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한국 성인의 사별 유형에 따른 경험과 지속비애

Bereavement Experiences and Prolonged Grief Symptoms of Korean Adult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4, v.30 no.4, pp.477-505
https://doi.org/10.20406/kjcs.2024.11.30.4.477
김성현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박효은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이동훈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본 연구는 최근 2년 이내에 사별을 경험한 국내 성인 1,200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신건강 특성, 사별 관련 특성이 사별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지속비애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첫째, 사별 경험자의 지속비애 증상, 정신건강 특성(우울, 불안, PTSD 증상), 사별 관련 특성(고인과의 미해결과제)은 사별 유형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사별 유형에 따라 인구사회학/정신건강/사별 관련 특성이 지속비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급작스럽고 끔찍한 변사>와 <급작스러운 사고사>에서는 PTSD 증상이 높게 나타날수록, 고인과의 미해결된 과제를 인식할수록 지속비애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질환으로 인한 예기치 못한 죽음>에서는 여성일수록, PTSD 증상이 높게 나타날수록, 사망 당시 고인의 나이가 어릴수록, 고인과의 미해결된 과제를 인식할수록 지속비애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로 인한 예기치 못한 죽음>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PTSD 증상이 높게 나타날수록, 사망 당시 고인의 나이가 어릴수록, 고인과의 미해결된 과제를 인식할수록 지속비애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된 죽음>에서는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PTSD 증상이 높게 나타날수록, 사망 당시 고인의 나이가 어릴수록, 배우자․자녀․부모․형제의 사별을 경험할수록, 고인과의 미해결된 과제를 인식할수록 지속비애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사별 유형에 따른 특성과 지속비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각 사별 유형에 따른 개별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사별 유형, 지속비애, 정신건강 특성, 사별 관련 특성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s,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and bereavement- related characteristics among Korean adults who experienced bereavement within 2 years and investigated the variables affecting prolonged grief symptoms in each bereavement type. To this end, data from 1,200 Korean adults who was bereaved within the close in 2 years were used.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bereavement types in prolonged grief symptoms,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depression, anxiety, PTSD symptom), and bereavement-related characteristics (unfinished busines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variables affecting prolonged grief symptoms may appear differently in each bereavement type. Also, higher PTSD symptoms and more unfinished business were associated with more prolonged grief symptoms in all bereavement types. Lastly, it was discussed that there should be differences in intervention according to each type of bereavement a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bereavement and the effect on prolonged grief symptoms varied.

keywords
bereavement type, prolonged grief symptom,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bereavement-related characteristic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07-11
수정일Revised Date
2024-08-17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10-22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