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세종대왕 ‘구 영릉(舊 英陵)’ 석물 연구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9, v.32 no.1, pp.155-190
https://doi.org/10.25024/ksq.32.1.200903.155
김이순 (홍익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논문은 세종대왕기념관 경내에 놓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2호로 지정된 석물 12점과 인릉 석물의 귀속에 대한 연구이다. 세종대왕기념관의 석물은 1973~4년에 헌인릉 능역 안의 세종대왕 초장지로 간주되던 장소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곳에 놓이게 되었다. 또 어느 왕릉 석물과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뛰어난 입체감과 균형 잡인 조형미를 보여 주기 때문에 그간 별다른 의심 없이 세종대왕 구 영릉 석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금까지 알려진 세종대왕 초장지는 구 희릉 터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주장의 연장선에서, 본 연구는 석물의 조형적 특징과 조선왕조실록 및 의궤의 기록을 통해 세종대왕기념관 경내에 있는 석물은 구 영릉이 아닌 구 희릉 석물임을 밝혔다. 동시에 실제 구 영릉의 문ㆍ무석인을 비롯한 중요한 석물은 순조 인릉에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을 석물의 조각양식 분석과 인릉 조성 관련 의궤의 기록을 통해 규명했다. 본 연구의 후속조치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2호는 ‘구 영릉 석물’이 아닌 ‘구 희릉 석물’로 재지정 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구 영릉(old Yeongneung), 구 희릉(old Huineung) 세종(King Sejong), 왕릉 석물(royal tomb sculpture), 인릉(llleung)


참고문헌

1

정조대왕, 홍재전서 . 민족문화추진회, 1998~2000.

2

李肯翊 編, 練藜室記述 . 제4권.

3

국역 대동야승 3권. 민족문화추진회, 1971.

4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

5

서울대학교규장각소장 (http://kyujanggak.snu.ac.kr).

6

문화재청 홈페이지(http://heonin.cha.go.kr).

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홈페이지(http://www.sejongkorea.org).

8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 홈페이지(http://sca.visitseoul.net/korean).

9

≪연합뉴스≫.

10

김구진, 「구영릉 신도비와 석물에 대하여」. 역사교육 18집, 1975, 33~85쪽.

11

김구진, 「조선초기 왕릉제도: 세종대왕 구영릉 유적을 중심으로」. 백산학보 25호, 1979, 41~84쪽.

12

김이순, 「융릉과 건릉의 석물조각」. 미술사학보 31집, 2008, 63~100쪽.

13

류재복, 「구 영릉지의 위치와 풍수입지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4

배윤수, 「조선시대 왕릉 石獸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15

안경호, 「세종대왕 초장지(舊英陵)에 대한 재론(再論)」.『정신문화연구 31권 2호, 2008, 151~171쪽.

16

이난영, 「후릉(厚陵)의 조성과 양식적 특징」. 가보고 싶은 왕릉과 그 기록: 풀어쓴 후릉개수도감의궤 서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35~51쪽.

17

이유원, 국역 귤산 임하필기 6. 한국학술정보, 2008.

18

이정선, 「조선 전기 왕릉 石人ㆍ石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9

장영훈,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 서울: 대원사, 2000.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