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15세기 상층여성의 문식성(literacy)과 읽기교재 『내훈』

A Textbook for Reading, Naehun(內訓) and Women’s Literacy in the 15th Century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0, v.33 no.1, pp.317-339
https://doi.org/10.25024/ksq.33.1.201003.317
이경하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15세기 후반에 간행된 내훈이 당대 여성들의 어문교육을 위한 교재로서 어떤 기능을 담당하고 있었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내훈은 중세 유교문명권의 가부장적 윤리를 전달하기 위해 특별히 기획된 여성규범서이다. 그러나 텍스트 구성상의 특징이나 내용적인 측면에서나 내훈은 성별지식을 전달하는 윤리규범서라는 테두리에 한정시킬 수 없어 보인다. 이에 중세 이중언어체계 내에서 여성을 위해 특별히 기획된 어문교육용 읽기교재라는 측면에서, 내훈 텍스트가 여성의 문식성 신장에 기여하는 교육적 기능과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내훈은 여성독자들이 한자와 한글의 기초적인 이해능력을 높이고 다양한 고전에 대한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기획된 읽기교재이다. 내훈이 여성독자를 위해 한문 원문과 함께 언해문을 병기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나, 편찬자가 여성독자를 위해 첨가한 세주가 언해문에 상당수 포함되어 있음은 기존의 내훈 연구자들이 주목하지 못한 점이다. 이 세주들은 여성독자들이 문맥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한자어, 고유명사, 역사적 사실에 대한 부연설명에 동원되었다. 또한 여성독자들은 내훈이 발췌 인용한 소학을 매개로 하여 유교문명권의 대표적인 고전들을 접할 수 있었다. 문자 사용능력과 고전 읽기가 사고력 신장과 자아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에 근거한다면, 내훈은 중세 여성의 어문교육용 읽기교재로서 충분한 요건을 갖추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keywords
Naehun, Queen Sohye, literacy, literary education, textbook for reading, classic, 내훈, 소혜왕후, 문식성, 어문교육, 읽기교재, 고전


참고문헌

1

김지용 편, 내훈 (영인),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69.

2

고은강, 「 내훈 연구 ‒ 유학의 여성윤리」, 태동고전연구 18,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2, 133-154쪽.

3

김민수, 국어학사의 기본 이해 , 집문당, 1987.

4

김성우ㆍ최종덕, 「대학 교양교육의 위기와 인문학의 미래」, 시대와 철학 20-1,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9, 11-42쪽.

5

김성룡, 「전범학습과 중세의 문학교육」, 문학교육학 창간호, 한국문학교육학회, 1997,255-292쪽.

6

김언순, 「조선시대 여훈서에 나타난 여성의 정체성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5.

7

김왕규, 「16세기 사림파의 독서에 대한 담론에 나타난 몇 가지 특징적 국면」, 독서연구 10, 한국독서학회, 2003, 55-76쪽.

8

노명완ㆍ이차숙, 문식성 연구 , 박이정출판사, 2002.

9

박무영, 「김호연재의 생애와 호연유고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1, 97-125쪽.

10

박혜숙ㆍ최경희ㆍ박희병, 「한국여성의 자기서사(1)」, 여성문학연구 7,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323-349쪽.

11

백두현, 「한글을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문자생활」, 서강인문논총 22,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157-203쪽.

12

윤여탁, 「국어교육의 본질과 교과서」, 선청어문 36, 2008, 531-552쪽.

13

이경하, 「 내훈 과 ‘소학ㆍ열녀ㆍ여교ㆍ명감’의 관계 재고」,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7,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8, 237-271쪽.

14

이경하, 「15세기 최고의 여성 지식인, 인수대비」,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2,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149-177쪽.

15

이경하, 「17세기 사족여성의 한문생활, 그 보편과 특수」, 국어국문학 140, 국어국문학회, 2005, 101-120쪽.

16

이경하,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7

이경하, 「15-16세기 왕후의 국문 글쓰기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7,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3, 389-415쪽.

18

이삼형 외, 국어교육학과 사고 , 역락, 2007.

19

이종묵, 「조선시대 여성과 아동의 한시 향유와 이중언어체계(Diaglosia)」, 진단학보 104, 진단학회, 2007, 179-208쪽.

20

이혜순 외, 한국고전여성작가연구 , 태학사, 1999.

21

조경원, 「유교 여훈서의 교육원리에 관한 철학적 분석」, 여성학논집 13,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1996.

22

조경원, 「조선시대 여성교육의 분석」, 여성학논집 12,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1995.

23

조동일, 공동문어문학과 민족어문학 지식산업사, 1999.

24

조희정, 「고전 리터러시(Literacy) 교육을 위한 새로운 구도 ‒ 근대적 변화 양상의 검토를통해」, 국어교육학연구 21, 국어교육학회, 2004, 121-155쪽.

25

조희정, 「사회적 문해력으로서의 글쓰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26

최연미, 「소혜왕후 한씨 내훈 판본고」, 서지학연구 22, 2001, 351-370쪽.

27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1996.

28

한희숙, 「조선초기 소혜왕후의 생애와 내훈 」, 한국사상과 문화 27, 한국사상문화학회, 2005, 81-129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