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조선후기 국경인식에 있어서 豆滿江ㆍ土門江ㆍ分界江 개념과 그에 대한 검토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Duman River, Tomun River, and Bunkye River in the Definition of the Bounda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7, v.30 no.3, pp.91-118
https://doi.org/10.25024/ksq.30.3.200709.91
이강원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논문은 조선후기 국경인식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 두만강, 토문강, 분계강이라는 개념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조선초기에는 豆滿江(투먼강)과 土門(투문)이 뚜렷하게 구별되어 있었다. 여진어로 ‘투먼’은 두만강을 의미하였고, ‘투문’은 구멍, 샘, 복류, 협곡(水口; 石門) 등을 의미하였다. 이러한 서로 구별되는 단어들은 중국어의 음운적 한계로 인해 ‘tumen’으로 일괄 표시되었으며, 이후 ‘tumen’은 이중적인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1712년 정계비 설치 이후 조선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국토상실 의식이 나타났다. 그들은 조선 초 기록의 ‘土門’에 대해 재해석하기도 하고, 分界江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은 오해와 상상의 산물이었으며, 특히 여진어(만주어)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오늘날 이러한 조선후기의 논리에 입각하여 간도에 대한 영토적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지리적 사실과 역사적 상상을 혼동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몇 가지 지명에 대한 고증을 통하여 이러한 결론을 정당화하고자 하였다.

keywords
Duman River, Tomun River, Bunkye River, Definition of the Boundary in the Chosun Dynasty, Baekdusanjeonggyebi., 두만강, 토문강, 분계강, 조선시대 국경인식, 백두산정계비.

Abstract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concept of Duman river, Tomun river, and Bunkye river in the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of the bounda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period of the dynasty, Duman(Tumen) and Tomun(Tumun) had been distinguished definitely. In the terms of the Manchurian(Yeojin) language, 'Tumen' had meant the Tuman River, and 'Tomon' had meant hole, spring, underflow, gorge. These separated two terms was integrated into the term 'tumen' by the limit of the Chinese pronunciation in Qing China.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Baekdusanjeonggyebi in the year 1712, the intellectuals of Joseon dynasty was seized with the territorial forfeiture. So they were led to the re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n the 'Tomon river' and the invention of 'Bunkye river'. However, there is no geographical reference in the reinterpretation and the invention of these concepts. These concepts are the products of imagination and the result of misunderstanding on the Manchurian(Yeojin) language. These concepts on the boundary definition was collaps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n the Manchuria in the middle of 19th century. Today there are researchers and groups in Korea proposing the territorial right on the 'Gando' by the reference to the concepts of the 18th century. I think they do not distinguish between the geographical facts and the historical imagine. In these article I tried to justify my logic by settlement of some place-names.

keywords
Duman River, Tomun River, Bunkye River, Definition of the Boundary in the Chosun Dynasty, Baekdusanjeonggyebi., 두만강, 토문강, 분계강, 조선시대 국경인식, 백두산정계비.


참고문헌

1

(2007) 康熙皇輿全覽圖, 北京, 外門出版社 影印本

2

(2007) 乾隆十三排圖, 北京, 外門出版社 影印本

3

朝鮮王朝實錄, 國史編纂委員會

4

(1996) 백두산정계비와 간도,

5

(2005) 조선후기의 북방영토의식,

6

(2006) 朝鮮 後期 古地圖에 나타난 朝淸露 國境意識의 變化, 부산: 釜山大學校 釜山地理硏究所

7

(1998) 조선시대 선비들의 백두산 답사기, 서울: 혜안

8

(1994) 중국 조선족 취락지명과 인구분포, 서울대학교출판부

9

(1993) 백두산과 연변조선족 지리학적연구, 백산출판사

10

(2007) 조선 초 기록 중 ‘豆滿’ 및 ‘土門’의 개념과 국경인식,

11

(1991) 韓國의 古地圖,

12

(1990) 淸代政區沿革綜表, 中國地圖出版社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