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일제하 ≪조선일보≫의 성병관련 담론 연구

A Study on Discourses The Fixed Column & Articles in Chosun Ilbo about Venereal Diseases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ts ruled Korean peninsula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6, v.29 no.2, pp.389-417
김미영 (숭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일제하 ≪조선일보≫(1920~1940)에 수록된 성병과 관련된 담론들을 분석하여, 성(性)과 관련된 부분에 있어서 일제하 기층여성들의 현실을 고찰하고, 그것에 반영된 당대 여성인식의 전반적인 문제점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성병은 일제시대 민족적 질병이며, 치료법이 완전히 개발되지 않은 난치병으로서 이에 대한 담론은 당시 보편적인 성별인식을 일상생활면에서 가감없이 보여준다. ≪조선일보≫의 성병담론은 주로 여성을 독자층으로 하는 지면에 거재되었고, 한글로 표현되었으며, 예방법보다는 치료제광고나, 성병의 방치가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지의 위험성을 강조하는 내용들로 채워져 있다. ‘화류병,’ ‘유전병,’ ‘문명병’의 이름으로 불린 성병에 대한 ≪조선일보≫의 담론은 피해자에 가까운 기층여성을 가해자인 양, 그들에게 성병확산과 치료에 대한 책임을 전가하는 논의로 채워져 있다. 성병담론은 기생이나 가정부인이 한반도 내부에서 이질적인 계층인 듯 몰아가지만, 이들은 모두 가부장제적이고 제국주의적인 시선에 의해 계몽과 통제의 대상으로 타자화되고 탈성화된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성병담론은 일제의 근대적 의료체제와 규율화 방식, 사회진화론에 토대한 근대적 사상체계까지를 가장 비정치적인 여성의 몸에 각인시키고 이를 통해 일제가 조선의 기층여성들을 ‘위축된’ 근대적 주체로 포섭해 가는 과정에 다름 아니다.

keywords
venereal diseases, substructure women, medicalization, patriarchism, imperialistic eyes, 성병, 기층여성, 의료화, 가부장제, 제국주의적 시선

Abstract

This paper makes an analysis of discourses the fixed column & articles in Chosun Ilbo about venereal diseases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ts ruled Korean peninsula(1920~1940). The purpose of this paper try to discover what is the special character of Korean modernization and how to recognize women's right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ts ruled Korean peninsula from discourses about venereal diseases in Chosun Ilbo. The venereal diseases were the second popular diseases in those times in Korean peninsula. The discourses of venereal diseases reflected gender profit and loss plainly. Because those diseases were irremediable in those times. The specific character of discourses of venereal diseases are served for women. Those were written by Korean literacy only and inserted women illustrations. The contents of the discourses are filled with patriarchism and imperialistic eyes on the substructure women including housewives and kisaengs (prostitutes) in Korean peninsula. Japanese Imperialists prepared some medical treatment systems for their purpose of imperialism in Korean peninsula. The substructure women in Korean peninsula were alienated from the modern medical system. They were treated as a means. As a result, the discourses of venereal diseases had converted Korean substructure women to modern subjects who were ruled by Japanese imperialists and patriarchism. The special character of Korean modernization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ts ruled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scourses of venereal diseases are very gendered process.

keywords
venereal diseases, substructure women, medicalization, patriarchism, imperialistic eyes, 성병, 기층여성, 의료화, 가부장제, 제국주의적 시선


참고문헌

1

강정숙, (1998) 대한제국일제 초기 서울의 매춘업과 공창제도의 도입,

2

권영아, (1999) 근대문학 초기 여성소설 연구,

3

김미영, (2004a) 1920~30년대 지배담론의 여성인식에 관한 연구: ≪동아일보≫에 게재된 여성 관련 보도성 단신기사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민속학회

4

김미영, (2004c) 1920년대 계몽적 남성 지식인의 여성관련 담론 연구 ≪동아일보≫에 게재된 여성 관련 사설 및 연재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5

김미영, (2003) 1920년대 여성담론 형성에 관한 연구,

6

김미영, (2004b) 일제하 ≪조선일보≫의 <가뎡부인>欄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7

김은희(외), (2004) 신여성을 만나다: 근대 초기 한중일 여성소설 읽기., 새미

8

김정란, (1994) 일제하 한국여성체육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9

대한결핵협회(편), (1998) 한국결핵사., 대한결핵협회

10

번벌로, (1992) 매춘의 역사,

11

山下英愛, (1991) 한국근대 공창제도 실시에 관한 연구,

12

서광운, (1993) 한국신문소설사, 해돋이

13

신동원, (1996) 한국 근대 보건의료체제의 형성 1876~1910,

14

이민경, (2005) 근대소설에 나타난 신여성의 부정적 유형,

15

이영아, (2005) 신소설에 나타난 육체에 대한 규율권력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16

이옥진, (1980) 여성잡지를 통해 본 여권신장: 1906년부터 1929년까지를 중심으로.,

17

이재선, (2004) 탁류>: 성병의 은유적 도상학.,

18

이정우, (1939) 폐결핵강좌1,

19

전은정, (2000) 일제하 ‘신여성’ 담론에 관한 분석,

20

정홍자, (1986) 미디어의 이데올로기적 역할에 대한 연구,

21

조규익, (2004) 로터스 버드Lotus Bud, 월인

22

조은, (1995) 일제하 ‘신여성’과 가부장제: 근대성과 여성성에 대한 식민담론의 재조명., 광복50주년 기념사업회

23

조형근, (1997) 식민지체제와 의료적 규율화. , 서울: 문화과학사

24

조혜현, (2004) 한일 근대 <신여성> 비교 연구: 여성지 ≪신여자≫와 ≪청탑≫을 중심으로.,

25

황수진, (1999) 한국 근대소설 속에 나타난 신여성상 연구,

26

후지메 유키, (2004) 성의 역사학, 삼인

27

박재환, (1994) 일상성일상생활연구회 일상생활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