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연령대를 확대한 경우에도 서두름 행동의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확인하고, 성과 연령에 따른 서두름 행동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602명의 성인이 서두름 행동 질문지에 응답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59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서두름 행동은 5개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이것은 다시 2구조를 재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을 확대해도 서두름 행동의 구성요인과 구조는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녀의 서두름 행동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여성의 서두름 행동 수준이 남성의 서두름 행동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서두름 행동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를 통해 남녀의 서두름 행동 차이의 의미를 해석하였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서두름 행동 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속도저하가 신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심리적 기제와도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단서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hasty behaviors were structurally maintained even after the expansion of age zones an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hasty behaviors by gender and age. To this end, an analysis was made of the data of 591 respondents after excluding the insincere respondents from the 602 adults who had replied to the survey on hasty behaviors. Its results showed that a hasty behavior consisted of 5 factors regardless of age. Even when age was expanded, a hasty behavior maintained its structural stability. On the other hand, women were higher than men in the average score of hasty behaviors. Lastly, hasty behavior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age. The gender differences in hasty behavior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ose in time pressure perception and task processing method. They were presented to show that the speed reduction by age increase is related to psychological mechanism as well as bodily function.
경향신문 특별취재팀 (2006). 우리도 몰랐던 한국의 힘. 서울: 한스미디어.
김동우, 박선진, 이순철 (2009). 서두름 행동이 운전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4), 487-506.
김애순 (2002). 성인발달과 생애설계. (주) 시그마프레스.
박선진, 이순철 (2009). 서두름 행동이 과제수행의 속도와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및조직, 22, 469-485.
오강섭, 허묘연, 이시형 (1999). 대인불안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상관관계. 신경정신의학, 38(1), 64-76.
이순철 (2001). 산업재해와 오류행동. 사회과학연구, 18(2), 231-250,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이순철, 박선진 (2007). 서두름의 심리적 구조. 2007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512-513.
이순철, 박선진 (2008). 서두름 행동의 심리적 구조 및 특성 파악: 서두름 행동, 확인생략행동, 성취욕구 간의 관계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2), 63-81.
차승은 (2010). 남녀의 시간압박인식 차이와 관련요인 탐색. 한국인구학, 33(1), 27-49.
현성용, 김교헌, 김미리혜, 김아영, 김현택, 박동건, 성한기, 유태용, 윤병수, 이순묵, 이영호, 이재호, 이주일, 진영선, 채규만, 한광희, 황상민 (2008). 현재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Abdi, B. (2010).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skills, problem behaviours and academic competence of Iranian kindergarten children based on their parent and teacher rating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5, 1175-117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5).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제 4판.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atal Disorders]. (이근후 등 역). (원전 1994년에 출판)
Ball, I. L., Farnill, D., & Wangeman, J. F. (1984). Sex and age differences in sensation seeking: Some national comparison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75(2), 257-265.
Ball, K. (2010). What's the Hurry? Association of peri-Operative Registered Nurse(AORN), 91, 647 -648.
Dahlen, E. R., Martin, R. C., Ragan, K., & Kuhlman, M. M. (2005). Driving anger, sensation seeking, impulsiveness, and boredom proneness in the prediction of unsafe driving.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37, 341-348.
Maines, D., & Hardesty, M. (1987). Temporality and Gender: Young Adults' Career and Family Plans, Social Forces, 66, 102-120.
Rudolph, K. D. (2002).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Responses to Interpersonal Stress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0, 3-13.
Zuckerman, M., Eysenck, S. B., & Eysenck, H. J. (1978). Sensation seeking in England and America: Cross-culture, age, sex comparis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6(1), 139-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