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한국의 도시발달과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The Urban Development and the Construction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n Korea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7, v.30 no.3, pp.35-61
https://doi.org/10.25024/ksq.30.3.200709.35
최원회 (공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선 1960년대 이래 우리나라의 도시발달과 국가균형발전전략,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추진과정과 지역개관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고찰하고, 이어서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입지와 기능, 공간구조, 광역도시계획권, 명칭, 법적지위 및 관할구역 등에 대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를 행하고 과제를 제시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960년대 이후의 도시화에 의한 인구와 경제력의 수도권 일극집중이라는 기현상은 국가균형발전정책을 통해서만 해결이 가능하다.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은 국가균형발전정책의 핵심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입지에 있어서 대전의 상위성과 근접성에 의한 종속관계 발생에 유의해야 한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기능은 외적으로는 핵심도시, 촉매도시, 혁신도시 등으로 규정되고 있으며, 내적으로는 중앙행정, 문화국제교류, 도시행정, 대학연구, 의료복지, 첨단지식기반 등의 기반기능을 갖게 된다. 그러나, 67개 정부 수준의 공공기관들에 의하여 2030년에 인구 50만명이 유지될지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점에서 공공기관 이외에 특성화된 대단위 종합대학교들과 대단위 첨단산업단지가 행정중심복합도시에 대규모로 입지할 필요가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는 예정지역, 주변지역 및 기능적으로 연계된 인접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정지역이 전체적으로 이중환상형의 도시내부구조를 취하고, 오픈스페이스화된 중앙부를 갖고 있는 것은 상징적이고 특이하다. 주변지역은 현재의 4~5㎞ 폭에서 1㎞ 이내의 폭으로 축소되면서 그 면적 규모도 대폭 하향조정되어야 하며,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지역의 경우엔 형식적인 생활편의시설 등의 지원수준보다는 아예 국가가 토지를 매입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광역도시계획이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과 동시에 실현되지 않으면, 공주, 연기 등 중소도시들의 생존여부가 불투명하고, 광역도시계획권과 충청권의 불균형발전이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행정중심복합도시가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의 명칭으로서의 ‘세종’과 법적지위로서의 ‘특별자치시’는 국가균형발전정책의 대의에 적절하지 않으므로 지역적 고유명칭을 사용하고 도농복합특례시와 같은 일반자치시의 법적지위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주변지역은 공주, 연기 및 청원지역의 존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지자체간에 의견도 상이하므로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관할구역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eywords
urban development,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olicy,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MAC), 도시발달, 국가균형발전정책, 행정중심복합도시, urban development,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olicy,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MAC)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urban development of Korea and the construction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MAC) since 1960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bnormal phenomenon such as one-pole concentration to Seoul Metropolitan Area since 1960s can be improved only by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The construction of MAC is the core of spatial policy, the one of 5 strategies i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The functions of MAC consists of core city, catalyst city, innovation city and so on internally and MAC has such basic functions as central administration, cultural and international exchange, urban administration, university and research, medical service and welfare, up-to-date knowledge base and so on externally. MAC must have many universities and high-tech industrial clusters so that it may maintain 500,000 people. The expected region of MAC has the high-level's symbolic meanings because the expected region has the two-ring's urban internal structure with central open space. The width of periphery region in MAC must be reduced in from 4~5㎞ to some 1㎞ and the land of remnant periphery region must be bought by central government. The construction of MAC must go in company with the practice of MAC metropolitan region plan, and then the balanced development of MAC metropolitan region and Chungcheong provincial region will be achieved. The construction plan of MAC needs to be amended in detail.

keywords
urban development,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olicy,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MAC), 도시발달, 국가균형발전정책, 행정중심복합도시, urban development,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olicy,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MAC)


참고문헌

1

(2006)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도시개발: 행정중심복합도시, 혁신도시, 기업도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

(2006a) 행정중심복합도시 광역도시계획안,

3

(2006b)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기본계획,

4

(2005)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지역 및 주변지역 지정안,

5

(2006) 행정중심복합도시 광역도시계획안: 기본구상 및 부문별계획 주요사항,

6

(2006a) 참여정부 국가균형발전전략으로 대한민국이 강해집니다,

7

(2006b) 국가균형발전 3년의 성과와 향후과제,

8

(2006c) 참여정부 국가균형발전정책의 비전과 성과,

9

(2006d)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성과와 과제,

10

(2007) 2단계 균형발전정책 구상,

11

(2006) 국가균형발전 가이드: 대한민국 다시 그린다,

12

(2007) 행정중심복합도시 주변지역 관리방안,

13

(2003a) 1:50,000 지형도, 대전도폭

14

(2003b) 1:50,000 지형도, 청주도폭

15

(2003) 산업구조의 개편과 지역경제의 변화, 서울: 건설부 국토지리정보원

16

(1995) 도시와 국토, 서울: 법문사

17

(2006) 행정중심복합도시 광역도시계획의 주요정책과 쟁점과제,

18

(2005)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추진현황과 성과, 국토연구원

19

(2007)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 선진국 진입 전략, 서울: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

(2005)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도시개발 전략: 행정, 기업,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1

(1998) 한국 근대도시의 공간적 이해, 서울: 박영사

22

(2004) 한국 도시화의 공간적 이해를 위하여, 서울: 한울아카데미

23

(2003) 도시화와 도시공간의 변화, 건설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4

(2004) 기존 신행정수도 예정지역의 주변부 관리방안 및 주민 이주대책 연구,

25

(2005) 충청권의 지역구조,

26

(2007) 행복도시, 혁신도시, 기업도시등 다핵형 국토공간 형성을 위한 정책추진 평가와 과제,

27

(2005) 한국의 도시, 서울: 법문사

28

(2006a) 행정중심복합도시 도시경관조성 기본방향,

29

(2006b) 더불어 잘사는 공생의 도시로 만들어 가겠습니다,

30

(2006c)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할 행정중심복합도시 국민의 뜻을 모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습니다. ,

31

(2006d) 2005년도 행정중심복합도시 백서,

32

(2006e) 2006년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사업 이렇게 추진하겠습니다.,

33

(2007) 행복도시 세종 누구나 살고싶은 세계적 모범도시,

34

(2005) Planning the New City Based on the Geomancy: A Case of the Design of the New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NMAC),

35

(2000) Overview of Korean Urbanization in the 1990s,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