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17~18세기 중국 山水版畵의 형성과 그 영향

Formation and Influence of Woodblock Prints of Real-view Landscape of China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4, pp.131-162
https://doi.org/10.25024/ksq.31.4.200812.131
박정애 (한국산업기술대학)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明代 萬曆年間(1573~1620) 강남지역을 중심으로 인쇄출판업의 호황과 기행문화가 확산되면서 활발히 간행되기 시작한 山水版畵는 淸代까지 꾸준히 발전하였다. 전통적 地理輿圖와 實景山水畵의 특징을 수렴하며 성립하였고 마침내 한 폭의 회화로 보아도 손색없는 수준에 도달하였다. 17~18세기 중국 산수판화의 전개과정은 인문지리적 성격으로부터 점차 순수회화적 면모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이행되었다. 『三才圖會』(1607)와 『海內奇觀』(1609)이 전자에 해당하며 『名山圖』(1633)와 『太平山水圖』(1648), 黃山版畵가 후자에 속한다. 이들 산수판화는 대개 전해오던 方志나 선행 판본류를 참작하여 제작하였다. 시기가 가장 앞서는 『삼재도회』 「地理卷」은 『해내기관』의 원천 자료로 활용되었다. 이어서 『명산도』는 『해내기관』의 양식을 일부 차용하면서 실경산수화의 성과까지 수용하여 회화성을 끌어올렸다. 이러한 추세는 청초 『태평산수도』와 각종 황산판화집으로 계승되어 일반회화와 더욱 밀착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康熙帝(재위 1662~1711) 때 편찬된 『古今圖書集成』 『山川典』에서는 순수회화적 완성도를 자랑하는 『명산도』 양식을 주조로 여타 판화집의 장점을 채택하였다. 17~18세기 중국 산수판화집은 큰 시차 없이 朝鮮에 전래되었고 왕실 이하 사대부, 화가에 이르기까지 널리 열람되었다. 특히 실경산수화의 붐이 조성된 18세기에는 鄭敾(1676~1759)과 金弘道(1745~1806 이후) 등 당대를 대표하는 화가들의 양식 정립에 영향을 미쳤다. 요컨대 17~18세기 산수판화는 중국과 한국 지식인들에게 인문지리와 시문의 학습서가 되는 한편, 화가들에게는 회화교본으로 기능하기도 했던 것이다.

keywords
실경산수화, 산수판화, 삼재도회, 해내기관, 명산도, 태평산수도, 황산판화, real-view landscape painting, woodblock print of real-view landscape, Sancaituhui, Haineiqiguan, Mingshantu, Taipingshanshuitu, woodblock print of Huangshan


참고문헌

1

『名山圖』, 奎章閣(奎中 3235); 『名山圖』, 藏書閣(C2-310); 『古今圖書集成』, 奎章閣(奎中貴 2555);,

2

『古今圖書集成』, 藏書閣(C3-279); 『肅宗實錄』; 『正祖實錄』,

3

徐浩修, 燕行紀,

4

成海應, 硏經齋全集外集,

5

柳道源, 蘆厓集,

6

李德懋, 靑莊館全書,

7

丁若鏞, 茶山詩文集,

8

강명관, (1999) 조선후기 서적의 수입ㆍ유통과 장서가의 출현: 18, 19세기 경화세족 문화의 한 단면, 소명출판

9

고바야시 히로미쓰, (2002) 중국의 전통판화, 시공사

10

高蓮姬, (2001) 조선후기 산수기행예술연구:鄭敾과 農淵그룹을 중심으로, 일지사

11

박도래, (2004) 明末淸初期 蕭雲從(1596~1669)의 山水畵 硏究,

12

朴銀順, (2002) 朝鮮後期 寫意的 眞景山水畵의 形成과 展開, 미술사연구

13

朴恩和, (1999) 元代의 實地名山水畵 硏究, 美術史學硏究

14

朴晶愛, (2002) 之又齋 鄭遂榮의 山水畵 연구, 美術史學硏究

15

朴晶愛, (2008) 朝鮮 後期 關西名勝圖 연구, 美術史學硏究

16

朴廷蕙, (1991) <水原陵幸圖屛> 硏究, 美術史學硏究

17

朴孝銀, (1999) 朝鮮 後期 문인들의 繪?蒐集活動 연구,

18

안휘준, (2005) 謙齋 鄭敾(1676~1759?의 瀟湘八景圖, 美術史論壇

19

오오키 야스시, (2007) 명말 강남의 출판문화, 소명출판

20

王圻, (1970) 三才圖會, 成文出版社

21

이선옥, (2000) 息山 李萬敷(1664~1732)와 『陋巷圖』 書畵帖 硏究, 美術史學硏究

22

李成美, (2000) 『虛舟府君山水遺帖』: 傳 李宗岳(1726~1773)의 眞景山水 畵帖 簡介, 藏書閣

23

崔玎妊, (2003) 『三才圖會』와 朝鮮後期 繪畵,

24

한정희, (2003) 17~18세기 동아시아에서 실경산수화의 성행과 그 의미, 美術史學硏究

25

홍선표, (2006) 17ㆍ18세기 조선의 외국서적 수용과 독서문화, 혜안

26

(1994) 中國古代版畵總刊二編, 上海古籍出版社

27

崇正,?談 康熙南巡圖卷, (1996) 宮廷藝術的光輝, 東大圖書公司

28

小林宏光, (1999) 版畵と版本, 小學館

29

陳夢雷, (1977) 古今圖書集成, 鼎文書局

30

馮鵬生, (1999) 中國木版水印槪況, 北京大學出版社

31

Cahill, James, (1979) The Compelling Images: Nature and Style in Seventeenth-Century Chinese Painting, Cambridge: Havard Univ. Press

32

Cahill, James, (1981) Huang:Chinses Painting and Printing of the Anhui School, Berkeley: University Art Museum

33

Maxwell Kessler Hearn, (1990) Kangxi Southern Inspection Tout, Ph.D.dissertation,Princeton University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