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전봉건 시의 고향 콤플렉스 극복과정-『북의 고향』을 중심으로-

Overcome Process of Hometown Complex in Jun Bong-gun's PoemsFocus on Bukei Kohyang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2, pp.173-191
https://doi.org/10.25024/ksq.31.2.200806.173
김성조 (한양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논문은 전봉건의 후기시 『북의 고향』을 중심으로 그의 고향 그리움의 심회와 시의식에 내재한 고향 콤플렉스의 시적 극복과정을 살펴본다. 전봉건은 50년대 대표적 모더니즘 시인으로, 그의 실험적 시의식과 그에 따른 문학적 성취는 시사적으로도 큰 족적을 남겼다는 평가를 받는다. 시력 40여년 동안 지속된 그의 시적탐구는 단계별 시적변화와 독특한 미학적 시세계를 여는 초석이 된다. 이러한 전봉건의 전 시세계를 지배하는 시적 상상력은 6ㆍ25체험이라 할 수 있다. 그의 초기ㆍ중기시가 주로 ‘피’로 상징되는 전쟁의 비극성을 형상화하고 있다면, 『북의 고향』의시편들은 분단 모순에 대한 비판과 실향에 토대를 두고 있다. 실향의식은 전봉건의 전 시세계에 걸쳐 그가 극복해야 할 가장 큰 시적 극복대상으로 내면화되어 있다. 전봉건에게 있어 6ㆍ25의 상처는 결국 실향의 상처로 집약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꿈길’을 통한 고향회귀와 ‘눈’과 ‘눈물’ 이미지를 통한 자기정화의 세계는 가장 적극적인 시적극복을 반영한다. 고향회귀는 곧 전봉건의 정신적 극복세계를 의미하며, 자기정화는 새로운 인식의 세계 즉, ‘혼자’에서 ‘우리’라는 통합의 세계로 유도하기 때문이다. 시집 『북의 고향』에 나타난 고향 콤플렉스 극복과정은 전봉건 시세계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그의 마지막 시집 『돌』의 존재초월로 가는 하나의 디딤돌 역할을 하게 된다.

keywords
전쟁체험(War experience), 분단(division), 고향상실(loss of hometown) 고향 콤플렉스(hometown complex), 극복(overcome)

Abstract

This paper researched overcome process of hometown complex in Jun Bong-gun's poems included in yearning of hometown and sense of poetry in Jun Bong-gun's later poems especially in Bukei Kohyang. He was a representative modernism poet. His experimental sense of poetry and his literary success were estimated as excellent results. His 40 years poetic research became a foundation which opened poetic change in stages and aesthetic world of poetry. Poetic imagination ruling whole world of un Bong-gun's poems was experience of the War 6ㆍ25. His early poems depicted the tragedy of the war symbolized as 'blood', Bukei Kohyang was based on critic of the division contradict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nd the pain of losing hometown. The sense of losing hometown was internalized as an poetic overcome object that he should conquer through the whole world of Jun Bong-gun's poems. Because, in case of Jun Bong-gun, the pain of the War 6ㆍ25 is the pain of losing hometown. Therefore returning hometown through 'a road of dream' and world of self-purification through eyes and tears image reflected the most positive poetic overcome. Returning hometown meaned mental overcome, and self-purification drew new consciousness which is not alone world but our world. Overcome process of hometown complex in a collection of poems Bukei Kohyang was a turning point on world of Jun Bong-gun's poems, and a step which headed for existence transcendence in the last collection of poems Dol.

keywords
전쟁체험(War experience), 분단(division), 고향상실(loss of hometown) 고향 콤플렉스(hometown complex), 극복(overcome)


참고문헌

1

S. 프로이트, (2005) 꿈의 해석, 선영사

2

박민영, (1993) 6ㆍ25와 북의 고향, 상실의 시적 극복, 현대시학

3

신동욱, (1980) 전봉건론, 현대문학

4

이승훈, (1988) 6ㆍ25체험의 시적극복, 문학사상

5

이승훈, (1986) 전봉건의 상처, 현대문학

6

장 피에르 리샤르, (1984) 시와 깊이, 민음사

7

전봉건, (1984) 돌, 현대문학사

8

전봉건, (1982) 북의 고향, 명지사

9

전봉건, (1959) 사랑을 위한 되풀이, 춘조사

10

전봉건, (1970) 속의 바다, 문원사

11

전봉건, (1961) 詩를 찾아서, 청운출판사

12

전봉건, (1967) 춘향연가, 성문각

13

전봉건, (1979) 피리, 문학예술사

14

전봉건, (1983) 나의 文學, 나의 詩作法, 현대문학

15

차한수, (1989) 상실의식과 탐구정신: 전봉건의 6ㆍ25연작시를 중심으로, 현대시학

16

하현식, (1988) 말과 孤節, 현대시학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