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의 종단관계 검증: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통한 성별 간 다집단 분석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the Experience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Multigroup Analysis by Gender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8, v.24 no.1, pp.1-27
https://doi.org/10.20406/kjcs.2018.2.24.1.1
박지수 (성균관대학교)
한윤선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학교폭력의 지속성과 가해와 피해의 악순환이 문제로 떠오르고 있어 장기적이고 다각적인 접근이 시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적 가해나 피해를 이끄는 요인으로 이전 시점의 가해와 피해경험에 주목하였으며, 가해피해자 집단에게서 살펴볼 수 있는 역동성은 상호적 인과관계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계에서 성별의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함께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3차년도부터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N = 1,881). 가해경험과 피해경험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하였고 성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시간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여 이전 시점의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다음 시점의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을 각각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의 역동성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이전 시점의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각각 이후 시점의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을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예방과 개입 방안이 단기간에 효과를 내는 일시적 프로그램으로 제공되기 보다는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과 학교폭력의 양상을 고려하는 하나의 과정으로써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keywords
학교폭력, 가해자, 피해자, 가해피해자,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 School Violence, Bully, Victim, Bully-victim,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sistent and dynamic association between bullying and victimization. Gender differences in patterns of school bullying was hypothesized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were based on waves 3-6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N = 1,881).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reciprocal association between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 longitudinal data. As hypothesized, regardless of gender, lagged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each time points such that current bullying caused future bullying and current victimization led to future victimization. However, there was no cross-lagged effects of current victimization on future bullying nor current perpetration on future victimization for both male and female youth. Findings from this study may have implications for designing policies against school bulling. Not only is short-term intervention for handling immediate psycho-social maladjustment important, but so are long-term plans that prevent youth from falling into continued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in the system of school bullying.

keywords
학교폭력, 가해자, 피해자, 가해피해자,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 School Violence, Bully, Victim, Bully-victim,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참고문헌

1.

고경은, 이수림 (2015).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복경험 중학생의 특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23(1), 1-28.

2.

고광만 (2012). 또래 괴롭힘을 경험한 아동들의 공격성 발달 궤적 연구. 생애학회지, 2(2), 67-80.

3.

교육과학기술부 (2014).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보도자료. 2014년 11월 28일. 교육과학기술부 홈페이지: http://www.moe. go.kr에서 검색.

4.

곽금주 (2008). 한국의 왕따와 예방프로그램.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255-272.

5.

곽대경, 박현수 (2012). 청소년의 지속적 폭력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공안행정학회보, 47(-), 46-82.

6.

곽현석, 김종훈, 김경성 (2016).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의 인과관계 검증: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27(3), 37-56.

7.

관계부처합동 (2012).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 서울: 국무총리실․교육과학기술부 등.

8.

권세원, 이동은, 장은혜, 한기주 (2013). 고등학교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중학생 시기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종단적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11), 205-231.

9.

권재기 (2011).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의 발달양상과 내면화, 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잠재계층 성장분석 (LCGA), 다집단 성장혼합모형 (GMM)을 이용한 종단연구. 한국아동복지학, 34(-), 96-127.

10.

기광도 (2012). 청소년 폭력비행에 관한 경험적 연구: 가정, 학교, 친구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11(2), 61-86.

11.

김미선 (2015).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의 매개효과. 한국치안행정논집, 12(3), 1-22.

12.

김미영 (2007). 학교체계가 중학생의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18(2), 287-314.

13.

김부경, 한윤선 (2016). 또래동조성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SNS 또래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9), 339-348.

14.

김세원 (2003).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재엽, 성신명, 김준범 (2015).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복경험 청소년의 우울, 공격성, 자기통제력과 가정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가해, 피해 집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31), 83-109.

16.

김주희 (2005). 학교폭력 가해, 피해, 가피해 유형과 정서 행동문제 및 사회능력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현숙 (2013). 지속된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신체발달, 사회정서발달,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5(2), 121-143.

18.

