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한국계 미국 연극의 문화지형도 읽기: 성 노와 줄리아 조의 작품을 중심으로

A Cultural Cognitive Mapping of Korean American Stage: Sung Rno and Julia Cho.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0, v.33 no.2, pp.103-128
https://doi.org/10.25024/ksq.33.2.201006.103
정미경 (동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아시아계 미국 문학사에서 2세대 한국계 미국 극작가들은 독특한 위상을 갖는다. 1990년대가 지난 후에야 늦깎이로 등장한 2세대 한국계 미국 극작가들은 아시아계 미국 연극계에 포스트모던한 시학을 제시하며 새로운 연극 미학을 선도하고 있다. 그들의 작품은 미국의 혼종적 문화를 반영하듯, 기존 작가들의 단일한 민족 정체성과 과거 지향적 성향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는 듯 일견 보이지만, 한국성과 관련된 문화적 유산들을 여전히 끌어안으려 한다는 강한 느낌을 준다. 그 가운데 성 노와 줄리아 조의 작품에 나타난 미학적 특징은 한국적 감수성의 발현으로 간주할 수 있는데, 그 감성은 한국계 이주민의 역사적 경험과 기억으로부터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2세대 작가로서 성 노와 줄리아 조가 다루는 한국성, 고향, 과거에 대한 기억은 1세대 작가들의 태도와 분명히 구분된다. 이러한 차이는 한편으로는 시대적 상황과 경험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될 수 있지만, 한국계 미국인 역사에 대한 성찰의 차이와 90년대 이후로 변화한 미국사회의 상황에 따른 시대적 반영으로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2세대 한국계 미국 연극에 나타난 특징을 살피는 기초적 단계로서 90년대 이후 한국계 미국 연극이 등장하기까지의 문화적 배경과 논쟁점을 살펴보는 일종의 문화인식 지형도를 마련하고자 한다.

keywords
Korean American Theatre, Asian American Theatre, Korean American Playwrights, Sung Rno, Julia Cho, Hybridity, Subaltern, Diaspora, 한국계 미국 연극, 아시아계 미국 연극, 한국계 미국 극작가, 성 노, 줄리아 조, 잡종성, 서벌턴, 디아스포라, Korean American Theatre, Asian American Theatre, Korean American Playwrights, Sung Rno, Julia Cho, Hybridity, Subaltern, Diaspora

Abstract

In the mainstream of the Asian American literature tradition, the second generation of Korean-American playwrights occupies a new and distinctive place. As late boomers, they play vital roles in spearheading the movement of the Asian American theater characterized by a new poetics saturated in postmodernism. Korean-American playwrights, including Sung Rno and Julia Cho, have presented new models of Korean-American identity in their dramatic works sparkling with visions of multicultural imaginations. It is notable that these writers who belong to the 1.5 or 2nd generation attempt to unearth the memories and emotions their parents have buried at the bottom of their hearts. Their plays thus endeavor to divulge and articulate the oppression and pain suffered by their parents, which have not been voiced in the white-dominant discourses of the American society. In addition, they have tried to subvert stereotypical images constructed within the hegemonic discourses, by presenting a wide variety of Korean-American characters. Included in one of the quests to identify multicultural American selves is the project of re-discovering their ethnic identities by digging deep into the ancestors’ memories and anguish. Neither do these Korean-American playwrights adhere to the issue of "claiming America," nor attempt to find the foundations of their identities in blood and tradition. In this regard, their attitude is distinguishable from former Asian-American writers who protested against discrimination while claiming their rights to American citizenship.

keywords
Korean American Theatre, Asian American Theatre, Korean American Playwrights, Sung Rno, Julia Cho, Hybridity, Subaltern, Diaspora, 한국계 미국 연극, 아시아계 미국 연극, 한국계 미국 극작가, 성 노, 줄리아 조, 잡종성, 서벌턴, 디아스포라, Korean American Theatre, Asian American Theatre, Korean American Playwrights, Sung Rno, Julia Cho, Hybridity, Subaltern, Diaspora


참고문헌

1

문 캐서린, 동맹속의 섹스 . 이정주 옮김, 삼인, 2002.

