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日本의 對韓‘賠償 비즈니스’를 둘러싼 韓日‘滿洲人脈’의 結合과 役割

Integration of Korean-Japanese ‘Manchuquo Networks’ through Japan's ‘Reparation Business’ in Korea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3, pp.131-153
https://doi.org/10.25024/ksq.31.3.200809.131
김웅기 (홍익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고는 일본의 한국에 대한 청구권관련 사업(‘배상 비즈니스’)를 둘러싼 한일 ‘만주인맥’의 형성 및 결합과 그 역할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1960~70년대 한국과 일본의 권력의 중심에는 박정희(朴正熙)와 키시(岸信介)를 정점으로 하는 만주경험자들이 있었다. 만주에서 각기 군인, 기업가, 기술자 등 다양한 계층에서 경험을 쌓았던 만주경험자들은 전후 한일 양국에서 이른바 ‘만주인맥’을 구성하여 각기 ‘권력의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이들은 한일 ‘배상 비즈니스’에서도 중심적 역할을 담당했다. 역무배상 방식으로 이루어진 ‘배상 비즈니스’는 일본 기업에 대한 독점적 입찰권과 일본정부에 의한 직접결재가 보장된다는 매우 유리한 조건까지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기업들은 ‘배상 비즈니스’를 막대한 이익창출기회인 동시에 아시아시장에 대한 재진출의 교두보로 이용하고자 했다. 이에 일본의 기업들은 한국의 배상 비즈니스를 선점하기 위해 수주결정권자였던 박정희와의 직간접적인 교섭통로를 개척하기 위해 ‘만주인맥’을 활용했으며, 박정희 정부의 ‘실세’들을 상대로 앞 다투어 로비활동을 전개했다. 이토츄상사(伊藤忠商事)와 일본공영(日本工營)이라는 두 민간기업의 사례를 통해 보듯이 한일 ‘만주인맥’의 결합과정은 우선 양국의 교섭통로를 개척하기 위해 만주군 출신의 정치적 ‘실세’와의 비공식적 접촉을 시도했으며, 이어 교섭통로가 확보된 후에는 일본 기업 내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가진 만주경험자들이 투입되는 형태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박정희 정부는 여타의 아시아국가와 마찬가지로 일본의 기술과 노하우, 자금력을 도입하여 산업화와 인프라 건설을 꾀하고자 했으므로 일본과의 국교정상화에 적극 나서게 되었다. 그러나 국가적 이익의 이면에는 박정희 정부 ‘실세’들이 개인적 이익을 추구하고자 했기 때문에 청구권자금에 대한 부패가 초래되는 부작용도 발생했다. 따라서 본고를 통해 고찰한 바, ‘만주인맥’은 난항을 겪던 한일 정상회담에서 ‘만주’라는 공통분모를 활용하여 국교정상화를 이끌어내었으며, 한국국교정상화를 통해 한일 양국이 각기 자국의 목적을 달성시켰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으나, 한일 ‘만주인맥’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불투명한 자금운영에 따른 ‘부패’가 수반되는 부정적인 결과도 초래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keywords
만주인맥(Manchuquo Networks), 배상 비즈니스(Reparation Business), 박정희(Park, Chung-hee), 岸信介(Kishi, Nobusuke), 伊藤忠商事(Itochu Corporation), 日本工營(Nippon Koei)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e that both Korean and Japanese ‘Manchuquo Networks’ played a critical role in implementing so-called Japan's ‘reparation business’ in Korea. The term, Japan's ‘reparation business,' is used because Japanese businesses as well as Japanese government, were the largest beneficiaries for Japan's reparation for its invasion and colonization in Korea and other Asian nations before and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 series of the bilateral negotiations over their diplomatic normalization frequently halted because of difficult definition and estimation of Korea's right of claim for Japan's colonization in Korea. Therefore, importance of unofficial negotiations largely increased. Members of Japan's ‘Manchuquo Networks,’ such as Nobusuke Kishi, Kazuo Yatsugi and Yoshio Kodama played a critical role in coordinating unofficial meetings with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They actively involved in this type of condonations because they could expect to be rewarded by Japan's ‘reparation business’ to be implemented in Korea after the two nations' diplomatic normalization and because they had already experienced to be rewarded through the ‘reparation business’ implemented in other Asian nations, such as Philippines, Indonesia and South Vietnam. In order for Japanese businesses to win business opportunities in Korea, those business personnel who belonged to ‘Manchuquo Network’ actively involved in lobbying activities for members of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Japan's ‘reparation business’ in Korea gave a huge impact on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The Park administration obtained more than 800 million US dollar of foreign investment from Japan, which was essential for Korea to construct industrial infrastructure. It would be true that the ‘reparation business’ contributed to constructing infrastructure, which was essential for Korea's national development; however, it also brought about corruption among the administration at the same time. This corruption occurred because each project were handled by contracts ad libitum. Therefore, Japanese businesses needed to lobby members of the administration in order to win business opportunities in Korea.

