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난전(亂廛)의 통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The Concepts of Nanjeon(亂廛) Reviewed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8, v.31 no.4, pp.3-24
https://doi.org/10.25024/ksq.31.4.200812.3
박흥기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난전(亂廛)>을 시전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상행위라는 의미로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亂>이란 글자가 당연히 <紊>을 의미할 것이라는 그들의 속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亂>은 <紊>과 함께 <治>와 <理>라는 뜻도 동시에 지니고 있다. <亂>의 뜻이 그렇다면, 난전도 시전의 질서를 어지럽힌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시전의 질서를 바로잡는다는 정반대의 뜻을 지닌 용어로 동시에 사용되어 왔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이 논문은 먼저 채제공의 신해통공 발의가 <만기요람>과 다산의 「번옹유사(樊翁遺事)」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가를 통해 그러한 추측이 옳다는 것을 보이고, 다음으로 『조선왕조실록』의 기록 속에서 상응하는 용례를 찾아 그러한 사실을 재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표준국어대사전』의 난전 항목을 비롯하여 『조선왕조실록』과 같은 사료의 번역에서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상업사에 관한 모든 연구에서 난전은 어느 한 가지 의미가 아니라 반드시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지닌 개념으로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keywords
난전(亂廛), 금난전(禁亂廛), 시전(市廛), 조선후기 상업사, nanjeon, geumnanjeon, sijeon, commercial history of late Joseon

Abstract

Today many scholars studying the commercial history of late Joseon are used to understanding nanjeon as a term meaning such illegal commercial activities that throw sijeon into disorder.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ir preconceived notion that lan(亂) may only mean mun(紊). Contrary to this notion, lan means not only mun, but also zhi(治) and li(理). From this we can make a guess that the term nanjeon may also have two opposite meanings: nanjeon(1) meaning monopolistic ordering activities of sijeon and nanjeon(2) meaning illegal commercial activities of non-sijeon free trader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certain the truth of our guess. To begin with, we examine the ways in which the authors of the Mangi yoram and Jeong Dasan understood the term nanjeon mentioned in the proposal for so-called Sinhae tonggong made by Chae Je-gong, finding out that we do not miss our guess. This finding is reconfirmed by showing that nanjeon(1) and nanjeon(2) had been used simultaneously in the Sillok of Joseon Dynasty. Our conclusion is that nanjeon had been used as a concept with two opposite meanings. Therefore it cannot be defined either as nanjeon(1) or as nanjeon(2); it should be re-defined as a term which has both of meanings simultaneously.

keywords
난전(亂廛), 금난전(禁亂廛), 시전(市廛), 조선후기 상업사, nanjeon, geumnanjeon, sijeon, commercial history of late Joseon


참고문헌

1

論語,

2

萬機要覽,

3

備邊司謄錄,

4

與猶堂全書,

5

朝鮮王朝實錄,

6

(1979) 中文大辭典, 台北: 중문대사전 편찬위원회

7

(1999)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연구원

8

(1999) 漢韓大辭典, 단국대학교 부설 동양학연구소

9

강만길, (1968) 朝鮮 後期 商業資本의 成長: 京市廛ㆍ松商 등의 都賈商業을 중심으로, 韓國史硏究

10

강만길, (1973) 朝鮮後期 商業資本의 發達, 고려대학교 출판부

11

강만길, (1984) 朝鮮時代 商工業史硏究, 한길사

12

강만길, (1984) 韓國近代史, 창작과 비평사

13

김성천, (1986) 朝鮮後期 亂廛의 展開過程에 關한 硏究,

14

김영호, (1968) 朝鮮後期에 있어서의 都市商業의 새로운 展開: 亂廛을 중심으로, 韓國史硏究

15

김한주, (1946) 李朝時代 商業과 手工業과의 關係, 노농사

16

연정열, (1998) 萬機要覽에 관한 一硏究: 財用篇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논문집

17

유원동, (1969) 李朝後期 商工業史 硏究, 한국연구원

18

이욱, (2005) 조선후기 한강변의 상품경제 발전과 상업정책의 변화, 서울학연구

19

최해선, (1971) 市廛과 亂廛과의 관계: 亂廛의 合法化 過程을 중심으로, 綠友硏究論集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