말 13mm, 꼬리말 12mm

 

3. 글자체

- 글자크기 10, 장평 95, 글자간격 -6, 줄간격 160%, 신명조체를 원칙으로 함

- 다음과 같은 경우는 중고딕체(영문의 경우는 이탤릭체)로 함

1) 방법에서의 소제목(연구대상’, ‘측정도구’, ‘절차’)과 결과 및 논의에서의 소제목

2) 방법에서 측정도구를 소개할 때 척도명

3) 새롭거나 중요한 용어를 처음 소개할 때. (그러나 그 이후로는 신명조체로 표기)

4) 표나 그림의 제목

5) 주요어

6) 국문서적, 정기간행물, 마이크로 필름 출판물의 제목

7) 국문 참고문헌의 권(volume) *주의* (number)는 제외

 

4. , 문단, 들여쓰기, 및 줄간격

- 한 문단: 2문장 이상 × 한 단(column)이하

- 들여쓰기 2(, 초록, 문단의 인용, 제목과 소제목, 표와 그림의 제목 및 각주는 들여쓰기 안함)

 

5. 쪽번호

- 원고 하단의 중앙, 아라비아 숫자 사용, 쪽 번호 앞뒤에는 하이픈(-)사용 예) -2-

 

 

 

 

2절 논문 요소별 편집

 

1. 논문의 제목

- 진한 신명조체, 20포인트, 지면 가운데 (제목이 긴 경우에는 글자크기 조정 가능)

- 제목에 부연하는 경우 콜론(:)사용하며 제목 끝에 붙임

 

2. 저자명과 소속

1) 저자명: 신명조체, 11포인트, 진하게, 한 글자씩 간격 두어 기술

논문제목 아래 두 줄 띄우고 가운데 위치

2) 저자소속: 신명조체, 10포인트, 가운데 위치

3) 저자 세부소속(학과, 연구실) or 소속변경: 하단에 저자주의 첫 부분에 기록

 

3. 초록과 주요어

1) 국문 초록

- 저자 소속에서 두 줄 간격을 두고 신명조체, 9포인트로 기술

- 본문 내용 압축하여 120-150단어, 첫머리 들여쓰지 않음, 한 문단으로 기술

2) 주요어

- 다섯 개 내외, 중고딕체, 9포인트(영문의 경우는 이텔릭체)

- 초록의 내용과 한 줄 간격 띄어 제시

3) 영문 초록

- 본문 내용을 압축하여 120단어 내외, 첫머리 들여쓰지 않음. 한 문단으로 기술.

 

4. 교신저자, 연구지원 사항과 감사의 말

- 논문 첫 쪽 하단에 저자주의 형태로, 신명조체 9포인트로 기술

- 학위논문, 연구비 지원 여부

- 교신저자에 관한 연락사항(우편번호 포함), 전화번호(지역번호 포함), 전자우편의 순서로 제시

- 감사의 말은 마지막에 기술

 

5. 본문

1) 서론- 신명조 10포인트, 초록 다음 페이지부터, 제목 없이 바로 내용 기술

2) 방법, 결과 및 논의

- ‘방 법’ or ‘결 과라는 제목을 문단 가운데 신명조 11포인트, 진하게 제시

- 내용은 한 줄 띄고 제시

- 소제목(: ‘연구대상’, ‘측정도구’)은 들여쓰기 없이 제시

3) 소제목체계 예)

 

<4수준 체계의 경우>

연구 1 여러 연구를 기술할 경우,

연구제목은 중고딕, 12포인트, 진하게

가운데 정열, 제목이 끝나면 한 줄 띰

(연구에 대한 종합은 종 합 논 의제목 사용, 위와 동일)

방 법 1수준: 신명조, 11포인트, 진하게

가운데 정열, 끝나면 1줄 띄기

실험절차 2수준: 중고딕, 10포인트, 진하게

좌측 첫째 칸에서 시작

독립변인의 조작 3수준: 신명조, 10포인트, 진하게

세 번째 칸에서 시작

보상의 크기 조작 4수준: 4수준: 신명조, 10포인트, 진하게

세 번째 칸에서 시작하고 끝나면 콜론 찍음

본문은 2칸을 띄고 같은 줄에서 시작

*3수준 체계의 경우에는 4수준체계에서 방법이하부터를 적용하면 된다.

6. 참고문헌

- 본문 끝에서 2줄 떼고 작성

- ‘참 고 문 헌이라는 제목은 신명조, 11포인트(복수 연구의 경우는 12 포인트), 진하게, 문단 중앙에 제시

- 내용은 제목에서 한 줄 띄고 10포인트로 제시

- 표기언어를 기준으로 한국 문헌, 동양 문헌, 서양 문헌의 순으로 제시

- 국가명은 영문 순서에 따라 배열

- 각 언어 내에서 참고문헌 제시 순서는 저자명을 기준으로 해당언어 표기법 따름

- 각 문헌은 4칸 내어 쓰기로 구별(스페이스바, 탭키 사용 금지, 반드시 눈금자로 조절)

- )

이정윤 (2007). 청소년용 부적응적 사고 척도의 개발 및 예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1001-1021.