keywords
만주인맥(Manchuquo Networks), 배상 비즈니스(Reparation Business), 박정희(Park, Chung-hee), 岸信介(Kishi, Nobusuke), 伊藤忠商事(Itochu Corporation), 日本工營(Nippon Koei)


참고문헌

1

세계일보,

2

월간조선,

3

權逸, (1983) 玄海灘을 사이에 두고: 日本 속의 南과 北, 해외교포문제연구소출판부

4

김경일, (2004) 동아시아의 민족이산과 도시:20세기 전반 만주의 조선인, 역사비평사

5

김동조, (1986) 회상 30년 한일회담, 중앙일보

6

김민철, (1996) 만주국의 관료를 꿈꾸는 조선인 대동학원 출신자들, 민족문제연구

7

박정희시대 특별취재팀, (1998) 실록 박정희, 중앙M&B

8

박진희, (2002) 韓日국교수립과정에서 '韓-日인맥'의 형성과 역할, 역사문제연구소 학술대회 발표논문

9

신주백, (2002) 滿洲國軍 속의 조선인 군인들, 역사문제연구소 학술대회 발표논문

10

이원덕, (1996) 한ㆍ일 과거사 처리의 원점: 일본의 전후처리 외교와 한일회담, 서울대학교출판부

11

정우현, (2004) 실록 군인 박정희, 개마고원

12

Baldwin, Frank, (1973) Without Parallel: The American-Korean Relationship since 1945, New York: Random House

13

Johnson, Chalmers, (1982) MITI and the Japanese Miracle: The Growth of Industrial Policy 1925~1975,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4

Lee, Chong-Sik, (1985) Japan and Korea: The Political Dimension, California: Stanford Hoover Institution Press,

15

朝日新聞,

16

エコノミスト,

17

財界日本,

18

姜鷺鄕, (1966) 駐日代表部, 東亞PR硏究所出版部

19

淺田喬二, (1986) 日本帝國主義の滿洲支配, 時潮社

20

五十嵐仁, (2003) ?後政治の?情, 小?館

21

李鍾元, (1996) 東アジア冷?と韓米日?係, 東京大?出版?

22

太田修, (2003) 日韓交?, クレイン

23

共同通信社, (1996) 沈?のファイル, 共同通信社

24

小林進, (1977) 日韓ゆ着の?相: 元韓國情報部長金炯旭は語る, 政治經濟硏究會

25

小林英夫, (2005) 滿洲と自民?, 新潮社

26

椎名悅三郞追悼錄刊行會, (1982) 記錄 椎名悅三郞 下卷, 椎名悅三郞追悼錄刊行會

27

高崎宗司, (1996) ?? 日韓?談, 岩波新書

28

竹森久朝, (1976) 見えざる政府:兒玉譽士男とその黑の人脈, 白石書店

29

朝鮮問題硏究會(編), (1978) シリ?ズ日韓問題② 經濟ゆ着, 晩聲社

30

朝鮮問題硏究會(編), (1978) シリ?ズ日韓問題③ 軍事一體化, 晩聲社

31

日本工營株式會社, (1996) 日本工營50年史, 日本工營株式會社

32

每日新聞社政治部, (1976) 黑幕 兒玉譽士男, エ?ル出版社

33

矢次一夫, (1973) わが浪人外交を語る, 東洋經濟新報

34

山本剛士, (1983) 日韓關係と矢次一夫, 國際政治

35

山本有造, (2003) ?滿洲國?經濟史硏究, 名古屋大學出版會

36

(1961) 第38回?議院法務委員會, 第16號,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