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퇴계의 지각 이론과 자연미 인식의 감성적 계기

Toegye’s Theory of Perception and the Essential Factor ofPerceiving Beauties of Nature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0, v.33 no.1, pp.105-133
https://doi.org/10.25024/ksq.33.1.201003.105
김태환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퇴계의 견해에 있어서, 지각(知覺)은 이른바 허령(虛靈)을 체(體)로 하는 마음의 용(用)으로서 단순히 감각(感覺)에 그치는 수준의 것이 아니라 반드시 의리(義理)의 당연(當然)과 소연(所然)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에 속한다. 사람의 마음은 천지의 온갖 사물을 모두 다 비추어 낼 만큼 순전히 맑은 기(氣)와 천지의 온갖 사물을 모두 다 이루어 낼 만큼 완전히 갖춘 리(理)의 총화이기 때문에 허령하고, 허령하기 때문에 천지의 온갖 사물을 다가오는 대로 낱낱 남김이 없이 모두 지각하는 기능을 가진다. 순전히 맑은 기는 지각하는 바탕이고, 완전히 갖춘 리는 지각하는 까닭이다. 따라서 지각은 감각적 현현(顯現)을 얻는 찰나와 동시에 곧장 사물의 법칙을 파악하는 데까지 이르는 바의 직관(直觀)을 판단력의 핵심으로 가진다. 직관이 우리의 지각에 배속되어 있는 까닭에, 우리는 현실미의 주요 범주를 이루는 온갖 사물의 미적 규율을 사려(思慮)에 의거하지 않고도 이미 지각의 단계에서 이내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얻는다. 이러한 이유를 들어서, 퇴계의 지각 이론과 문학 작품을 통하여 지각의 본질과 대상 및 지각과 미적 인식의 문제를 고찰해 보았다.

keywords
Toegye, perception, intuition, aesthetic intuition, beauties of nature, Toegye, perception, intuition, aesthetic intuition, beauties of nature, 퇴계, 지각, 직관, 심미 지각, 자연미

Abstract

In Toegye’s theory of perception, the perception is the function of human heart which keeps emptiness and spiritualness with the body and, it belongs in the function which will be able to determine reason and reasonability in justice beyond the level of sense. Human heart has the intrinsic attribute of emptiness and spiritualness because being an unified body of the pureness of energy which as will shed light all things of heaven and earth and the perfection of reason which as will create all things of heaven and earth. Human heart has the function of perceiving things as approaches all because having the intrinsic attribute of emptiness and spiritualness. The pureness of energy is the basis which perceives and, the perfection of reason is the cause which perceives. Consequently, the perception has the intuition with core of judgment which reaches to the law of things in the same time when gets the sensual image. Because like this intuition being attached in our perceptions, we can get the ability which recognizes aesthetic law of all things accomplishing the important category of actual beauty already at once from process of perception without depending in thought. Follows like this viewpoint, from Toegye’s theory of perception and his literary works, we tried to investigate the real nature and the object of perception, also we tried to discuss the problem of aesthetic judgment which relates in perception.

keywords
Toegye, perception, intuition, aesthetic intuition, beauties of nature, Toegye, perception, intuition, aesthetic intuition, beauties of nature, 퇴계, 지각, 직관, 심미 지각, 자연미


참고문헌

1

金榦, 厚齋先生集 : 韓國文集叢刊 제155집.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96.

2

蘇軾, 東坡志林 : 文淵閣四庫全書 제863책. 臺北: 商務印書館, 1985.

3

申益愰, 克齋先生文集 : 韓國文集叢刊 제185집.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98.

4

楊時, 二程粹言 : 文淵閣四庫全書 제698책. 臺北: 商務印書館, 1985.

5

柳成龍, 退溪先生年譜 : 韓國文集叢刊 제31집.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88.

6

李德弘, 艮齋先生文集 : 韓國文集叢刊 제32집.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88.

7

李珥, 栗谷先生全書 : 韓國文集叢刊 제44집.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88.

8

李滉, 退溪先生文集 : 韓國文集叢刊 제31집.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88.

9

李滉, 退溪先生全書遺集ㆍ內篇 : 陶山全書 제4책. 서울: 退溪學硏究院, 1988.

10

鄭惟一, 文峯先生文集 : 韓國文集叢刊 제42집.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88.

11

程顥, 二程文集ㆍ明道文集 : 文淵閣四庫全書 제1345책. 臺北: 商務印書館, 1986.

12

朱熹, 孟子集註大全 : 文淵閣四庫全書 제205책. 臺北: 商務印書館, 1984.

13

朱熹, 伊洛淵源錄 : 文淵閣四庫全書 제448책. 臺北: 商務印書館, 1984.

14

朱熹, 二程遺書 : 文淵閣四庫全書 제698책. 臺北: 商務印書館, 1985.

15

朱熹, 朱子語類 : 文淵閣四庫全書 제700-702책. 臺北: 商務印書館, 1985.

16

朱熹, 中庸章句大全 : 文淵閣四庫全書 제205책. 臺北: 商務印書館, 1984.

17

朱熹, 晦庵集 : 文淵閣四庫全書 제1143-1146책. 臺北: 商務印書館, 1985.

18

權五鳳, 退溪의 燕居와 思想形成 . 포항: 포항공과대학, 1989.

19

김우형, 「이황의 마음 이론에서 ‘지각(知覺)’과 ‘의(意)’」. 정신문화연구 제28권 제2호,2005, 187-208쪽.

20

김태환, 「퇴계의 체용(體用) 제1의와 리(理)의 적감(寂感)」. 철학논집 제18집, 2009,185-221쪽.

21

蒙培元, 「論李退溪的情感哲學」. 退溪學報 제58집, 1988, 83-92쪽.

22

문석윤, 「退溪集 所載 栗谷 李珥 問目 자료에 관하여」. 退溪學報 제122집, 2007, 127-131쪽.

23

문석윤, 「退溪의 ‘未發’論」. 退溪學報 제114집, 2003, 1-44쪽.

24

徐遠和, 「略論李退溪的直覺觀」. 退溪學報 제62집, 1989, 115-123쪽.

25

李承煥, 「退溪 未發說 釐淸」. 退溪學報 제116집, 2004, 67-106쪽.

26

李愛熙, 「退溪哲學에 있어서 知의 問題」. 退溪學報 제74집, 1992, 7-19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