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지문의 종결형태를 통해 본 고전소설의 서술방식: <사씨남정기>를 중심으로

The Narration of classical novel in connection with sentence endings: focus on Sassi-namjeonggi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7, v.30 no.2, pp.265-291
https://doi.org/10.25024/ksq.30.2.200706.265
이지영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논문은 <사씨남정기>의 종결형태와 서술방식의 관련양상을 고찰하였다. <사씨남정기> 종결형에는 ‘-더라’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나며 ‘-이라’는 드물게 나타나고 있었는데, 이는 ‘-이라’가 많고 ‘-더라’가 적은 판소리계 소설이나 신소설과는 다른 양상이었다. 또한 종결형태에 따라 서술자의 시점과 위치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다’를 사용할 경우 서술자는 초월적인 위치에서 서술하고 있었으며, ‘-니라’의 경우에는 전지적 서술에서 서술하였다. ‘-더라’는 서술자가 서술대상과 거리를 두고 관찰자의 위치에서 서술할 때 나타났다. 각 종결형태와 서술자의 위치의 상관관계는 <을병연행록>이나 <조야첨재>등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었는데, 허구적 서사인 <사씨남정기>의 서술자가 ‘-더라’를 사용한 것은 장면을 생생하게 전달하려는 의도라고 해석하였다. 또한 <사씨남정기>의 종결어미의 빈도는 서술자의 목소리가 관련이 있다는 점도 밝혔다. 서술자가 요약적으로 설명할 때는 종결어미가 비교적 자주 나타나는 데 반해 인물간의 대화를 재현하는 방식으로 서술할 때는 종결어미의 빈도가 낮았는데, 종결어미의 빈도에 따라 서술자의 목소리가 강조되기도 하고 감추어지기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흔히 말하듯이, 고전소설이 ‘-더라’체와 전지적 시점으로만 서술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Sentence-terminating endings, Sentence endings, Sassi-namjeonggi, -tela, Narrator, Narration, Point of view, 종결어미, 종결형, 사씨남정기, 더라, 서술자, 서술방식, 서술시점


참고문헌

1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한국학중앙연구원,

3

(1998)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보정판), 서울: 탑출판사

4

(2000)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 서울: 소명출판

5

(1975) 개화기 소설의 문체연구,

6

(1983) 명지대 국문과 국학자료 간행위원회,

7

(2005) <동양문고본 츈향젼>의 문체. 고전문학의 문체와 표현, 서울: 집문당

8

(1997) 원문 비평 방법론에 관한 소고(小考),

9

(1990) A Subjectification Maker in Korean,

10

(1991) 사씨남정기 연구, 반도출판사

11

(2003) <사씨남정기>의 주요 이본 고찰,

12

(2000) 유길준의 어문사용과 서유견문,

13

(2004) <사씨남정기> 한문본 한글본의 비교 분석: 규장각 소장본과 장서각 소장본을 중심으로,

14

(1999) 선어말미 ‘더’의 통시적 연구,

15

(2003) 한국어 어미 ‘-더라’ 소설의 발달,

16

(1983) 국어의 ‘절대문 ’에 대하여,

17

(1998) 중세국어 종결미에 대한 통시적 연구,

18

(1995) 국어시상체계의 통시적 변화에 관한 연구,

19

(2002) 후기 근대국어의 시상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학회

20

(1994) 소설의 이론, 탑출판사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