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King Gojong's Management of the Government, and the Political Role of the Min House Member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3, pp.183-212
https://doi.org/10.25024/ksq.31.3.200809.183
JANG YOUNG-SOOK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본고에서는 민씨척족이 정계에 등용되는 경로와 이 과정에서 황후의 역할을 조명하고, 황후 사후까지도 고종을 지지하는 기반의 한 축으로서 정계에 등장하고 있는 민씨척족의 정치적 비중과 역할을 분석하였다. 을미사변 이전, 황후는 그 존재 자체만으로도 국왕으로 하여금 보다 많은 민씨척족들을 정계에 등용하게 하는 촉매적 역할을 하였다. 때문에 황후가 자신의 친정식구를 끌어들여 고종정권을 농단했다고 보고, 민씨척족의 진출이 두드러지는 1885년에서 1894년까지 내무부가 존속했던 기간을 ‘민씨척족정권기’로 간주하는 시각도 있어왔다. 그러나 민씨척족의 정치적 성장은 고종이 다양한 세력을 활용하여 집권기반을 공고히 하려는 정책의 일환 속에서 이들을 적극 기용한 측면이 더 크다. 이의 근거로는 관료임용에 議薦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국왕의 의사가 쉽게 개입될 수 있었던 점, 고종이 中批를 통해 독단적으로 인사행정을 단행하는 방식이 통용되고 있었던 점 등을 들 수 있다. 대한제국기에도 여흥민씨들은 광범위하게 등용되었다. 특히 이 시기 민씨일파는 전제황권을 구축하기 위한 물리력을 담보하는 부서인 원수부와 군부, 황실존숭을 위한 직제로서 궁내부 특진관, 정권의 외곽에서 정부를 홍보하고 비호하는 주요 지방관직에 이르기까지 전방위로 등용되었다. 황후 사후까지도 민씨척족 인물들이 막강한 정치 세력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왕가의 인척 가문으로서의 능력과 정권유지 차원의 필요성이 상보적으로 어우러졌던 결과일 뿐, 이들이 고종을 능가하며 정권을 농단하는 형태는 아니었다. 결국 민씨척족세력은 황후를 매개로 등장하였지만 황후 사후까지도 고종과 정치적 고락을 함께 한 국왕의 일가친척으로서, 유교적 도의를 수호하면서 정권의 지지기반 역할을 한 정치세력으로 평가할 수 있다.

keywords
고종(King Gojong), 민씨척족정권기(The Min House regime' period), 명성황후( Queen of myung seong), 원수부(Weonsu-bu), 궁내부특진관(Teukjin-gwan post of the Gungnae-bu).


Reference

1

高宗實錄,

2

備邊司謄錄,

3

承政院日記,

4

日省錄,

5

韓末近代法令資料集,

6

統理機務衙門 軍務司 記錄, 장서각

7

주한일본공사관기록,

8

申箕善全集,

9

鄭喬, 大韓季年史,

10

黃玹, 梅泉野錄,

11

윤효정, (1995) 風雲의 韓末秘史, 敎文社

12

여흥민씨족보, 한국학중앙연구원

13

구한국관보,

14

제국신문,

15

대동학회월보,

16

서북학회월보,

17

菊池謙讓, (1939) 近代朝鮮史 下, 鷄鳴社

18

金淑淵, (1991) 1880년대 민씨척족정권의 정치적 성격,

19

김영수, (2006) 춘생문사건 주도세력 연구: 궁내부에 기반을 둔 정치세력의 형성을 중심으로, 史林

20

김택영, (2001) 김택영의 조선시대사 韓史?, 태학사

21

徐珍敎, (2003) 대한제국기 정치지배세력과 정국운영, 한국근현대사연구

22

연갑수, (2001) 대원군집권기 부국강병정책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3

은정태, (1998) 高宗親政 이후 政治體制 改革과 政治勢力의 動向, 韓國史論

24

이태진, (2000)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25

장영숙, (2005) 고종의 정치사상과 정치개혁론 연구,

26

장영숙, (1999) 고종친정초기 군령권의 추이와 군제개편(1873~1884), 사학연구

27

장영숙, (2003) 내무부 존속년간(1885년~1894년) 고종의 역할과 정국동향, 상명사학

28

주진오, (2003) 한국 근대국민국가 수립과정에서 왕권의 역할(1880~1894), 역사와 현실

29

한철호, (1996) 閔氏戚族政權期(1885~1894) 內務府 官僚 硏究, 아시아문화

30

林泰輔, (1912) 朝鮮通史, 富山山房

31

田保橋潔, (1940) 近代日鮮關係の硏究, 朝鮮總督府 中樞院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