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유학생의 문화적응전략, 민족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우울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on, ethnic grou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4, v.20 no.1, pp.1-18
김현옥 (충북대학교)
추상엽 (충북대학교)
임성문 (충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Berry(1997)가 제시한 문화적응전략에서 통합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응적이라고 보고된 대부분의 연구결과와 달리 근래 몇몇 연구들에서 동화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적응적임을 보여주었다. 그 이유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류사회가 이주자들에게 주류사회에 동화되기를 기대하고 있고 이주자가 주류사회와 유사한 문화를 가지고 있을 때 동화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응적일 것이라고 추론하고, 이 추론을 한국문화와 유사한 문화를 가지고 있는 중국조선족 유학생과 전혀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는 중국한족 유학생을 대상으로 검증해 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조선족 유학생 63명과 중국한족 유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전략, 심리적 안녕감, 우울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4(문화적응전략)☓2(민족유형)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모두에서 문화적응전략과 민족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즉 예측대로 중국조선족 유학생의 경우 동화를 사용할 때 가장 높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낮은 우울을 보였다. 그러나 통합을 사용할 때 가장 낮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높은 우울을 보였다. 중국한족 유학생의 경우 예측대로 통합을 사용할 때 가장 높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낮은 우울을, 주변화를 사용할 때 가장 낮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높은 우울을 보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중국유학생의 적응을 돕기 위한 개입 방안에 대한 함의를 기술하였다.

keywords
문화적응전략, 민족유형, 심리적 안녕감, 우울, Acculturation strategies, ethnic type,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bstract

In some studies regarding acculturation strategies developed Berry(1997), not the preference for integration, but the preference for assimilation showed the best adjustmen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the majority of studies. For the reason of these results, we supposed that when the people of the host society expect the minority members to be assimilated to the host society and the minority members have very similar culture to the host society, the preference for assimilation in the minority members would show the best adjustment. And we tested this hypothesis with Korean-Chinese who had very similar culture to Korean culture and Han-Chinese who had very different culture from Korean culture. For two hundred and twenty five students(63 Korean-Chinese and 162 Han-Chinese), we asked them to complete a questionnaire including Acculturation Strategies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and Depression Inventory.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sed using two-way ANOVA. As a result, the interaction effect of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ethnic types affected both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In details, for Korean-Chinese students, the preference for assimilation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lowest levels of depression, but the preference for integration showed the lowest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highest levels of depression. For Han-Chinese students, the preference for integration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lowest levels of depression, and the preference for marginalization showed the lowest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highest levels of depression. We discussed the meanings of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interventions to help chinese students adjust Korean society.

keywords
문화적응전략, 민족유형, 심리적 안녕감, 우울, Acculturation strategies, ethnic type,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참고문헌

1.

경수영, 장수미 (2010).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과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4, 399-421.

2.

교육부 (2013). 2013년도 국내 외국인 유학생 통계. http://www.moe.go.kr/web/100099/ko/ board/view.do?bbsId=350&boardSeq=50887&mode=view.에서 2013, 12, 20 인출.

3.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40.

4.

김민선, 석분옥, 박금란, 서영석 (2010). 중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 및 신체화의 관계: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적응적 완벽주의의 중재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9(4), 725-745.

5.

김소정, 송하나 (2011). 재한 중국유학생의 인지적 종결욕구,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8(2), 219-234.

6.

김재우 (2005). 재한 중국인 유학생이 느끼는 차별과 대처방식이 문화적응유형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혜숙, 김도영, 신희천, 이주연 (2011).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 집단정체성, 문화적응 이데올로기와 접촉이 이주민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51-89.

8.

김후조 (2011).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낙관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희자 (2010). 중국 연변 조선족 생활문화 연구-문화콘텐츠 개발을 중심으로-.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5, 5-41.

10.

노고운 (2001). 기대와 현실 사이에서: 한국내 조선족 노동자의 삶과 적응전략.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선자 (2010). 재한 일본인 유학생의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유형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소 명 (2013). 재한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손한나, 이영호 (2011). 유학생의 자기 결정적 동기, 문화적응, 정신건강의 관계. 인격교육, 5(1), 83-107.

14.

송원영, 리 난 (2008).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유형에 다른 유학 초기 심리적 적응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5(2), 159-173.

15.

이해응 (2010). 다문화제도화의 포함 배제논리와 조선족-중국동포의 위치성. 미드리, 2, 6-17.

16.

임수진, 한규석 (2009). 중국인 유학생이 겪는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3), 413- 427.

17.

임지현 외 (2000). 우리 안의 파시즘. 서울: 삼인.

18.

장윤수 (2006). 중국조선족 문화생활과 민족문화. 한국동북아논총, 39, 97-117.

19.

장준량 (2009). 재한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기통제력 및 정서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장혜경, 한수경, 양남영, 유명란, 고은자, 김희경, 임경춘, 이미라, 손연정 (2010). 국내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극복력과 건강상태. 성인간호학회지, 22(6), 653-662.

21.

전겸구, 이민규 (1992). 한국판 CES-D 개발연구 1. 한국심리학회 92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437-444.

22.

