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조순영(한국교육학술정보원) pp.5-19
초록보기
초록

KERIS의 대학도서관 종합목록은 330개 대학도서관이 가입하여 570만 레코드를 보유하고 있는 국내 최대의 목록이다. 그러나 각 회원기관이 이미 구축한 DB를 짧은 기간 내 통합하면서 중복 및 오류 레코드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검색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체 자료의 10%를 차지하는 학위논문 데이터 1000건을 대상으로 오류 데이터의 유형을 분석함으로서 데이터의 품질을 측정하고 기계적으로 오류데이터를 색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오류데이터는 전체 표본 DB의 30%를 차지하였고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1)입력오류 2)MARC의 사용 오류 3)목록규칙의 적용 오류가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KERIS Union Catalog is the largest bibliographic database in Korea. It has over 5.7 million bibliographic records and at present 330 university libraries are participating in shared cataloging services. The database, however, includes various errors and a large number of duplicate data because separate databases from many university libraries were merged without proper quality control in a short period. This study intends to find error data types by analyzing dissertation bibliographic data. The results show that error data are mainly caused by input errors, and the mistakes in using MARC formats and cataloging rules.

김갑선(성균관대학교) pp.21-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참고문헌을 해당 사회의 다양한 사회적 환경을 반영한 사회적 산물임을 전제로 하여, 한국의 사회 과학분야의 참고문헌리스트에서 발생하는 국내문헌과 국외문헌의 동시공존현상을 연구자들의 지식생산의 논의과정에서 작동된 인용동기와 그 참고문헌의 분석을 통해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시도이다. 한국의 사회과학분야의 학술지에서 24종의 43부가 선정되어 321명(73.8%)의 저자들에게 연구채널과 인용동기가 서베이되었고, 이들의 11,358개의 참고문헌이 분석되었으며, 국내문헌과 국외문헌의 인용동기의 차이와 국외문헌의 인용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참고문헌의 동시공존의 정도는 국외문헌이 국내문헌보다 1.9배 (65.3%)로 우세하게 출현하였으며, 언어와 출판지 분포에서 영어(61.5%)-미국(50.4%) 우세성이 발견되었다. 2) 연구아이디어 획득의 정보원이자 연구자의 정체성 지표로서 작용된 연구채널은 상당히 국외채널 지향적(55.8%) 이었다. 3) 인용동기는 국내문헌과 국외문헌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우세한 국외문헌의 인용동기는 개념적인 동기(20.7%)와 형식적 동기(16.0%)였다. 4) 국외문헌의 인용동기는 제 변인과 유의적인 관련성이 있었으며, 특히 연구채널은 국외문헌의 다양한 인용동기를 예측하는 주효과임이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의 의의와 향후과제가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on the basis of a premise that reference lists are one of the social products, reflecting various social environments of their own society, was made as part of an attempt to explore the co-occurrence phenomenon of both Korean and Non-Korean literatures occurred within the Korean references. 321 authors (articles) of 43 issues of 24 Korean journals on Social Sciences were surveyed on research channels and citation motivations and their 11358 referenc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 extent of the co-occurrence was that Non-Korean literatures were more 1.9 times (65.3%) cited than Korean ones and English (61.5%)-American (50.4%) predominancy was heavily found. 2) Research channel, worked as an indicator of the identity of researcher as well as the source of research ideas was most Non-Korean channel orientedness (55.8%). 3) Citation motivations were significantly depended on whether Korean or Non-Korean literatures and Non-Korean literatures were cheifly cited to be concetual motivations than other motivations. 4) Research channel among variables was worked as a main effect predicting major citation motivations on Non-Korean literatures. Finally, this study is very suggestive : 1) It might be a new approach and interpretation by adopting citation motivations to exlpore a processs of knowledge production of researchers 2) Partly, it proved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of knowledge producted by Korean researchers to Non-Korean knowledge through the analysis of citation motivations.

이병기(서울경영정보고등학교) pp.49-67
초록보기
초록

학교도서관은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시설이며, 우리나라의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학생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하는 자율적이며, 창조적인 인재 양성을 강조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2001년부터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설치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은 설치 기준이나 지침 그리고 객관적인 모형에 의존하기보다는 학교 현장의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설치,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이 갖추어야 할 적정 규모와 공간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각급 학교의 현황을 고려하여 4개의 규모별 시설·설비 모형(A형, B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School libraries are one of the essential parts for high quality education.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autonomous students who can solve problems in a self-directed wa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ome into forcing the installation of school digital library since 2001. Als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s prensented the Master Plan of School’s Activation in July 2002. In this situation, the reserch and discussion on effective model of school digital library are very important. Thus, This study aims to design a model of school digital library differentiated School’s sizes depending o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current status. This study is proposed 4 facility model of school digital library based differentiated school’s sizes and designed A-type, B-Type model on individual model.