김혜원 (2011). 청소년들의 집단따돌림과 집단괴롭힘 피해 경험에 따른 심리적 부적응 및 학교 부적응. 청소년학연구, 18(5), 321- 356.

19.

노성호 (2011). 청소년비행에 있어서 가해와 피해의 유사성에 대한 검토. 사회과학논총, 26(2), 93-115.

20.

노언경, 홍세희 (2013). 이중 변화형태 모형을 적용한 초기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의 분류 및 예측. 조사연구, 14(2), 49-76.

21.

노충래, 김현경 (2004). 중학생의 부부폭력 목격경험, 아동학대, 학교폭력 가해여부의 공존성 및 학교폭력 가해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사회복지연구, 5(-), 79-107.

22.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23.

박영종 (2015). 중학생의 가정폭력 경험과 학교폭력의 관계: 또래 동조성과 공격성의 중다매개효과.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서 윤 (2014).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지속성 및 노출정도가 청소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6), 223- 253.

25.

송지연, 오인수 (2015). 자기보고와 또래지명 방식에 따른 학교폭력 경험의 측정 방법 비교 분석. 상담학연구, 16(4), 377-394.

26.

신혜섭 (2005). 연구논문: 중학생의 학교폭력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가해경험, 피해경험, 가해, 피해 중복경험에 대한 분석. 청소년학연구, 12(4), 123-149.

27.

이규미, 이대식, 김영혜 (2003). 심각한 폭력(살인) 가해 학생에 대한 사례 분석: 폭력 유발 요인과 예방안.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367-382.

28.

이석영, 이택호, 한윤선 (2015). 청소년의 폭력비행 피해가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 우울,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50(-), 27-53.

29.

이성식 (2003). 청소년들의 폭력환경이 상황인지와 분노,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가정, 학교, 지역환경의 영향 비교. 형사정책연구, 54(-), 357-381.

30.

이순철 (2004). 청소년의 문제행동 이해를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의 모색.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0(특집호), 1-10.

31.

이유나 (2015). 학교폭력 피해-가해 중첩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응택, 유난영, 주현주, 임승희 (2014).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5 (3), 145-168.

33.

임준태, 강소영 (2009). 청소년 집단괴롭힘의 심리적 기제와 통제방안. 사회과학연구, 16(1), 179-203.

34.

장덕희 (2007). 연구논문: 청소년 학교폭력의 중복특성과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4(6), 69-97.

35.

장안식 (2013). 학교 폭력 피해 경험에 따른 발달적 변화. 한국범죄학, 7(1), 61-82.

36.

전혜리, 조영일 (2015). 학교폭력 가해 경험과 음주 및 흡연 경험의 종단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22(1), 111-129.

37.

정익중, 이지언 (2012). 학대와 따돌림이 청소년기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한국청소년연구, 23(2), 217-242.

38.

조윤오 (2012).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범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피해자학연구, 20(1), 511-534.

39.

조윤오 (2013).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발생실태 및 유발요인 차이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5(1), 155-179.

40.

조주영, 오인수 (2014).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유형과 유형변화 및 정서문제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25(4), 301-323.

41.

청소년학교폭력예방재단 (2014). 전국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 Retrieved from https://www .edujikim.com/customercenter/board/default/view_b.asp?intBbsSeq=8&Page=1&intArticleSeq= 100097.

42.

허묘연 (1999).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홍세희, 박민선, 김원정 (2007). 인터넷 중독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성별간 다집단 분석. 교육심리연구, 21(1), 129-143.

44.

홍태화, 황순택 (2015).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 간의 종단적 관계. 청소년학연구, 22(11), 545-568.

45.

황혜원, 신정이, 박현순 (2006). 초기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대한 생태체계적 요인들 간의 경로분석. 아동과 권리, 10(4), 497-526.

46.

Agnew, R. (2001). Building on the foundation of general strain theory: Specifying the types of strain most likely to lead to crime and delinquency.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8(4), 319-361.

47.

Agnew, R. (2002). Experienced, vicarious, and anticipated strain: An exploratory study on physical victimization and delinquency. Justice Quarterly, 19(4), 603-632.

