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조선 초기 유학의 여성인식-여성 범주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Knowledge of Women in the Confucianism of the Early Joseon: Centering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Gender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2, pp.193-221
https://doi.org/10.25024/ksq.31.2.200806.193
이숙인 (한국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성 범주가 한국의 지배 사상에서 어떻게 체계화되는가를 조선 초기의 제도화 과정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이 시기 성 범주의 제도화는 유학을 통한 사회통합의 일환이었다. 그것은 ‘부부’와 ‘남녀’가 함의하는 바,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두 차원에서 전개되었다. 부부관계의 제도화를 통해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정해졌고, 남녀관계의 제도화를 통해 여성 섹슈얼리티가 관리되었다. 부부관계는 가도(家道)의 서사와 삼강(三綱)의 구도를 통해 ‘부부정위(夫婦定位)’와 ‘부부위계(夫婦位階)’의 방식으로 제도화되었다. 남녀관계는 풍속의 담론과 인정(仁政)의 제도를 통해 여성의 ‘실행(失行)’이 정의되고 여성의 ‘수신(守信)’이 요구되었다. 조선 초기 성의 범주가 법령과 제도로 정착하기까지는 다양한 이해(利害)의 대립과 갈등, 협상과 절충의 과정을 거쳐야 했다. 그것은 『조선경국전』과 『경제육전』 및 그 속전들, 그리고 『경국대전』 등의 법전과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볼 수 있다. 법전의 구상과 정립으로 구체화된 조선 초기의 여성 인식은 조선의 현실이 유학의 이론을 만나는 지점에서 형성된 것이다. 여성 인식의 측면에서 본 조선 초기의 유학은 남성 지배층이 구상하는 제도에 이론과 고증을 통해 그 보편타당성을 확보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이를 통해 지배 사상이 성별을 어떤 방식으로 체계화하고 합리화하는가를 볼 수 있다.

keywords
조선 초기(the Early Joseon), 유학(Confucianism) 여성인식(Knowledge of Women), 성범주(Gender), 성성(sexuality), 제도화(Institutionalization)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reconstruct how the gender was systematized in Korean dominant thoughts through the process of its institutionalization, which was one way of social unification in the early Joseon. The project of categorizing and readjusting 'husband and wife' and 'man and women' was promoted in biological and social phases. That is, the location of 'husband and wife' was settled in the context of establishing family customs and become hierarchical in the framework of Samgang(Three fundamental principles). The issue of 'man and women' was about the control of female sexuality by institutionalizing 'chastity' and 'moral training' in the name of purgation of public morals. The knowledge of women in the confucianism of the early Joseon whose characteristic wa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gender is presented in the codes such as Joseon gyeonggukjeon(Administrative Code of Joseon), Gyeongje yukjeon(Six Codes of Administration), Gyeonggukdaejeon(Complete Code of Law) and Joseon wangjo sillok(Annals of the Dynasty of Joseon).

keywords
조선 초기(the Early Joseon), 유학(Confucianism) 여성인식(Knowledge of Women), 성범주(Gender), 성성(sexuality), 제도화(Institutionalization)


참고문헌

1

『周易』; 『近思錄』; 『조선왕조실록』(태조ㆍ정종ㆍ태종ㆍ세종ㆍ문종ㆍ단종ㆍ세조ㆍ예종ㆍ성종실록),

2

정도전, (1997) 朝鮮徑國典(上ㆍ下); 삼봉집, 솔출판사

3

정도전, (1997) 經濟文鑑(上ㆍ下), 삼봉집, 솔출판사

4

전봉덕, (1989) 經濟六典拾遺, 아세아문화사

5

연세대 국학연구원, (1993) 經濟六典輯錄, 신서원

6

朝鮮總督府中樞院(編), 經國大典, 조선총독부

7

김홍경, (2005) 15세기 정치 상황과 성리학의 흐름, 국학진흥원

8

김홍경, (1992) 관학파의 유학사상, 한길사

9

마르티나 도이힐러, (2003) 한국사회의 유교적 변환, 아카넷

10

오영교, (2004) 조선 건국과 경국대전체제의 형성, 혜안

11

유향, (1996) 列女傳, 예문서원

12

이숙인, (2005)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여이연

13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소(편), (1989) 韓國女性關係資料集:近世篇(法典上), 이화여자대학교 출판국

14

정순우, (2006) 한국 유학교육의 특징과 성격, 국학진흥원

15

정호훈, (2004) 조선전기 법전의 정비와 『경국대전』의 성립, 혜안

16

조은, (2000) 가부장적 질서화와 부인권의 약화:조선전기 재산상속 분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17

최홍기, (2004) 조선전기 가부장제와 여성, 아카넷

18

한영우, (1999) 정도전 사상의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