함명식(서울맹학교) pp.69-99
초록보기
초록

교육인적자원부는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담은 초·중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을 승인하였다. 학교도서관의 사서교사들이 실시하는 도서관이용지도,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 협동수업 등을 모두 통합하여 학교 교육과정에 포함한 것이다. 학교 교육은 기본적으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모든 교육 활동은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인정받는 것이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편성 내용을 바탕으로 연결거점론, 통합거점론, Top456접근법, 교육과정기반접근법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The National Department of Education approved the ‘Information and Library’ Curriculum which contained the educational role of school libraries. This curriculum contained and integrated the library guidance, reading education and cooperative instruction that teacher-librarians have taught. The school education has basically been led, based on curriculum.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all kinds of educational activities related to the school library approved as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is to introduce Base Connectionism, Base Integrationism, Top 456 Approach, and Curriculum-Based Approach, based on ‘Information and Library’ curriculum.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pp.101-12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미국의 문헌정보학 대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록관리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기록관리학 교과과정 개발에 필요한 요소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웹사이트 분석과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록관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소속 및 명칭, 학위 명칭 및 과정, 이수학점, 필수과목과 선택과목, 실습, 연구, 시설, SAA 지침서를 비교하였다. 미국에서 기록관리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문헌정보학 대학원은 많지 않았으며 SAA 지침서에서 제시한 기록관리지식을 모두 반영하지 못하는 대학원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기록관리학이 문헌정보학 대학원 안에서 이루어지는 특성화 프로그램의 한계로 볼 수 있었다. 기록관리학의 핵심 교과과정은 역사와 기록물 보존, 기록물과 레코드경영, 정보 기술, 경영원칙, 실무 경험, 연구와 석사학위 논문으로 정리할 수 있었으며 교육 기관과 현장이 함께 많은 연구와 대화를 나눔으로써 이러한 요소를 중심으로 한 기록관리 분야의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everal factors necessary to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n Korea by analyzing archival programs of the Schoo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LIS) in the U.S.A. Name of the schools, programs and their degrees, credits, required and elective courses, practice, research, facilities, and SAA guidelines of graduate archival programs are compared by analyzing websites and the literature review. There are a few LIS schools that concentrate archival education and most of the archival programs don’t cover all of the core archival knowledge suggested in the SAA guidelines. The reason of these situation is considered as a limitation of the archival education as special programs in the LIS schools. In conclusion, the core curriculum of archival science should include history and preservation of archives,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principles, practicum, and research/thesis. And a lot of cooperated research and conversation betwee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actical fields are required.

오동근(계명대학교) pp.123-14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의 대학도서관이용자 582명을 대상으로, 불만족의 강도와 무료이용지각, 불평에 대한 태도, 불평비용, 불평의 성공가능성, 서비스의 중요성, 외적귀인, 충성도 등의 불평행동의 선행요인이 이용중단, 직접 및 간접항의, 부정적 구전, 제3자를 통한 불평 등의 각 불평행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tensively the complaint responses of the academic library users, with a special regard to those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in Kyungpook Province. It selects and analyzes empirically some of the antecedents of the complaining behaviors including perceived severity of dissatisfaction, perception of free use, attitude toward complaining, cost of the complaining, likelihood of success, product/service importance, external attributions and loyalty; and complaint responses including exit, voice(redress seeking), negative word-of-mouth and third party complaints, of the academic library user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Final data through questionaries are obtained from 582 unsatisfied academic library users in 5 universities in those areas, 542 of them analysed with SPSS 11.0 for Windows.

