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한국어 교육에서 설화 문학을 활용한 문화 교육-‘선녀와 나무꾼’을 통해 본 한국의 문화-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4, pp.107-130
https://doi.org/10.25024/ksq.31.4.200812.107
안미영 (한국외국어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들어 외국인의 한국어 교육도 어학 교육 중심에서 문화 교육 중심으로 그 영역과 질을 확대시켜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제2언어를 습득하고자 할 때 가장 큰 목표는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에 있으며, 이는 학습자가 해당 국가의 문화를 잘 이해하고 있을 때 진정한 언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 즉 언어 능력의 향상, 문화의 적극적 이해, 더 나아가 이를 통해 학습자 개인의 내면적 성장을 꾀하는 것을 진정한 한국어 교육의 목표라고 할 때 문학을 활용한 언어교육은 그 효과를 더할 수 있다. 특히 고전문학은 한 민족을 대표하는 사상이나 사고방식, 가치관, 세계관, 생활양식을 가장 잘 담고 있어 이를 활용하여 언어교육을 한다면, 양질의 한국어교육 효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한국 고전문학은 한국인의 언어, 문화, 정신, 가치관, 풍속 등의 뿌리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문화 교육과 한국어의 이해와 표현 학습을 통합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심미적 언어 교육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설화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수 방법을 연극 활동이라는 방식을 통해 제안하였다. 설화 문학의 특성상, 보편성과 오랜 기간에 걸친 역사성, 유형화된 이야기 구조 등을 한국어 교육에의 활용 가능성 측면으로 보아, ‘선녀와 나무꾼’ 설화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 정신문화적 요소를 추출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 작품 전반에 흐르고 있는 대칭적 세계관에 따른 한국의 전통 사상적 배경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천지간의 공간 이동과 신분의 변화에 따른 결핍ㆍ충족의 양상을 통해 한국의 가족관계와 가족의식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문화 이해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여기서는 연극 활동 내지는 짝 활동을 통하여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통합적 교육이 가능하도록 제안하였지만 앞으로는 사회문화적 측면을 많은 부분 수용하고 있는 한국 고전문학을 한국어 교육에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본다.

keywords
a classical literature, culture, narrative literature, family relation and family consciousness of Korean, 고전문학, 문화, 설화, 한국의 가족관계와 가족의식

Abstract

Now days, When Foreigner start studying Korean they not only focus on language, but need to focus more on culture. When we learn second language, the biggest goal is to have conversation smoothly and if we understand their own culture, it will be a lot easier. In other words, Improvement of linguistic ability, understanding its culture is the real goal for Korean education. Especially because a classical literature represents a nation’s history, a way of thinking, nation’s value, a view of the world and a life style, so, if we use these categories when we teach Korean, I'm sure we will get a much better result than you'd expect. Thus, I suggest a role play of narrative literature as one of the methods to teach Korean. A narrative literature has universality, historicity though long generation and story format and I try to use these as a study material. I think A fairy and a lumberman (선녀와 나무꾼) could be a good example. I'd like to find out what kind of national ideological background is indicated and there's also space transfer between the earth and heaven, and the aspect of shortage-sufficenc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ther social level. Thorough these changes I'd like to know family relation and family consciousness of Korean. Here, I just suggested some role playing and practicing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with your partner. But, we have to think about us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hich contains culture and society, as a material for study in a various way.

keywords
a classical literature, culture, narrative literature, family relation and family consciousness of Korean, 고전문학, 문화, 설화, 한국의 가족관계와 가족의식


참고문헌

1

김열규, (1980) 한국의 신화, 일조각

2

배원룡, (1993) 나무꾼과 선녀 설화 연구, 집문당

3

임석재, 한국구전설화, 평민사

4

조일제, (1997) 영어교사를 위한 영문학 작품 지도법, 한국문화사

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6

J.G 카웰티, (1994) 도식성과 현실도피의 문화, 동연

7

McKay, Helen, (1996) About Storytelling, Sydney: Hale & Iremonger Pty Ltd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