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 성인의 성역할갈등, 양가적 성차별주의, 공격성에 따른 군집 유형별 강간통념수용도

The Cluster of Adults’ Gender Role Conflict, Ambivalent Sexism and Aggression and Their Differences in Acceptance of Rape Myth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2, v.28 no.1, pp.1-22
https://doi.org/10.20406/kjcs.2022.2.28.1.1
조은혜 (대구가톨릭대학교)
장진이 (대구가톨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성인의 성역할갈등, 양가적 성차별주의, 공격성에 따른 군집 유형을 탐색하고, 군집 유형별로 강간통념수용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 및 경상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성인남녀 372명을 대상으로 성역할갈등, 양가적 성차별주의, 공격성, 강간통념수용도를 설문조사하였고,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한 3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군집 1인 ‘비공격적 성고정관념 갈등형’, 군집 2인 ‘적응적 성관념 수용형’, 군집 3인 ‘공격적 성고정관념 순응형’ 등 총 3개의 하위군집 유형이 형성되었다. 하위군집 유형별로 성별, 연령, 교육수준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각 하위군집별로 강간통념수용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검증한 결과, 군집 3인 ‘공격적 성고정관념 순응형’ 의 강간통념수용도가 가장 높았고, 군집 1인 ‘비공격적 성고정관념 갈등형’, 군집 2인 ‘적응적 성관념 수용형’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대상자가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 하위 유형인지를 평가하고, 각 유형별 특성에 초점화하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gender role conflict, ambivalent sexism, aggression, the acceptance of rape myths, Cluster analysis, 성역할갈등, 양가적 성차별주의, 공격성, 강간통념수용도, 군집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atural groupings among adults based on gender role conflict, ambivalent sexism and aggression, and find differences in their acceptance of rape myths. 372 male and female adults in the Daegu and Gyeongsang province were surveyed and 350 were analyzed on their gender role conflict, ambivalent sexism, aggression and acceptance of rape myths. The cluster analysis divided participants into sub-groups such as ‘unaggressive but conflicted about gender stereotypes’, ‘receptive to adaptive gender notions ’ and ‘compliant to aggressive gender stereotypes’. The sub-groups had differing levels of gender, age and educ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acceptance of rape myths among these groups, Post-hoc testing showed that the ‘compliant to aggressive gender stereotype’ sub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cceptance of rape myths, following by ‘unaggressive but with gender stereotype conflicts’ and ‘receptive of adaptive gender notions’. Finally, needs for assess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subgroup types and developing psychoeducational programs focused on the subgroup characteristics were addressed. Then,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gender role conflict, ambivalent sexism, aggression, the acceptance of rape myths, Cluster analysis, 성역할갈등, 양가적 성차별주의, 공격성, 강간통념수용도, 군집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