곽철완(강남대학교) pp.147-155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간 정보네트워크 발전을 위한 기초조사로서, 대학도서관들 사이에 연간 구입되는 자료들의 중복 비율을 조사하였다. 경기도 소재 3개 대학도서관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2000년도 2001년도 구입자료 리스트를 통해 각각 2개 대학간 동일한 자료 구입 비율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구입자료의 중복율은 서로 유사한 규모의 대학도서관은 2000년도에 불과 0.4%, 2001년도에 2.8%, 그리고 규모의 차이가 있는 대학도서관간에는 2000년도 1.33%와 1.11%, 2001년도엔 3.63%와 3.88%였다. 이는 교원수, 학부학생수, 전공수를 많이 가지고 있는 대학도서관과 적게 가지고 있는 대학도서관이 서로 자원을 공유하는 정보네트워크를 구축하여도 서로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 acquisition material duplication rate among three academic libraries for developing an academic library network. Three academic libraries located in Gyonggi-do, Korea were selected for data collection. The acquisition lists in both 2000 and 2001 were compared and analyzed between two librarie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 duplication rate is 0.4% in 2000 and 2.8% in 2001 between medium size libraries, and 1.33%, 1.11% in 2000 and 3.63%, 3.88% in 2001 between a big size library and medium size libraries. These tell us that a big library can get benefit from a library network with medium size libraries.

전재봉(대구대학교) pp.157-173
초록보기
초록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접근의 평등권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특히 정보소외계층인 장애인의 삶의 질과 문화적 향수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도서관도 이러한 사회적 추세에서 예외일 수는 없으며, 장애인에 대한 도서관의 서비스는 그 지역사회의 공공 서비스에서 핵심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의 표준화 정책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참고하여야할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Abstract

To bridge digital divide, the nation’s information services should be focused their attentions on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is philosophy, the public library’s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mainstreamed into its regular services. Providing equitable acces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public library’s resources, facilities, and services, the standard library services policy or guideline should be developed as soon as possible. A draft in this papers may be helpful to a policy maker for public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서은경(한성대학교) pp.175-205
초록보기
초록

인터넷과 대용량 데이터베이스가 정보검색환경을 주도하게 되면서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는 강력한 검색도구가 요구되었다. 정보시각화 기법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개발된 것으로 복잡하고도 대규모의 데이터를 의미적으로 그리고 조직적으로 보여주는 시각표상 기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보검색시스템에서 다각적으로 응용되고 있는 정보시각화 기법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결과 데이터, 검색대상인 문헌, 검색결과로 나타난 검색정보를 시각화 대상으로 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둘째, 이용자의 상호작용과 항해를 수월하게 하는 정보시각화 기법으로는 줌과 팬기법, focus+ context 기법, 점증탐사기법, 클러스터링 기법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이용자에게 실제 시각메타포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선형구조 표현방식, 계층구조 표현방식, 네트워크구조 표현방식, 벡터분산구조 표현방식을 찾아볼 수 있었다. 정보검색시스템에 계속적으로 정보시각화 기법이 응용되고 구현되기 위해서는 기존 기법의 평가와 이용자 요구분석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본 연구의 결과 또한 새로운 시각화 인터페이스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Abstract

Information visualization in information retrieval is a creating tool that enables us to observe, manipulate, search, navigate, explore, filter, discover, understand, interact with large volumes of data for more rapidly and far more effectively to discover hidden patterns.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information visualization techniques i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in the three-schematic levels. In result, it was found that first, scientific data, documents, and retrieval result information are visualized through various techniques. Second, information visualization techniques which facilitate navigation and interaction are zoom and pan, focus+context techniques, incremental exploration, and clustering. Third, the visual metaphors used by the visualization systems are presented in the linear structure, hierarchy structure, network structure, and vector scatter structure.

김종성(부산대학교) pp.207-225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은 미국 학교도서관 현장에 대한 직접 관찰을 바탕으로 그 운영의 일반 사항과 주요 원리를 소개하고 우리 학교도서관과 관련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검토한다. 연구자는 1년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채플힐에 체재하면서 ‘채플힐-카보로 학군’에 속한 모든 학교도서관을 관찰하여 미국 학교도서관 현장의 실제를 보고한다. 그리고 우리 학교도서관 발전과 관련하여 선진 학교도서관 현장으로부터 무엇을 어떻게 배우고 따를 것인지 모색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crutinize the practice of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writer, for this research, observed all school library media centers in Chapel Hill-Carrboro City Schools of North Carolina during the past one year.

김경곤(경성대학교) pp.227-244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구축되어 있는 PDL(Personal Digital Library)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용자 중심의 PDL을 구축하기 위한 개발 철학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PDL은 대학생을 잠재적 이용자 그룹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정보추구행태와 관련한, 특히, 지식활동과 관련한 정보요구와 이용 그리고 관리 행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렇게 분석한 자료에 기초하여 대학생들이 바라는 PDL에 대한 시스템 요구사항을 개념적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analyzing the limitations and weakness of the existing PDL and proposing the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a user-oriented PDL. The user group of PDL that we want to develop is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we investigate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the sampled user group, especially, their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use patterns, and information management patterns. Based on the results, we conceptually propose the systems specifications which the university students wish to be included in the PDL.