48.

Andershed, H., Kerr, M., & Stattin, H. (2001). Bullying in school and violence on the streets: are the same people involved? Journal of Scandinavian Studies in Criminology and Crime Prevention, 2(1), 31-49.

49.

Broidy, L. M., Nagin, D. S., Tremblay, R. E., Bates, J. E., Brame, B., Dodge, K. A.,... Vitaro, F. (2003).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childhood disruptive behaviors and adolescent delinquency: a six-site, cross-national study. Developmental Psychology, 39(2), 222-245.

50.

Browne, M. W., & Cudeck, R. (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230-258.

51.

Carney, A. G., & Merrell, K. W. (2001). Bullying in schools: Perspectives on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an international problem.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22(3), 364-382.

52.

Chen, F. F. (2007). Sensitivity of goodness of fit indexes to lack of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3), 464-504.

53.

Chen, X. (2009). The Link Between Juvenile Offending and Victimization The Influence of Risky Lifestyles, Social Bonding,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Youth Violence and Juvenile Justice, 7(2), 119-135.

54.

Cornell, D. G., & Brockenbrough, K. (2004). Identification of bullies and victims: A comparison of methods. Journal of School Violence, 3(2-3), 63-87.

55.

Craig, W. M. (1998). The relationship among bullying, victimization, depression, anxiety, and aggress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4(1), 123-130.

56.

Dukes, R. L., Stein, J. A., & Zane, J. I. (2010).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ve impact of physical and relational bullying on adolescent injury and weapon carrying.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8(6), 511-532.

57.

Grills-Taquechel, A. E., Norton, P., & Ollendick, T. H. (2010).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factors predicting anxiety during the transition to middle school. Anxiety, Stress, & Coping, 23(5), 493-513.

58.

Hanish, L. D., & Guerra, N. (2004). Aggressive victims, passive victims, and bullies: Developmental continuity or developmental change? Merrill-Palmer Quarterly, 50(1), 17-38.

59.

Hay, C., & Evans, M. M. (2006). Violent victimization and involvement in delinquency: Examining predictions from general strain theory. Journal of Criminal Justice, 34(3), 261-274.

60.

Haynie, D. L., Nansel, T., Eitel, P., Crump, A. D., Saylor, K., Yu, K., & Simons-Morton, B. (2001). Bullies, victims, and bully/victims: Distinct groups of at-risk youth.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1(1), 29-49.

61.

Hu, L.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5.

62.

Juvonen, J., & Graham, S. (2014). Bullying in schools: The power of bullies and the plight of victim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5(-), 159-185.

63.

Ma, X. (2001). Bullying and being bullied: To what extent are bullies also victim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8(2), 351-370.

64.

Ma, X. (2004). Who are the victims. In C. E. Sanders, G. D. Phye (Eds.), Bullying: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pp. 19-34). CA: Elsevier Academic Press.

65.

Marsh, H. W., Parada, R. H., Craven, R. G., & Finger, L. (2004). In the looking glass: A reciprocal effect model elucidating the complex nature of bullying, psychological determinants, and the central role of self-concept. In C. E. Sanders, G. D. Phye (Eds.), Bullying: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pp. 63-109). CA: Elsevier Academic Press.

66.

Moffitt, T. E. (1993). Adolescence-limited and life-course-persistent antisocial behavior: a developmental taxonomy. Psychological Review, 100(4), 674-701.

67.

Muthén, L.K. and Muthén, B.O. (1998-2015). Mplus User’s Guide. Seventh Edition. Los Angeles: Muthén & Muthén.

68.

Nansel, T. R., Overpeck, M., Pilla, R. S., Ruan, W. J., Simons-Morton, B., & Scheidt, P. (2001). Bullying behaviors among US youth: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psychosocial adjustment.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5(16), 2094-2100.

69.

Olweus, D. (1993a). Victimization by peers: Antecedents and long-term outcomes. In K. H. Rubin, J. B. Asendorpf (Eds.), Social withdrawal, Inhibition, and Shyness in childhood(pp. 315-341). NJ: Erlbaum.

