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research universities, 검색결과: 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업무를 수행하면서 느꼈던 개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그들의 직업적 경험과 그 이면에 숨겨진 주관적인 경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사립대학교 도서관 사서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직업에 대한 경험은 ‘사서 직업에 대한 양면적 이미지’, ‘기대 인식과 현실과의 괴리’, ‘대학 조직 내에서 차별적 인사’, ‘직업적 경험으로부터 성장과 한계’, ‘급격한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과 불안’으로 요약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대학도서관 사서들은 매 순간 복잡한 맥락에서 딜레마에 부딪히고 이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직업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인력 운영 및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lve into the personal experiences of academic librarians as they perform their duties, seeking a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ir professional experiences and the subjective experiences underlying them.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librarians, who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from private four-year universities,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experiences of academic librarians can be summarized as “ambivalent perceptions of the librarian profession,” “discrepancies between expectations and reality,” “discriminatory personnel practices within university organizations,” “growth and limitations derived from professional experiences,” and “adaptation and anxiety in response to rapid environmental changes.” A closer examination indicated that academic librarians continuously experience and resolve dilemmas within complex contex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fession of academic librarian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strategies for workforce management and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2
이정윤(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김학래(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4, Vol.41, No.1, pp.189-210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189
초록보기
초록

문헌정보학 전공자는 사서직 공무원,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등 도서관 분야로 취업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최근의 정보기술 발전과 직업관의 변화는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진로를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하고 있다. 진로탐색에 대한 연구는 대학의 전공 또는 직업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지속적인 진로탐색을 위해 애자일 방식으로 설문조사와 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진로탐색 조사에 대한 결과를 분석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문헌정보학 전공자는 사회변화에 따라 급여, 가치관에 대한 변화가 있고, 사서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직종을 희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진로탐색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Individuals major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typically find employment in the library sector, such as working as librarians, university librarians, and in public libraries. Recent advance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shifts in work outlooks have broadened the profess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majoring in LIS in several sectors. Research on career exploration varies based on the university major or occupation. This paper suggests a methodology for conducting surveys and analyzing data efficiently to support ongoing career exploration for students majoring in LIS. It also examines the findings of a career exploration survey conducted among LIS majors. The survey findings indicate that individuals majoring in LIS are adapting their salary expectations and priorities in alignment with societal shifts, showing a preference for diverse career opportunities outside traditional librarian roles. Effective support and ongoing research are essential for the career development of LIS majors in this environment.

3
윤현수(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 오상희(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 이영미(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2024, Vol.41, No.1, pp.389-409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3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들의 생식건강정보 탐색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그 관계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건강신념모델(HBM)과 계획된행동이론(TPB)을 기반으로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감정적 평가를 주요 요인으로 정의하고 연구를 설계하였다. 대학생 온라인 커뮤니티인 ‘에브리타임’을 통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여대생들은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이익, 주관적 규범이 높을수록, 반면에 지각된 장애는 낮을수록, 인터넷을 통해 생식건강정보를 탐색할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대생들의 인터넷 생식건강 탐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여대생들의 성경험 유무, 생식기계 질환 경험 유무, 건강관심도 등에 따른 그룹 간의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본 연구결과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도서관이나 보건기관 등이 온라인 건강정보 문해교육이나 관련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여대생들의 생식건강 인식 정도를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female college students’ behaviors in seeking reproductive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HBM)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perceived sensitiv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 perceived barrier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affective evaluation were defined as key factors, and the study was designed accordingly. An online survey was distributed to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through the university student’s online community, ‘Everytim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n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to seek reproductive health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was associated with higher perceived sensitivity, perceived benefit, and subjective norms, and lower perceived barrie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erms of sexual experiences, experience with reproductive system disorders, and the level of health interest. We believe that this research outcome will contribute to assessing the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reproductive health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thereby aiding in the development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or related service programs by university libraries, health institutions, and similar entities targeting female college students.

