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5.16 쿠데타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대응: 남한의 정치변동과 북한의 국내정치

North Korea’s Perception and Responses toward the May 16th Coup d’etat in South Korea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0, v.33 no.1, pp.81-104
https://doi.org/10.25024/ksq.33.1.201003.81
신종대 (북한대학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논문은 남한의 5.16 쿠데타에 대한 북한의 대응을 사례로 하여 북한의 국내정치 변화에 미친 남한요인을 규명하고 논의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특히 최근 발굴된 제한된 1차 자료를 통해서나마 이를 경험적으로 입증해 보고자 하였다. 북한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남한에서의 군사 쿠데타 발생 가능성을 배제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5.16 쿠데타가 일어나기 전부터 군사 쿠데타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 검토하고 있었다. 북한은 5.16 쿠데타 발생 직후 이를 미국이 사주한 쿠데타로 추측했다가 다시 군내 진보세력에 의한 독자적인 쿠데타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 심지어 군사 쿠데타를 지지하는 성명 발표까지 준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반공 국시를 내건 군사정권이 혁신세력을 탄압하는 것 등을 보고 이틀 만에 5.16 쿠데타에 평가가 미국이 사주한 '반동세력'에 의한 쿠데타로 다시 완전히 바뀐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북한은 박정희에 대한 일정한 기대를 버리지 않고 간첩 황태성을 남파하여 박정희와의 접촉을 시도했다. 이와 같이 북한은 쿠데타에 대한 정확한 정보부재 상태에서 한동안 혼선을 빚고 있었다. 그리고 5.16 쿠데타는 북한의 국방경제병진노선 착수와 같은 정책 전환의 결정적 계기였다. 북한은 5.16 쿠데타에 대한 충격으로 1차 7개년계획 선포 연기를 결정하고, 국방력 강화에 총력 매진을 촉구하는 등 국방경제병진노선의 골격을 마련했다. 그리고 1962년 12월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4기 5차 전원회의에서 이 노선을 공식적으로 제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기점으로 북한사회는 점차 강력한 군사동원체제로 나아갔다. 한마디로 남한의 정치변동이 북한의 정책 및 국내정치 변화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May 16th Coup d'etat, Anti-Communism as a Policy Guideline, Southern Triangular Alliance, First Seven-Year-Plan, Parallel Policy for Defense and Economy, 5.16 쿠데타, 반공 국시, 남방삼각동맹, 제1차 7개년계획, 국방경제병진노선


참고문헌

1

조선중앙연감 . 1961년판, 1962년판, 1963년판.

2

김일성저작집 제15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1.

3

김일성저작집 제20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4

김일성선집 제1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5

《로동신문》.

6

김준엽 외 공편, 북한연구자료집 제5집. 서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80.

7

김준엽 외 공편, 북한연구자료집 제7집. 서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81.

8

국토통일원, 남북대화 사료집 제7권. 남북조절위원회(1971.11-1973.6).

9

국군보안사령부, 대공30년사 . 서울: 국군보안사령부, 1978.

10

중앙정보부, 대남공작사 II . 1973.

11

정신문화연구원 현대사연구소 편, 5.16과 박정희정부의 성립 제1집.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12

정신문화연구원 현대사연구소 편, 5.16과 박정희정부의 성립 제2집.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13

김형욱ㆍ박사월, 김형욱 회고록 II . 서울: 아침, 1985.

14

김용현, 「1960년대 북한체제의 위기와 군사화의 대두」. 경남대 북한대학원 편, 북한현대사 1 . 파주: 한울, 2004, 427-454쪽.

15

유영구, 남북을 오고 간 사람들: 남의 조직사업과 북의 대남사업 . 서울: 도서출판 글,1993.

16

오효진, 3김과 노태우: 오효진이 추적한 정치현장 . 서울: 세종출판공사, 1987.

17

이상우, 박정희, 파멸의 정치공작 . 서울: 조선일보사, 1993.

18

이영훈, 「경제발전전략」.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편, 북한의 국가전략 .(파주: 한울,이종석, 새로 쓴 현대 북한의 이해 . 서울: 역사비평사, 2000.

19

조갑제,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4 . 서울: 조선일보사, 1999.

20

최장원, 「박정희는 김일성을 농락했다: 5.16 직후 남북한 비밀접촉의 내막」.《월간조선》, 1992년 8월호.

21

한모니까, 「4월 민중항쟁 시기 북한의 남한정세 분석과 통일정책의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4월민중항쟁연구반, 4.19와 남북관계 . 서울: 민연, 2000), 207-247쪽.

22

Estimate of Developments in the South Korean Situation, March 31, 1961, No.106-00581-02, PRCFMA).

23

The South Korean Military Coup Situation, May 16, 1961, No. 106-00581-03, PRCFMA.

24

Soviet Newspapers’ Comments on the South Korean Military Coup, May 18,1961, No. 106-00581-07, PRCFMA.

25

Contents of the (North) Korean Party Central Standing Committee Meeting,May 21, 1961, No. 106-00581-06, PRCFMA.

26

FRUS:1961-1963 Vol.X XII.

27

Eckstein, Harry, “Case studies and theory in political science.” Fred I. Greenstein& Nelson W. Polsby eds., Handbook of Political Science, Political Science:Scope and Theory Vol.7 . Reading, MA: Addison-Wesley, 1975, pp.94-137.

28

F.B.I.S. Daily Report (North Korea: May 16, 1961), Kim Hak Joon, Unification olicies of South and North Korea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986.

29

Gerring, John, “Is There a (Viable) Crucial-Case Method.”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Vol.40, No. 3, March 2007, pp.231-253.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