70.

Olweus, D. (1993b).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MA: Blackwell Publishing.

71.

Olweus, D. (1995). Bullying or peer abuse at school: Facts and interventio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4(6), 196-200.

72.

Pellegrini, A. D. (2004). “Bullying during the middle school years. In C. E. Sanders, G. D. Phye (Eds.), Bullying: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pp.177-202). CA: Elsevier Academic Press.

73.

Pellegrini, A. D., & Bartini, M. (2000). A longitudinal study of bullying, victimization, and peer affilia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school to middle schoo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7(3), 699-725.

74.

Pellegrini, A. D., Bartini, M., & Brooks, F. (1999). School bullies, victims, and aggressive victims: Factors relating to group affiliation and victimization in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1(2), 216-224.

75.

Pellegrini, A. D., Long, J. D., Solberg, D., Roseth, C., Dupuis, D., Bohn, C., & Hickey, M. (2010). Bullying and social status during school transitions. In S. R. Jimerson, S. M. Swearer, D. L. Espelage (Eds.), Handbook of bullying in school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pp. 199-210). NY: Taylor & Francis.

76.

Perry, D. C., Williard, J. C., & Perry, L. C. (1990). Peers' perceptions of the consequences that victimized children provide aggressors. Child Development, 61(5), 1310-1325.

77.

Pitts, S. C., West, S. G., & Tein, J. (1996). Longitudinal measurement models in evaluation research: Examining stability and change.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9(4), 333-350.

78.

Reijntjes, A., Kamphuis, J. H., Prinzie, P., & Telch, M. J. (2010). Peer victimization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children: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Child Abuse & Neglect, 34(4), 244-252.

79.

Salmivalli, C. (2010). Bullying and the peer group: A review.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5(2), 112-120.

80.

Salmivalli, C., & Isaacs, J. (2005). Prospective Relations Among Victimization, Rejection, Friendlessness, and Children's Self‐and Peer‐Perceptions. Child Development, 76(6), 1161-1171.

81.

Schreck, C. J., Stewart, E. A., & Osgood, D. W. (2008). A reappraisal of the overlap of violent offenders and victims. Criminology, 46(4), 871-906.

82.

Schwartz, D., Proctor, L. J., & Chien, D. H. (2001). The aggressive victim of bullying. In J. Juvonen, S. Gragam (Eds.), Peer harassment in school: The plight of the vulnerable and victimized(pp. 147-174). NY: Guilford Press.

83.

Seals, D., & Young, J. (2003). Bullying and victimization: Prevalence and relationship to gender, grade level, ethnicity, self-esteem, and depression. Adolescence, 38(152), 735-747.

84.

Sijtsema, J. J., Veenstra, R., Lindenberg, S., & Salmivalli, C. (2009). Empirical test of bullies’ status goals: Assessing direct goals, aggression, and prestige. Aggressive Behavior, 35(-), 57-67.

85.

Smith, D. J., & Ecob, R. (2007). An investigation into causal links between victimization and offending in adolescents.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58(4), 633-659.

86.

Smokowski, P. R., & Kopasz, K. H. (2005). Bullying in school: An overview of types, effects, family characteristic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Children & Schools, 27(2), 101-110.

87.

Unnever, J. D. (2005). Bullies, aggressive victims, and victims: Are they distinct groups? Aggressive Behavior, 31(2), 153-171.

88.

Unnever, J. D., & Cornell, D. G. (2003). The culture of bullying in middle school. Journal of School Violence, 2(2), 5-27.

89.

Veenstra, R., Lindenberg, S., Oldehinkel, A. J., De Winter, A. F., Verhulst, F. C., & Ormel, J. (2005).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 elementary schools: a comparison of bullies, victims, bully/victims, and uninvolved preadolesc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41(4), 672-682.

90.

Warden, D., & Mackinnon, S. (2003). Prosocial children, bullies and victims: An investigation of their sociometric status, empathy and social problem‐solving strategies.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1(3), 367-385.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