정진경, 김재우 (2005). 차별지각, 차별에 대한 대처전략과 문화적응유형의 관계: 재한 중국인 유학생 연구. 사회과학연구, 22(2), 295-321.

23.

정진경, 양계민 (2004). 문화적응이론의 전개와 현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1), 101-136.

24.

정진경, 조정아 (2008). 새터민과 남한주민을 위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487-518.

25.

진 결 (2010). 중국유학생의 외로움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진미진, 조유진 (2011).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4(4), 77-89.

27.

진민진, 배성만, 현명호 (2011). 중국인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4), 783-797.

28.

채정민, 한성열, 허태균, 김동직 (2002). 북한 이탈주민용 문화적응 전략척도 개발. 한국사회 및 성격 심리학회 2002년 동계학술대회, 85-94.

29.

최금해 (2008). 재한 중국 유학생의 학교생활과 사회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0(1), 115-138.

30.

허춘영 (1998). 재한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과 정신건강 실태: 한족, 조선족 유학생간의 비교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황해연 (2007). 재한 중국유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Berry, J. W. (1980). Acculturation as varieties of adaptation. In A. M. Padilla (Eds.), Acculturational theories, models and findings. Boulder, CO: Westview.

33.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1), 5-68.

34.

Berry, J. W. (2005). Acculturation: Living successfully in two cul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9(6), 679-712.

35.

Berry, J. W., & Kim, U. (1988). Acculturation and mental health. In P. Dasen, J. W. Berry, & N. Sartorius (Eds.), Health and cross-cultural psychology (pp.207-.236). Newbury Park: Sage.

36.

Berry, J. W., & Sabatier, C. (2010) Acculturation, discrimination, and adaptation among second generation immigrant youth in Montreal and Pari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4(3), 191-207.

37.

Berry, J. W., Phinney, J. S., Sam, D. L., & Vedder, P. (2006). Immigrant youth: Acculturation, identity,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55(3), 303-332.

38.

Bourhis, R., Moise, C., Perrault, S., & Senecal, S. (1997). Towards an interactive acculturation model: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2(6), 369-386.

39.

Chen, H., Mallinckrodt, B., & Mobley, M. (2002). Attachment patterns of East Asian international students and sourc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s moderators of the impact of U.S. racism and cultural distress. Asian Journal of Counseling, 9(1-2), 27-48.

40.

Constantine, M. G., Okazaki, S., & Utsey, S. O. (2004). Self-concealment, social self-efficacy,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in African, Asian, and Latin American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4(3), 230-241.

41.

Curran, M. J. (2003). Across the water. The acculturation and health of Irish people in London. Dublin: Trinity College, Psychology Department.

42.

Fung W. (2005). A study of acculturation, cop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new immigrant women from mainland China.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Hong Kong.

43.

Furukawa, T. (1997). Depressive symptoms among international exchange students, and their predictors.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96(4), 242-246.

44.

Kosic, A. (2002). Acculturation attitudes, need for cognitive closure, and adaptation of immigrant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2(2), 179-201.

45.

Kosic, A., Mannetti, L., & Sam, D. L. (2005). Self-monitoring: A moderating role between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adaptation of immigr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0(2), 141-157.

46.

Kunst, J. R., & Sam, D. L. (2013).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cculturation expectations and Muslim minority youth's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7(4), 477-490.

47.

Li, A., & Gasser, M. B. (2005). Predicting Asian international students’ sociocultural adjustment: A test of two mediation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9(5), 561-576.

48.

Lin, J-C. G., & Yi, J. K. (1997). Asian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Issues and program suggestions. College Student Journal, 31(4), 473-479.

49.

Misra, R., & Castillo, L. G. (2004). Academic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Comparison of Americ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1(2), 132-148.

50.

Mori, S. (2000). Addressing the mental health concerns of international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8(2), 137-144.

51.

Pfafferott, I., & Brown, R. (2006). Acculturation preferences of majority and minority adolescents in Germany in the context of society and family.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0(6), 703-717.

52.

Radloff, L. (1977).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53.

Raffaelli, M., Torres Stone, R. A., & Iturbide, M. I. (2007). Acculturation, gender, and alcohol use among Mexican American college students. Addictive Behaviors, 32(10), 2187-2199.

54.

Reilly, A., Ryan, D., & Hickey, T. (2010).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of short-term international students in Ireland.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51(5), 584-598.

55.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56.

Sumer, S., Poyrazli, S., & Grahame, K. (2008).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6(4), 429-437.

57.

Tananuraksakul, N., & Hall, D. (2011). International students' emotional security and dignity in an Australian context: An asp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Research in International Education. 10(2), 189-200.

58.

Wei, M., Heppner, P. P., & Mallen, M. J. (2007). Acculturative stress, perfectionism, years in the United States, and depression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4(4), 385-394.

59.

Yeh, C. J., & Inose, M. (2003). International students' reported english fluency, social support satisfaction, and social connectedness as predi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Counseling Psychology Quarterly, 16(1), 15-28.

60.

Zheng, X., Sang, D., & Wang, L. (2004). Accultur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hinese students in Australia.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5(1), 57-72.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