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국어의 비접사 부사 형성에 대하여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09, v.32 no.1, pp.3-26
https://doi.org/10.25024/ksq.32.1.200903.3
최형용 (이화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지금까지 단어 형성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절차였던 파생과 합성은 형식이 증가된 것들을 설명하는 데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반대로 형식적인 측면에서 아무런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줄어든 것들을 포용하기에는 문제가 적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형식의 증감’을 기준으로 삼아 형식이 증가된 것, 형식에 변화가 없는 것, 형식이 감소된 것을 대등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부사는 바로 이들 세 가지 단어 형성 과정을 모두 보여 줄 뿐만 아니라 특히 형식에 변화가 없는 것, 형식이 감소된 것에서 가장 다양한 형성 과정을 보여 준다. 형식의 증감을 기준으로 하면 형식이 증가된 것 가운데 조사나 어미와 같은 것들을 굳이 접사로 파악해야 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도 발견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조사나 어미가 결합하여 형성된 부사 형성, 영변화를 통한 부사 형성, 줄임을 통한 부사 형성은 ‘비접사 부사 형성’이라는 이름으로 묶을 수 있다.

keywords
통사적 결합(syntactical combination), 영변화(zero modification), 증가(addition), 감소(reduction), 비접사 부사 형성(adverb-formation without affixation)


참고문헌

1

고영근, 국어형태론 연구 .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2

구본관,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 . 서울: 태학사, 1998a.

3

구본관, 「단일 어기 가설과 국어 파생 규칙: 15세기 국어 파생법을 중심으로」. 어학연구 34/1, 1998b, 153~174쪽.

4

구본관, 「국어 접미사의 분류에 대한 재검토」. 우리말연구서른아홉마당 . 서울: 태학사, 2005.

5

김선효, 「현대 국어의 관형어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6

박보연, 「현대국어 음절축소형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7

박용찬, 「국어의 단어 형성법에 관한 일고찰: 우리말 속의 혼성어를 찾아서」. 형태론 10/1, 2008, 111~128쪽.

8

박진호,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구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9

서정수, 한국어의 부사 .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10

송철의, 국어의 파생어 형성 연구 . 서울: 태학사, 1992.

11

신서인, 「현대국어 의존명사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2

신중진, 「현대국어 의성의태어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13

안주호, 「한국어의 문법화와 역문법화 현상」. 담화와 인지 8/2, 2001, 93~112쪽.

14

양명희, 「부사의 사전적 처리에 대하여(1)」. 한국어학 8, 1998, 173~206쪽.

15

연재훈ㆍ목정수, 「상징부사(의성ㆍ의태어)의 서술성과 기능동사」. 한국어학 12, 2000, 89~118쪽.

16

유현경, 「형용사에 결합된 어미 ‘-게’ 연구」. 한글 273, 2006, 99~123쪽.

17

유현경, 「관형사 ‘한’에 대한 연구」. 국어학 53, 2008, 65~86쪽.

18

이광호, 「선행 성분 없이 사용되는 의존 명사 구성에 대한 고찰」. 관악어문연구 31, 2006, 219~236쪽.

19

이규호, 「체언 수식 부사-부사 관형 구성 연구」. 국어학 51, 2008, 3~28쪽.

20

이선웅, 「국어의 한자어 ‘관형명사’에 대하여」. 한국문화 26, 2000, 35~56쪽.

21

이양혜, 국어의 파생접사화 연구 . 서울: 도서출판 박이정, 2000.

22

이영경, 「‘오래’와 ‘오래다’의 문법적 위상에 대하여」. 형태론 10/1, 2008, 1~18쪽.

23

이은섭, 「형식이 삭감된 단위의 형태론적 정체성」. 형태론 9/1, 2007, 93~113쪽.

24

이지양, 「국어의 융합현상과 융합형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25

이현희, 「중세국어 부사 ‘도로’와 ‘너무’의 내적 구조」. 이기문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 . 서울: 신구문화사, 1996.

26

이현희, 「‘멀리서’의 통시적 문법」. 관악어문연구 31, 2006, 25~93쪽.

27

이호승, 「단어형성과정의 공시성과 통시성」. 형태론 3/1, 2001, 113~119쪽.

28

이희자, 「‘준말’과 ‘줄어든 꼴’과 ‘줄인 꼴’」. 사전편찬학연구 7, 1997, 19~42쪽.

29

주경희, 「‘좀’과 ‘조금’」. 국어학 36, 2000, 379~399쪽.

30

채완,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 .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31

채현식, 「대치에 의한 단어 형성」. 형태론 5/1, 2003, 1~21쪽.

32

최형용,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통사적 결합어를 중심으로 . 서울: 태학사, 2003a.

33

최형용, 「줄임말과 통사적 결합어」. 국어국문학 135, 2003b, 191~220쪽.

34

최형용, 「단어 형성과 음절수」. 국어국문학 138, 2004, 183~205쪽.

35

홍윤표, 「국어사 시대구분의 문제점과 문법사의 측면에서 본 시대구분」. 국어학 25, 1995, 319~333쪽.

36

Booij, G., The Grammar of Word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7

Clark, E. V., The Lexicon in Acquisi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38

Haspelmath, M., Understanding Morphology. London: Arnold, 2002.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