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유학의 4단7정 정서설에 관한 심리학적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f Four - Seven Debates in Korean Neoconfucianism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1, v.20 no.1, pp.1-40
한덕웅(Doug-Woong Hahn)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정서에 관한 조선시대 성리학의 심리철학 논쟁으로 볼 수 있는 4단7정론 가운데 일부 실증연구가 가능한 내용을 심리학적 가설 명제들로 정리하고, 두 연구를 통해서 이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여섯 대인관계에서 4단과 7정의 각 정서들을 유발하는 상황들을 자유반응으로 조사하여 4단과 7정을 각각 유발하는 상황들이 질과 양에서 어떤 특징적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가설의 방향과 일치되게 당위적 도리와 합치되는 상황에서 4단이 경험된다고 보고된 빈도가 높았고, 7정에서는 개인의 목표나 기대를 기준으로 경험된 상황들의 빈도가 높았으나 당위적 도리를 기준으로 경험된 상황들도 일부 포함되었다. 연구 2에서는 실험을 통해서 대인관계의 유형, 행동적 사건의 도리 합치여부, 행위주체 및 정서주제 변인들에 의해서 구성되는 여러 사회적 맥락에서 각각 경험한 4단7정을 선악의 차원에서 어떻게 평가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2의 결과를 보면 4단 범주에 속하는 정서들은 전체로서 선하다고 평가되고, 7정 범주의 정서들은 악하다고 평가되었으며, 4단과 7정에 관한 평정치들을 각각 종합할 때 선악 평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서 주가설이 지지되었다. 또한 4단에서는 도리합치 여부에 따라서 선하다는 평정치가 유사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7정에서는 차이가 유의했다. 그러나 개별 정서의 평가를 보면 당위적 도리의 기준들과 상관없이 4단의 수오는 악하며 7정의 애정은 선하다고 평가되어서 4단의 수오와 7정의 애정에 대한 선악 평정에서 4단7정의 선악차이가설이 지지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은 대안 가설들 및 필자(1996, 2000)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논의하였고, 장래 연구의 과제와 방향도 검토하였다.

keywords
한국유학, 4단7정론, 정서심리학, 선악판단, 실증연구

Abstract

There were many psychological theories in the Four-Seven Debates of the Neo-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psychological theories of moral judgments from the debates and to examine the derived hypotheses empirically through two experiments. The first study dealt with the differences in the situation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our-Beginnings and the Seven-Emo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main situational contexts for the Four-Beginnings could be explained by the social good-bad goals or standards. whereas those of the Seven-Emotions could be explained by the personal good-bad goals or standards. The second study dealt with the moral judgments of the Four-Beginnings and the Seven-Emotions directly through an experiment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tex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ral judgments of the Four-Beginnings and the Seven-Emotions were varied by the moral connotations of the behavioral events, the typ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types of the moral judgments. Especially the moral judgments of the Seven-Emotions were more based upon the abov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than the Four-Beginning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discussed with the previous studies performed by the author(1996, 1997, 1998, 2000)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are added.

keywords
Korean neconfucianism, Four-Seven Debate, emotion psychology, moral judgments, empirical study
투고일Submission Date
2000-09-18
수정일Revised Date
2001-03-2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1-04-1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