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Syngman Rhee, MacArthur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3, pp.103-130
https://doi.org/10.25024/ksq.31.3.200809.103
Sangho Lee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현재 한국사회에서는 ‘건국’과 ‘정부수립’에 대한 용어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용어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에 대해 ‘단상’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의 출범과 함께 이루어진 역사적 상황 속에서 맥아더와 이승만의 관계와 대한민국 정부수립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 인물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부터 한국의 정치질서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승만은 해방 직후 유력 정치가로서 1945년 10월 16일 제일먼저 귀국하였다. 이러한 맥아더와의 연계를 통한 이승만의 조기귀국은 정치적으로 이승만의 남한 정계 부각에 결정적인 단서가 되었다. 미 국무부가 주도하던 해방정국의 정치변동에서 맥아더는 이승만의 단정 노선을 지지했던 인물이었다. 특히 맥아더는 미소공위 회담이 결렬되자 한국문제를 유엔에 이관하라는 등 대한정책에 대한 전면적 수정을 제기하였다. 결국 한국 문제가 1947년 11월 14일 유엔총회에서 ‘한국독립문제에 관한 결의안’으로 채택되었고 이후 남한만의 단독 선거가 이루어져, 1948년 8월 15일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하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맥아더와 이승만 사이에는 평화주의자들에 대한 반감. 반소ㆍ반공주의 그리고 기독교 사상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공통점은 공감을 넘어서 이승만과 맥아더를 연결하는 가교역할을 담당했고, 대한민국 정부수립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그리하여 이승만 정권은 반소·반공주의에 기독교가 사회전체의 특혜집단으로 성장하는데 토대를 마련해준 기독교 반공정부로 등장하게 되었다.

keywords
이승만(Syngman Rhee), 맥아더(Douglas MacArthur), 정부수립(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건국(Nation Building), 미소공동위원회(US-USSR Joint Commission).


Reference

1

경향신문,

2

동아일보,

3

서울신문,

4

연합뉴스,

5

중앙일보,

6

한성일보,

7

강인철, (1994) 한국 개신교교회의 정치사회적 성격에 관한 연구: 1945~1960,

8

고정휴, (1991)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 연구,

9

고정휴, (2004) 이승만과 한국독립운동, 연세대학교출판부

10

김경일, (2005)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 기원: 한중관계의 역사적ㆍ지정학적 배경을 중심으로, 논형

11

김남식, (1984) 남로당연구, 돌베개

12

서중석, (1991)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IㆍII, 역사비평사

13

유영익, (1996) 이승만의 삶과 꿈, 중앙일보사

14

이상호, (2007) 맥아더와 한국전쟁, 1945~1951,

15

이상호, (2007) 미국 맥아더기념관 소장 한국관련 자료조사 및 해제, 국사편찬위원회

16

이승만, (1987) 일본군국주의 실상, 나남

17

이완범, (2001) 삼팔선 획정의 진실, 지식산업사

18

임병직, (1964) 임병직회고록, 女苑社

19

정병준, (2005) 우남 이승만 연구: 한국 근대국가의 형성과 우파의 길, 역사비평사

20

정병준, (2006) 한국전쟁: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 돌베개

21

정용욱, (2003) 존 하지와 미군 점령통치 3년, 중심

22

정용욱, (2003) 해방전후 미국의 대한정책:과도정부 구상과 중간파 정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출판부

23

차상철, (2001) 이승만과 하지: 견원(견원)의 동반자, 연세대학교출판부

24

차상철, (1991) 해방전후 미국의 한반도정책, 지식산업사

25

한표욱, (1996) 이승만과 한미외교, 중앙일보사

26

Korea Review; New York Times,

27

MacArthur Memorial Archives, RG 9, Collection of Messages(Radiograms), Blue Binder Series. Korea

28

Clayton James, D., (1941) The Years of MacArthur, Vol. I: Triumph and Disaster, 1880~1941,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29

Clayton James, D., (1985) The Years of MacArthur, Vol. III: Triumph and Disaster, 1945~1964,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30

Cumings, Bruce, (1981) he Origins of the Korean War, Vol. I: Liberation and the Emergence of Separate Regimes, 1945~1947,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Cumings, Bruce, (1990) The Korean War, Vol II: The Roaring of the Cataract, 1947~1950,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

Eiji, Takemae, (2002) Inside GHQ: The Allied Occupation of Japan and Its Legacy, New York: Continuum

33

Smith, Robert, (1982) MacArthur in Korea, New York: Simon and Schuster

34

U.S. Department of State, (1969)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5, Vol. VI: The British Commonwealth and The Far East, Wahington: U.S.G.P.O.

35

U.S. Department of State, (1971)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6, Vol. VIII: The Far East, Washington: U.S.G.P.O.,

36

U.S. Department of State, (1972)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7, Vol. VI: The Far East, Washington: U.S.G.P.O.,

37

United States Armed Forces in Korea,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rmed Forces in Korea. Manuscript in Office of the Chief of the Military History, Washington D. C.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