장덕현(부산대학교) pp.245-264
초록보기
초록

문헌정보학은 지식의 생산, 관리, 운용에 관한 탐구를 내용으로 하고 있으나, 이 분야의 연구들이 주로 지식과 정보의 관리에 있어서의 효율성의 문제에 집중하는 기능주의적 지향성을 유지해 왔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즉, 문헌정보학이 지식과 정보의 기술적, 조작적 측면을 중시하고 광범한 컨텍스트로서의 사회과학적 접근은 결여한 결과 지식과 관련되는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이슈를 충분히 다루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헌정보학 연구에 있어서 이러한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지향성의 부족이라는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이 글은 지식의 생산, 유통의 체계에 개입하는 권력의 문제를 중심으로 문헌정보학의 문제들 가운데 비판적 인식이 필요한 영역들을 일별해 봄으로써 문헌정보학 연구에 있어서 비판적 패러다임의 지향과 적용 가능성을 가늠한다.

Abstrac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research has been dominated by functionalistic orientation as one of the postulates of positivism. As a result, it has often been criticized that LIS research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social,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contexts on which the theories and the practices of LIS are based. In this regard, this paper seeks to establish and apply critical inquiry through a review of the relevant aspects of critical theory and application of those insights to current research and practice in LIS. Connections of LIS research to relevant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issues are particularly stressed.

최상기(전북대학교) pp.265-292
초록보기
초록

대학의 가상교육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대학도서관의 효과적인 지원을 필요로 한다. 원격학생들이 학습에 필요한 모든 정보자료 및 도서관서비스를 원활하게 지원 받을 때,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가상교육의 성공적인 지원을 위해 대학도서관이 추구해야 할 역할 및 기능에 관하여 외국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살펴보고, 대학도서관이 가상교육을 성공적으로 지원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사서, 도서관서비스, 디지털도서관, 도서관 정책 및 운영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Abstract

Academic libraries need to support effectively cyber education which should be managed successfully. When the information materials and library services for distance learners are supported efficiently, they can maximize learning effects.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and function of academic libraries that seek to support cyber education successfully through previous foreign studies and presented the elements of the librarian, library service, digital library, library administration and policy that academic libraries must consider to support cyber education successfully.

이용재(부산대학교) pp.293-30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시대에서 대학도서관을 보다 원활히 운영하고 사서들이 서비스를 향상하기 위해 어떠한 경영기법이 필요한가를 모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관련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미국 대학도서관의 여러 사서들과 의견을 교환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경영기법들은 학습조직, 지식경영, 팀 관리, 고객지향적 서비스, 변화관리 등과 같이 주로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에서 활용되는 개념들로부터 나온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 대학도서관이 서비스를 향상하고 대학사회에서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이러한 경영기법을 활용하는 것은 별다른 무리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대학도서관 사서진은 디지털시대에서도 학술광장이자 비영리조직인 대학도서관의 핵심적 가치를 염두에 두고 도서관을 경영하며 서비스의 지평을 넓혀갈 필요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what kinds of strategies are appropriate or needed for the academic librarians to upgrade their skills in the digital age. Printed and electronic sources related to this topic are gathered and examined, and communication with some academic librarians in USA is used for this study. The skills suggested in this paper mostly come from business-oriented concepts like Learning Organization, Knowledge Management, Team Management, Customer-Oriented Services, and Change Manage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se skills can be used without much difficulties in academic libraries to improve their services. However academic librarians need to keep in mind the core values of academic libraries as an academic forum and non-profit organization when they endeavor to provide better services for customers in the digital age.

이응봉(충남대학교) pp.311-3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신의 정보기술을 적용한 XML 기반 충남대학교 전자도서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로그파일 분석, 온라인 설문조사 그리고 발견평가의 3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입장에서의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서비스의 문제점을 분석ㆍ평가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제고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XML-base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igital Library Website. Usability testing are used three method, that is Log File Analysis, Online Questionnaire and Heuristic Evaluation. Log files are analyzed in using WiseLog Enterprise and Hit Analyzer for Enterprise jx 1.5 Beta Version and total 21 items are analyzed and evaluated in using online questionnaire method and heuristic evaluation is inquired by experts of web and information retrieval fields. Finally this paper was suggested some problems and improvements to advance quality of user services in university digital library website in korea.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