류설영 (1998). 대인관계 상황에서의 죄책감, 수치심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연구: 일반 청소년과 비행 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광웅, 유미숙, 유재령 (2004). 놀이치료학. 서울: 학지사.

Miller, G. A. (1951). Language and communication. New York: McGraw-Hill.

Osgood, C. E (1983). Psycholinguistics. In S. Koch(Ed.), Psychology: A study of a science (pp.244-316). New York: McGraw-Hill.

Smith, R. H., & Eyre, H. L. (2002). The role of public exposure in moral and nonmoral shame and guil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1), 138-159.

 

7. 영문제목, 저자명과 소속, 영문 초록과 주요어

- 참고문헌을 제시한 후 별지에 제시

- 저자명의 표기는 이름을 먼저 쓰고, 주요어는 이텔릭체로 제시

 

8. 부록

- 연구에 사용된 자극재료, 연구용 프로그램, 새롭게 개발된 척도에 관한 정보 수록

- 영문 초록 뒷면, 새로운 쪽에 시작

- ‘부 록이라는 제목은 첫줄 중앙에, 신명조, 11포인트(복수 연구의 경우 12), 진하게

- 부록의 내용 제목은 중고딕체, 10포인트, 중앙에, 내용은 신명조 9포인트

- 부록이 여러 개일 경우는 일련번호 부여

 

3절 부호, 기호, 및 약어의 사용

 

1. 구두점

1) 마침표

- 한 문장이 끝났을 때 반드시 찍음

- 약자, 인용, 숫자, 참고문헌의 표기에서도 규칙에 따라 사용

 

2) 쉼표

- 3개 이상의 항목을 나열할 때

- 마지막 항목 앞에 ()’또는을 사용

 

3) 세미콜론

- 앞 글자에 붙여 표기하고, 한 칸 띄우고 뒷 글자 시작

- 이미 쉼표가 사용된 문장의 요소들을 구분할 때

본문에서 여러 개의 참고문헌이 나열되는 경우 각 문헌을 구분할 때 사용함

 

4) 콜론

- 앞 글자에 붙여 표기하고, 한 칸 띄우고 뒷 글자 시작(단 비울 표시할 때는 붙여 사용)

- 논문 제목에 부제를 달 경우

참고문헌에서 출판 지역과 출판사를 구분할 때

비율을 표시할 때

원전과 재인용 문헌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

 

5) 괄호

- 앞 글자에 붙여서 사용, 통계의 자유도 표시도 마찬가지.

- 4, 8항목의 경우와 영문에서 괄호를 사용할 경우는 앞 글자와 띄워서 사용

- 독립적 요소를 묶을 때. (, 문장 전체를 괄호로 묶을 때는 마침표를 괄호 안에, 문장의 일부를 괄호로 묶을 때는 괄호 밖에 찍는다.)

인용한 참고문헌을 문장과 구별하여 기술할 때. 영문으로 된 문헌에서는 두 명 이상의 저자를 표기할 때, 문장 안에서는 ()”등 한글을 사용하고, 괄호 안에 표기할 때는 쉼표(영문에서는 “&”)를 사용

축약어를 사용할 때. 축약어를 처음 소개할 때는 원문으로 풀어쓰고 다음부터 축약어 사용

일련의 항목들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문자를 사용할 때

수학적 표기나 공식을 묶어 제시할 때

직접 인용할 글의 제시문 또는 페이지 번호를 표시할 때

소괄호 안의 문장에서 다시 괄호로 묶기보다는 문장을 풀어서 쓴다.

참고문헌 목록의 부분에서 저자에 이어 나타나는 연도는 괄호로 묶어 제시하고 저자명과 한 칸 띄운다.

 

6) 인용

- 큰따옴표(“ ”) 사용

원전에서 직접 인용하는 경우나 특정인의 말이나 표현을 자구 그대로 두세 문장 정도로 인용하는 경우

(그러나 인용부분이 길어지면 좌단 여백에서 세 글자 들여 쓴 문단을 신명조, 9포인트로 써줌)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제목이나 단행본의 소단원의 제목을 표기할 때

검사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거나, 실험 과정에서 연구 대상에 대한 지시를 그대로 표현할 때

- 작은따옴표(‘ ’) 사용

큰따옴표로 인용한 문장 내에서 또 인용부호는 사용해야 할 경우

실험재료, 신조어, 강조하고자 하는 말, 빗대어한 말, 속어 등을 표기할 때

(, 이러한 용어를 처음 소개할 때만 인용부호 쓰고 그 이후에는 사용 안 함)