4
이지원(대구가톨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이성숙(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4, Vol.41, No.1, pp.367-387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3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새로운 표준과 규칙의 제정이 이루어지고 또한 향후 예고되어 있음으로 큰 변화의 과정을 거치고 있는 목록학에 있어 그동안 연구가 거의 없었던 해외 연구들의 최근 동향과 지적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이후 14년간 발행된 논문 680편을 수집한 후, 이로부터 전처리를 거쳐 추출한 1,942개의 저자 키워드를 분석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 목록학 연구는 2017년 이후 주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상위빈도 연구주제는 편목, 메타데이터, RDA, 대학도서관, 전거 제어, 링크드 데이터, FRBR, 목록, LCSH, 도서관, 온라인목록이었다. 셋째, 연구주제들은 크게 도서관 목록의 전통적인 부분과 관련된 것과 최근 들어 더욱 활발하게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주제인 전거제어와 협동편목, RDA, 링크드데이터와 관련된 2개의 군집으로 나눌 수 있었고, 이를 14개 소군집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키워드 군집 14개의 성장지수와 표준 성과지수를 살펴본 결과, 하나의 군집을 제외하고는 학문 분야의 성장의 측면에서 모두 성장을 나타내는 수치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 학계와 현장을 위한 목록의 발전 양상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 및 관련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cent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ure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the field of catalog, which is undergoing a major change due to the enactment of new standards and rules and the anticipated future.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680 articles published in the 14 years since 2010 and analyzed 1,942 author keywords extracted from them after preprocessing. The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verseas cataloging research has seen notable growth since 2017. Second, the most frequent research topics were: cataloging, metadata, RDA, university libraries, authority control, linked data, FRBR, catalog, LCSH, libraries, andonline cataloging. Third, the research themes were divided into two clusters, one related to the traditional aspects of library cataloging and the other related to the more recently discussed topics of authority control, cooperative cataloging, RDA, and linked data, which were further subdivided into 14 subclusters. Fourth, we looked at the growth index and standard performance index of the 14 keyword clusters and found that all but one cluster showed growth in terms of discipline grow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predicting the future development of inventories for Korean academia and the field and for related education.

5
이혜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엄정호(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신영호(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임형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한나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24, Vol.41, No.2, pp.245-268 https://doi.org/10.3743/KOSIM.2024.41.2.245
초록보기
초록

데이터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데이터를 관리, 보존, 활용하는 데 있어서 데이터 리포지토리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reTrustSeal(CTS) 인증 획득을 한 리포지토리의 신청서를 비교분석하여, 데이터 리포지토리의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을 조사한다. 데이터 리포지토리에 대한 신뢰는 데이터 보호뿐만 아니라 리포지토리와 이해관계자 간의 신뢰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에도 중요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데이터 보존 및 활용에 대한 연구자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리포지토리에 대한 국제 인증인 CTS를 조사하여 리포지토리의 신뢰성과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그리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운영하는 국내 최초 CTS 인증 리포지토리인 DataON을 사례로 CTS 인증을 획득한 4개 리포지토리를 비교 분석한다. 여기에는 DataON, NASA의 PO.DAAC, 제네바 대학의 Yareta 및 독일의 DARIAH-DE 리포지토리가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리포지토리가 CTS가 정한 필수 요구 사항을 어떻게 충족하는지 조사하고, 데이터 리포지토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제안한다. 주요 조사 결과에 따르면, CTS 인증을 획득하려면 데이터 리포지토리는 조직 인프라, 디지털 객체 관리 및 기술 측면에서 정책, 시스템, 자원 관리 등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있고, 이를 CTS인증서에 명확하게 서술하고 근거를 보여주어야 한다. 본 연구는 투명한 데이터 프로세스, 강력한 데이터 품질 보증, 향상된 접근성 및 유용성, 지속 가능성, 보안 조치, 법적 및 윤리적 표준 준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전략을 구현함으로써 데이터 저장소는 신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과학 분야에서 더 폭넓은 데이터 공유 및 활용을 촉진할 수 있다.

Abstract

As the recognition of data’s value increases, the role of data repositories in managing, preserving, and utilizing data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is study investigates ways to enhance the trustworthiness of data repositories through obtaining CoreTrustSeal (CTS) certification. Trust in data repositories is critical not only for data protection but also for building and maintaining trust between the repository and stakeholders, which in turn affects researchers’ decisions on depositing and utilizing data. The study examines the CoreTrustSeal, an international certification for trustworthy data repositories, analyzing its impact on the trustworthiness and efficiency of repositories. Using the example of DataON, Korea’s first CTS-certified repository opera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the study compares and analyzes four repositories that have obtained CTS certification. These include DataON, the Physical Oceanography Distributed Active Archive Center (PO.DAAC) from NASA, Yareta from the University of Geneva, and the DARIAH-DE repository from Germany. The research assesses how these repositories meet the mandatory requirements set by CTS and proposes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trustworthiness of data repositories. Key findings indicate that obtaining CTS certification involves rigorous evaluation of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 digital object management, and technological aspects.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ransparent data processes, robust data quality assurance, enhanced accessibility and usability, sustainability, security measures, and compliance with legal and ethical standards. By implementing these strategies, data repositories can enhance their reliability and efficiency, ultimately promoting wider data sharing and utilization in the scientific community.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