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易有太極 是生兩儀’에 대한 조선유학의 해석

Confucian Interpretations of 'the Change Has Tai Ji(易有太極)' during Joseon dynasty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7, v.30 no.3, pp.251-271
https://doi.org/10.25024/ksq.30.3.200709.251
이선경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고는 역경(易經) 계사장(繫辭傳)상 11장에서 ‘역에는 태극이 있으니, 이것이 양의를 낳는다(易有太極, 是生兩儀)’라 한 구절에 대한 조선유학자들의 해석을 통하여, 그들이 바라보는 태극론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한국 성리학자들의 경우 ‘역유태극’에 대한 논의는 대개 주희의 역학계몽(易學啓蒙)을 바탕으로 한다. 주희는 ‘역유태극, 시생양의’를 각기 주돈이 태극도설의 1圈과 2圈으로 설명한다. 조선성리학의 ‘역유태극’에 대한 해석은 크게 리(理)의 주재성 및 초월성을 강조하는 입장과 리기의 불리(不離) 및 태극의 내재성에 주목하는 입장으로 나뉘며, 대개 전자의 입장을 취하는 학자들이 주희의 견해를 지지한다. 성리학자들이 대부분 ‘역유태극’을 주돈이 태극도설과 관련하여 논하는 반면,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경우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 측면에서 접근함을 볼 수 있다. 예컨대, 태극을 북극성으로 보고, 원초의 기(氣)로 보며, 중(中)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하여, 조선의 성리학파와 실학파의 역유태극(易有太極)론은 그 특징이 뚜렷이 구별되지만, 양자 모두 상수학(象數學)과 의리학(義理學)을 종합적으로 지양하여 인륜을 밝히고자하는 의식을 바탕으로 한다고 보았다.

keywords
易, 太極, 陰陽, 象數學, 義理學., Change(Yi), Supreme(Tai ji), Yin-yang, the study of Image and number, the study of the Righteousness.

Abstract

In this paper, I examine some interpretation of the clause, “the Change (易) has the Supreme Ultimate (太極), which produces Yin and Yang (I Ching; Xicizhuan(繫辭傳) Vol. 11),” performed by Joseon Confucian scholars. In the process, I attempt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theories of the Supreme Ultimate. Much of Joseon neo-confucian scholars' discussions of the clause “the Change has the Supreme Ultimate” is based on Zhu Xi's interpretation of the clause in Yi- xue-qi-meng(易學啓蒙). There Zhu Xi adapts the first and the second diagrams in Zhou Dun Yi(周敦頤)'s 「Taijitushuo(太極圖說)」 to explain the meanings of “the Change has the Supreme Ultimate” and “it [the Change] produces Yin and Yang.” Among Joseon scholars, there are two major view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hange has the Supreme Ultimate”; one emphasizes the presiding and transcendental qualities of Li (理); the other concentrates on the inseparability of Li and Qi (氣) and the immanence of the Supreme Ultimate. In general, the former advocates Zhu Xi's theory. While most neo-Confucian scholars in Joseon dynasty discuss “the Change has the Supreme Ultimate” in relation to 「Taijitushuo(太極圖說)」, the scholars of Pragmatic School in late Joseon dynasty apply more practical approaches. For example, they identify the Supreme Ultimate with Polaris, and regard it as the most primitive Qi or as the Middle Way (中). Although the neo-Confucianists and the pragmatic scholars in Joseon dynasty differ in interpreting “the Change has the Supreme Ultimate,” I conclude, they both try to synthesize the study of Image & number(象數學) and the study of the Righteousness (義理學) in order to increase humanity.

keywords
易, 太極, 陰陽, 象數學, 義理學., Change(Yi), Supreme(Tai ji), Yin-yang, the study of Image and number, the study of the Righteousness.


참고문헌

1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한국경학자료시스템,

2

민족문화추진회 사이트,

3

(2005.06.03) 조선유학의 태극해석논변, 2005한중철학회 학술대회

4

(2002) 태극: 우주만물의 근원. 조선유학의 개념들, 서울: 예문서원

5

(2006) 조선후기 실학파의 역학해석방법론 연구,

6

(2004) 서명응의 先天學체계와 西學해석에 관한 연구,

7

(2006) 태극개념형성의 연원적 배경과 해석,

8

(2006) 한국유학통사, 서울: 심산

9

(1998) 退溪理思想의 체용론적 구조. 조선조유학사상의 탐구, 서울: 여강출판사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