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본지수적설(本地垂迹說)과 불국토사상(佛國土思想)의 비교 : 『佛祖統紀』·『三國遺事』·『元亨釋書』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Honji-suijaku Theory(本地垂迹說) and The Thought of Buddha Land(佛國土思想) : Through Fo-tsut'ung-chi(<佛祖統紀>), Samguk yusa(<三國遺事>), and Genkosyakusho(<元亨釋書>)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1, pp.59-84
https://doi.org/10.25024/ksq.31.1.200803.59
정천구 (부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동아시아의 중세는 불교로부터 시작되었다. 불교는 한문문명권에서는 외래종교였다. 따라서 문명권 중심부인 중국도 나름대로 수용하는 방식이 있었으리라 추정할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그것이 본지수적설임을 밝혀 논하였다. 이제까지 본지수적설은 일본의 신토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만 여겨지고 또 연구되었는데, 본고에서는 중국 또한 본지수적설에 입각해서 불교가 토착신앙인 도교와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중국과 일본의 본지수적설이 한국의 불국토사상과는 어떻게 같고 다른지도 비교해서 논의하였다. 이 비교 연구를 통해 세 나라의 민족적문화적 특성이 본지수적설이나 불국토사상과 깊이 연관되어 있음이 드러나며, 오늘날 세 나라의 사회와 문화에도 깊이 내재해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keywords
본지(Honji), 수적(Suijaku), 불국토(Buddha land), 진신(Holy body)

Abstract

It was Buddhism from India that made the Eastern Asian get on toward the Middle Ages. In Hanmun Civilization World(漢文文明圈) it had been a foreign religion. Thus we will assume that there had been a method to introduce it into China which was the center of Hanmun Civilization World then. In this study, it was made clear to be Honji-suijaku theory. Till now it was studied to explain Japanese Shinto神道 and taken for its characteristics, but here it was clarified to be related with Chinese Taoism(道敎). On the basis of that argument, I studied comparatively Honji-suijaku theory of China and Japan and the thought of Buddha Land(佛國土思想) on what is in common and what is different. This study will make their national and cultural traits be more apparent, and make clear that their traits are deep-rooted in their modern society and culture as well.

keywords
본지(Honji), 수적(Suijaku), 불국토(Buddha land), 진신(Holy body)


참고문헌

1

佛祖統紀, 大正新修大藏經 권49,

2

三國遺事,

3

元亨釋書, 大日本佛敎全書 권101,

4

楞嚴經,

5

신동하, (2000) 新羅 佛國土思想의 展開樣相과 歷史的 意義,

6

신동하, (2001) 新羅 佛國土思想과 皇龍寺,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7

이기영, (1973) 7, 8세기 新羅 및 日本의 佛國土思想, 한국종교사연구

8

정천구, (2000) 三國遺事와 中 日 佛敎傳記文學의 비교 연구,

9

조동일, (2005)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10

阿滿利, (2000) 일본인은 왜 종교가 없다고 말하는가, 예문서원

11

이원국, (2006) 내단 심신수련의 역사 (1 2),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2

眞野隆也, (2001) 도교의 신들, 들녘

13

村岡典嗣, (1998) 일본 신도사, 예문서원

14

馬書田, (1996) 中國道敎諸神, 團結出版社

15

末木文美士, (1992) 日本佛敎史, 新潮社

16

善之助, (1934) 本地垂迹說, 岩波書店

17

村山修一, (1974) 本地垂迹, 吉川弘文館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