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국민참여재판의 선택과 기피: 수용자 조사

Choosing And Avoiding To Be Tried By Jury: A Survey With Prison Inmates

초록

국민참여재판은 사법의 민주적 정당성을 강화하고 투명성을 높임으로써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사법제도를 확립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다. 국민참여재판의 도입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형사재판이 참여재판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시범운영과정부터 법학자들을 중심으로 국민참여재판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 대표적인 논의점은 형사피고인들의 낮은 신청률에 대한 것으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 하였다. 본 연구는 피고인들이 참여재판을 기피하는 이유를 알아보고자, 과거 국민참여재판 대상사건의 형사피고인이었던 수용자 142명을 대상으로 참여재판의 선택과 기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피고인들은 국민참여재판이 본인에게 실익이 없고, 배심원들이 감정적 판단을 할 것이며, 판사, 검사, 변호사가 국민참여재판에 대하여 부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민참여재판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Lay participation Democracy Transparency Criminal Defendant Application Rate Inmates Attitude Toward Jury Trial 국민참여 민주성 투명성 형사피고인 신청률 수용자 배심재판에 대한 태도

Abstract

After 5 years of evaluation and revisions of the law, jury trials are currently in operation hoping to establish trust in the judicial system, by enforcing the democratic legitimacy and creating understanding of the judicial process. Problems within the jury trials have been discussed among legal experts who are also seeking new ways to operate in a new trial system. A low application rate by defendants is certainly one of the issues frequently brought up in their discussions, which legal experts believe that systematic studies are essential to understand low application rates by defendants. In the pursuit to identify the caus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42 inmates who were previously eligible for the trial by jury. It was found that the defendants themselves tended to have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jury trial. They also believed that judges, prosecutors, and lawyers also had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jury trials. The inmates suspected that emotion, rather than reason, would be the critical determinant of jurors’ judg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vitalizing the jury trials in Korea were discussed.

keywords
Lay participation Democracy Transparency Criminal Defendant Application Rate Inmates Attitude Toward Jury Trial 국민참여 민주성 투명성 형사피고인 신청률 수용자 배심재판에 대한 태도

참고문헌

1.

김범식 (2014). 국민참여재판 시행 6년의 경험.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6(2), 151-173.

2.

김병수, 민영성 (2011). 국민참여재판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사법행정, 23(1). 35-64.

3.

김용효 (2014). 국민참여재판제도의 효과적 정착을 위한 입법적 제언. 원광법학, 30(2), 143-176.

4.

김창렬 (2014). 국민참여재판제도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22(1), 197-227.

5.

김태규 (2008). 국민참여재판의 개선방안에 대한연구. 형사정책연구, 19(4), 127-156.

6.

김호겸, 박광섭 (2013). 국민참여재판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24(2), 301-337.

7.

박미숙 (2010). 국민참여재판의 시행성과와 향후과제. 형사정책연구, 21(2), 135-174.

8.

박호현, 김종호, 명도현 (2015). 국민의 형사재판 참여에 관한 법률 개정논의에 대한 고찰. 사회과학연구, 22(4), 327-352.

9.

법원 행정처 (2007). 국민참여재판 성과 분석. 서울: 법원행정처

10.

법원 행정처 (2010). 국민참여재판 성과 분석. 서울: 법원행정처

11.

신동운 (2006). 한국 형사사법의 개혁과 전망. 한국비교형사법연구, 8(1), 1-30.

12.

심희기 (2001). 1990년대 한국의 형사사법개혁운동의 상고와 전망: 권위주의의 해체와시민참여운동의 태동. 형사정책, 13(1), 355-373.

13.

이금옥 (2008). 국민참여재판의 시행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공법학연구, 9(4), 135-160.

14.

이동희 (2015). 국민참여재판의 성과와 과제:최종 형태안에 대한 평가와 제언을 포함하여. 저스티스, 143(3), 69-97.

15.

이인석 (2010). 국민참여재판의 동향과 양형. 국민의 사법참여연구회 학술토론회 자료집.

16.

점승헌 (2014). 국민참여재판제도의 문제점과개선방안. 원광법학, 30(1), 143-172.

17.

한상훈 (2008). 국민참여재판 제도의 정착방안. 저스티스, 106, 483-534.

18.

한성훈 (2012). 국민참여재판제도의 구조적 문제에 관한 연구. 법학논총, 29(2), 47-70.

19.

한성훈 (2014). 국민참여재판제도의 정착화 방안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17(3), 199-23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