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나'를 서술한 白農 趙昌容 산문의 성격과 의미

The Genre and Meaning of Cho Chang-yong's Autobiographical Writing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7, v.30 no.4, pp.279-307
https://doi.org/10.25024/ksq.30.4.200712.279
황재문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고는 전통적 지식인이면서 애국계몽에 힘썼던 조창용(1875~1948)의 산문 제혈강남록(1911)과 애강서록(1912)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두 작품이 ‘나’를 서술하면서도 사실 그대로의 ‘나’를 그려내지는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주제의식을 강하게 드러내도록 허구적 설정을 통해 형상화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는데,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전, 몽유록, 우언과 같은 전대의 문학전통이 활용되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렇지만 단순한 계승은 아니어서, 1인칭을 활용한 허구화, 현실과 이계의 동일성, 뜻한 바의 직접적 언명과 같은 변용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해당 시기의 전통적 양식을 계승한 문학작품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공통적인 특징으로 보이며, 향후 이에 대한 보다 정밀하고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품 자체에 대해서는 ‘멸족의 심법에 대한 경계와 우려’를 주제의식의 측면에서 지적할 수 있었다.본고는 두 작품 및 조창용이라는 작가에 대한 문학적 연구를 처음 시도하였다. 논의 과정에서는 전기적 사실과 그의 저작에 대한 평가 문제에 대해서 몇 가지 사실을 밝혔다. 그렇지만 앞으로 보다 정밀한 논의를 위해서는 그의 작품 전반에 걸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근대적 문인들에 가려서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의 발굴은 19세기말 20세기초의 문학에 대한 균형 잡힌 인식을 위해 특히 중요한 일이므로, 향후 이러한 방향의 연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조창용, 자기서술, 자전., Cho Chang-yong, Autobiographical Writing, Autobiography., Cho Chang-yong, Autobiographical Writing, Autobiography.

Abstract

In this paper, I scrutinized on two autobiographical proses written by Cho Chang-yong. He participated in the enlightenment movement leaded by Chang Ji-yeon as a teacher and journalist. From the analysis of two works, I found that he made some fictitious constitutions on characters and history to present his opinion on the solution of national crisis. He inherited and modified the generic tradition of classical literature, for example traditional autobiography(自傳), mongyurok(夢遊錄), traditional allegory(寓言). From this research, I could find out some characteristic aspects of literary acculturation in his proses. Those were the fiction on the first person, the identification the real with the imagined time and space, immediate showing of concealed connotation. In a sense those are commonness between works in the same times. Nevertheless I need to stress on that point, because that was occasionally neglected in the study of Korean literary history. To scribing the perfect spectacle of Korean literature in those times, we must discover more writers and works founded on conventional culture and literature. Besides I think that is the desirable way to elucidation the dynamic relation between tradition and alteration.

keywords
조창용, 자기서술, 자전., Cho Chang-yong, Autobiographical Writing, Autobiography., Cho Chang-yong, Autobiographical Writing, Autobiography.


참고문헌

1

(1986)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

(1993)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

(2003) 士大夫自傳 硏究, 석사학위논문

4

(2001) 가학의 형성과 계승 , 서울: 예문서원

5

(2001) 새롭게 개척한 근대의 길, 서울: 예문서원

6

(1997) 신채호의 근대민족문학 ,

7

(1994) 한국몽유소설연구, 계명문화사

8

(2006) 일본의 사소설, 서울: 살림

9

(2005) 근대계몽기 단형 서사문학과 우언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0

(2001) 우언글쓰기의 원리와 적용 자료의 범위 연구 , 한국한문학회

11

(1992) 白農의 海港日記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2

(2006) 寓言의 시대적 성격 비교론, 서울: 박이정

13

(2002) 애국계몽기 한문산문의 연구, 서울: 다운샘

14

(2004) 애국계몽기 우언에 표출된 계몽의식 , 서울: 집문당

15

(2002) 중국의 자전문학, 서울: 소명출판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