 

2. 철자법 및 축약어의 사용

1) 철자법

- 한글맞춤법 준수

- 복수의 표현은 앞에 개수가 분명히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만 복수형(“”)을 사용

 

2) 축약어 사용

- 처음 제시할 때는 정확한 용어를 제시하고 축약어를 소괄호 안에 넣어 제시함, 이후에는 축약어 사용 가능

- 심리학 학술지에서 자주 사용되는 축약어

conditioned stimulus (CS) conditioned avoidance (CA)

consonant-vowel-consonant (CVC) intertrial interval (ITI)

reaction time (RT) short-term memory (STM)

 

3) 측정 및 통계의 단위로서의 약자

- 미터법 단위나 통계 기호는 약자 사용 원칙

 

4) 마침표가 함께 사용되는 약자

- 이름의 첫 글자만 쓸 때 지명의 약자 라틴계의 약자 참고문헌의 약자에 마침표 함께 사용

- , 대문자 약자의 경우와 미터법과 비미터법 단위의 약자의 경우 마침표 사용 안 함

 

4절 숫자와 통계치의 제시

 

1. 숫자(기수, 서수, 소수의 사용)

1) 기수

- 아라비아 숫자로 사용하는 것이 원칙

- 다음과 같은 경우 수를 문자로 표기 가능

정확한 측정치를 나타내지 않거나, 10이상의 수와 비교하지 않는 경우

수의 범위가 클 때 아라비아 숫자와 문자로 함께 표기 예) 80

아라비아 숫자 뒤에 측정단위를 함께 표기할 경우 (, 영문인 경우 한 칸 띈다) ) 15, 20%, 25 cm

 

2) 서수

- 열 번째 이하는 문자로 표기하되, 그 이상의 경우는 아라비아 숫자 사용

- 서로 비교나 대응이 필요할 경우는 모두 아라비아 숫자 사용해도 무방

 

3) 소수

- 소수점은 1단위 숫자 옆에 찍고, 1미만의 수는 소수점 앞에 0을 사용

- 표나 그림에서는 1미만의 수는 소수점 앞에 0을 사용 안 함

- 통계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소수점 이하 두, 세자리 까지 표기

- 상관계수, 비율, 통계의 유의도 수준 등 절대치가 1.0을 넘지 않는 숫자는 0표기 안 함

 

2. 통계치 및 공식

1) 통계기호 글자체

- 모집단을 나타내는 모수 통계치는 그리스 소문자 사용

- 표본의 통계치의 경우는 이텔릭체 또는 라틴 문자 사용

- 변인이 아닌 약자는 신명조로, 벡터 표시 기호는 진하게

- 다른 모든 통계 기호는 이텔릭체로 표기 eg. F, t, p

 

2) 공식

- 읽기 좋게 끊어서 표기 예) a + b = c

- 나누기 기호는 ‘/’, 괄호를 적절히 사용

- 새 줄에 시작하고 위와 아래 한 줄을 띄워줌

 

5절 표의 제시

 

1.

1) 표의 구성 : 표는 표번호. 제목. 본문, 주 로 구성된다. 표는 표 자체로 이해 가능해야하므로 표에 사용된 모든 약자, 밑줄 친 것, 괄호 등을 설명하고 측정단위는 분명히 밝힌다.

2) 표의 제목 : 제목은 간단하지만 명확하게 제시. 제목에 약자가 들어가면 주나 괄호를 사용하여 셜명한다. 제목은 표의 왼쪽에 붙여서 중고딕 9포인트로 표기한다. 표 번호에 붙여서 마침표를 찍고 한 칸 띄어서 제목을 기술한다. 제목이 두 줄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에 들여쓰기나 내어쓰기 없이 그대로 표기한다.

3) 표 작성의 줄긋기 : 표에 사용되는 줄은 명확성을 높여 줄 경우에만 사용하며 세로줄은 사용하지 말고 가로 줄만 사용한다. 가장 바깥 가로선은 굵은 선으로 쓰고 안쪽 가로선은 가는 선을 사용한다.

4) 표에서의 주 달기 : 표에서는 세 가지 종류의 주()를 사용할 수 있다. (중고딕 9포인트)라고 시작하고, 붙여서 마침표를 찍고, 한 칸 띄어서 내용은 신명조체로 작성

 

일반 주- 표와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 제공. 약자나 기호에 대한 설명

상세 주- 특정한 열이나 행을 가리키고 위첨자로 표시

확률 주- 검증의 유의도를 나타내며 별표는 귀무가설이 기각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

1. 성년이 된 딸의 가부장주의에 대한 믿음을 예측하는 변인들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성의 요약

변인

B

SE B

β

딸의 교육정도

-5.89

1.93

-.41

어머니의 나이

0.67

0.31

.2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