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新羅 惠恭王代(765-780)의 國內外情勢와 對日外交

Silla's Political Situation and Diplomacy Toward Japan in the Times of King Haegyong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7, v.30 no.4, pp.3-29
https://doi.org/10.25024/ksq.30.4.200712.3
김선숙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혜공왕대의 신라와 일본간에는 이따금 사신왕래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기간이나 빈도에 있어서 매우 소원한 관계였다. 이는 당시의 동북아정세는 물론이고 신라 국내정세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중국대륙에서 일어난 安史의 亂(755~763) 이후 발해와 당의 관계는 돈독해졌고 신라와 발해의 관계 역시 평화적이었다. 이는 750년대 후반부터 양국간에 설치된 交通路나 이 길을 통해 신라에 들어간 당의 견발해사가 신라정부에게 부탁하여 일본 견당승려의 안부를 확인하는 한편으로 신라와 일본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기 위한 행보 속에서 엿볼 수 있다. 혜공왕대에는 귀척들의 득세와 반란 등으로 인해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이와 같은 국내외 정세 속에서 혜공왕 5년에는 김은거의 주도로 신라사 김초정 등이 일본에 파견된다. 김초정 등의 일본파견은 일차적으로 당에 머물러 있던 일본 견당사의 부탁에 따른 것이었지만 신라사절단의 규모라든가 신라사가 굳이 入京하지 않아도 일본의 大宰府에서 교역할 수 있었던 여건 등을 고려해볼 때 일본과의 교역이라는 경제적 목적이 상정된다. 이후 신라에서는 김옹의 집정과 혜공왕의 친정 등으로 이어지면서 왕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치개혁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혜공왕은 그 간 정계에서 소외된 김유신의 후손들을 관리로 등용시키는 정책을 펴나가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혜공왕 10년과 15년에 각각 김옹과 김양상의 주도로 신라사의 일본파견이 단행되었으나 양국의 외교관계는 의례문제로 인한 갈등과 혜공왕의 승하 등으로 인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했다.

keywords
King Haegyong, diplomatic relationships, royal authority, a matter of ceremony, Japan, 혜공왕, 외교관계, 왕권, 외례문제, 일본

Abstract

It had been continued to the diplomatic negotiations between Silla and Japan without interruption in the times of King Haegyong. But it was a still decreasing aspect and alienating relations to a term of comings and goings or frequency. This is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situation of Northeast Asia and the domestic situation of Silla. It had been promoted friendly to the diplomatic relation between Balhae and Tang extending from 755 till 763 year. And also, the diplomatic relation between Silla and Balhae had been peaceable. This evince the fact that a traffic route had been built between two countries from the latter half of the 755’s, and an intention of Tang’s envoy going into Silla. Silla’s political situation had been disordered circumstances owing to noblemen’s gaining power or revolt on and after accession to the throne in the times of King Haegyong. In the presence of an unstable royal authority like this, Silla’s government had sent its envoy to Japan taking a Japanese monk to Tang opportunity in the 5st year of King Haegyong. The foundation contains trade with Japan called economic purpose. In some degree this is able to analogize in view of facts as follows. The political situation of Silla from this time had accomplished a political reform in the direction from which the royal authority had reinforced. Also, King Haegyong had spread out the policy of advancing a person to be neglected from the political world during that time. In this course the government of Silla had dispatched an envoy to Japan. But the diplomatic relationships of both countries had failed to be advanced any longer owing to the trouble caused by a matter of ceremony and the death of King Haegyong.

keywords
King Haegyong, diplomatic relationships, royal authority, a matter of ceremony, Japan, 혜공왕, 외교관계, 왕권, 외례문제, 일본


참고문헌

1

(1999) 8~9세기 신라의 산업구조 ,

2

(1986) 당 고구려유민과 신라교민,

3

(1995) 7~9세기 신라인 해외무역활동,

4

(1983) 신라 성덕왕효성왕대 김순원의 정치적 활동 동아연구 3,

5

(1999) 新羅道를 통해 본 渤海와 新羅 관계,

6

(2003) 발해의 대외관계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7

(1991) 8세기의 新羅와 日本의 關係,

8

(1999) 8세기 후반 일본의 대외관계에 관한 고찰 ,

9

(2006) 통일신라 동아시아 교역과 수공업생산: 신라와 일본의 교역을 중심으로, 해상왕 장보고 연구회 워크샵

10

(2002) 일본고대국가의 왕권과 외교, 서울: 경인문화사

11

(1989) 동아시아 국제관계 속의 발해와 신라,

12

(1993) 발해 文王代의 개혁과 사회변동 한국고대사연구 6,

13

(1974) 新羅 惠恭王代의 政治的 變革,

14

(1999) 신라 혜공왕대 五廟制와 改革의 정치적 의미,

15

(1999) 동아시아의 왕권과 교역, 서울: 청년사

16

(1990) 신라 혜공왕대 정변의 새로운 해석,

17

(1999) 統一新羅の傳達體系と北海通,

18

(1974) 新羅 中代王室과 奉德寺,

19

(2003) 新羅의 對日香藥貿易,

20

(2002) 신라인의 來航에 대하여 ,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1

(2001) 統一新羅의 北方進出硏究, 서울: 서경문화사

22

(1997) 新羅 中代 對日外交의 推移와 眞骨貴族의 動向,

23

(1999) 장보고에 대한 기록과 장보고의 재당활동과 해상지배권 장악의 배경,

24

(1994) 발해의 대외관계사,

25

(2001) 日本渤海關係史の硏究, 東京: 吉川弘文館

26

(2002) 新羅國史の硏究, 東京: 吉川弘文館

27

(2002) 渤海使の硏究, 東京: 明石書店

28

(2003) 奈良平安期の日本とアジア, 東京 吉川弘文館

29

(2004) 8世紀中葉における新羅と渤海との通交關係,

30

(2005) 東北アジアのなかの渤海の國家と交流, 東京: 大巧社

31

(2006) 八世紀後半の日羅關係: 寶龜十年新羅使を中心に,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