2

서경식, 디아스포라 기행 . 김혜신 옮김, 돌베개, 2006.

3

윤인진, 코리아 디아스포라 .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203-212쪽.

4

이미원, 「한국계미국대표 극작가와 그 작품세계」. 한국연극학 37호, 2009, 5-60쪽.

5

임진희, 「한국계미국문학의 한국성」. 현대영미소설 14권 2호, 2007, 155-177쪽.

6

정은경, 디아스포라 문학 . 이룸, 2007.

7

태혜숙, 「아시아계 디아스포라 여성의 위치에서 ‘몸으로 글쓰기’: 여성전사 와 딕테 를 중심으로」. 영미문학 페미니즘 제11권 1호, 2003, 235-255쪽.

8

홍경표, 「미주한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국제한인문학연구 , 월인, 2004, 234-235쪽.

9

Berson, Misha. Ed., Between Worlds: Contemporary Asian American Plays. New York: Theatre Communications Group, 1990.

10

Chuh, Kandice & Karen Shimakawa. Eds., Orientation: Mapping Studies in the Asian Diaspora. Durham: Duke UP, 2001.

11

Graydon, Royce, “Broader Identities; For Tony-winning Playwright David Henry Hwang, ethnicity is no longer center stage in Asian-American Theater.” Star tribune(MN), Aug. 22, 2004. http://highbeam.com/DocPrint.aspxDocld=1G1:121156482.

12

Kim, Elaine, Asian American Literature . Philadelphia: Temple UP, 1982.

13

Kim, Elaine, “Foreword”. Reading the Literatures of Asian America, Eds. Shirly Geok Lin Lim and Amy Ling, Philadelphia: Temple UP, 1992, pp.ⅺ-ⅹⅶ.

14

Kim, Elaine, “Hybridity and Homeland: Contemporary Korean American Literary and Visual Art”. 미주한인이민 100주년기념 국제학술대회 “북미주 지역의 한국인” 자료집(2002), 연세대학교 연세국학연구단, pp.101-111.

15

Kim, Elaine, “Korean American Literature”. An Interethnic Companion to Asian American Literature, Ed. King Kok Cheung, New York: Cambridge UP, 1997, pp.156-191.

16

Kim, Elaine, “These Bearers of a Homeland”. Korea Journal Autumn, 2001, pp.49-200.

17

Kim, Lili, “From Desirable Orientals to Enemy Aliens: World War Ⅱ and the American Conceptualization of Korean American as a Race”. 미주한인이민 100주년기념국제학술대회 “북미주 지역의 한국인” 자료집(2002), 연세대학교 연세국학연구단, pp.31-52.

18

Kim, Seong-Kon and Lee So Hee, Diaspora in Korean (Immigrant) Literature. Eds.Seoul: IACKS and SNU/ASI, 2004.

19

Lee, Esther, A History of Asian American Theatre . New York: Routledge, 2006.

20

Lee, Josephine, Performing Asian America. Philadelphia: Temple UP, 1997.

21

Lowe, Lisa, Immigrant Acts: On Asian American Cultural Politics. Durham: Duke UP, 1996.

22

Shimakawa Karen, “Ghost Families in Sung Rno’s Cleveland Raining ”. Theatre Journal 52, 3(2000), pp.381-96.

23

Shimakawa Karen, “Asians in America: Millennial Approaches to Asian Pacific American Performance”. JAAS, 3. 3(2000), pp.283-299.

24

Spivak, Gayatru Chakravorty, “Can the Subaltern Speak?”. Marxism and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 Eds. Cary Nelson and Lawrence Grossberg, London: Macmillan, 1988, pp.271-313.

25

You, Clare and Ha, Yangwon, “Korean American Literature and the Visual Arts: These Bearers of a Homeland”. Diaspora in Korean (Immigrant) Literature, Eds. Seong-Kon Kim and So -Hee Lee, Seoul: IACKS and SNU/ASI, 2004, pp.212-258.

26

http://media.daum.net/culture/art/view.html?cateid=1021&newsid=2006092717281 4992&p=yonhap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