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The Structural Mechanism of Food Anxieties/Scares and its Emotional Dynamics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0, v.33 no.2, pp.161-193
https://doi.org/10.25024/ksq.33.2.201006.161
Park, Hyong-Shi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food anxieties and food scares from the emotional-sociological approach. To realize this purpose this article firstly explores the structural mechanism of food anxieties derived from ambivalence of food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food system, and then explains emotional dynamics o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the food scares. Especially, by distinguishing the simple food events from the food scares logically, this article identifies emotional attributes of the food scares and grasps those as fear communication constructed by the dialectical process of trust and distrust. Finally, this article suggests ‘the ethics of food’ as one of ways to reduce the food scares.

keywords
food, food anxiety, food scare, modern food system, trust, distrust, fear communi- cation, the ethics of food., food, food anxiety, food scare, modern food system, trust, distrust, fear communi- cation, the ethics of food., 먹거리, 먹거리 불안, 먹거리 파동, 근대 먹거리 체계, 신뢰, 불신, 공포커뮤니케이션, 먹거리 윤리학.


Reference

1

강수돌, 「비싼 돈 주고 사는 건 바보짓이라고? 그 아름다운 바보짓이 세상을 살려!」.

2

홍세화 외, 거꾸로 생각해 봐! 세상이 많이 달라 보일걸 , 서울: 낮은산, 2008,40-61쪽.

3

강이현, 「공포의 식탁: 인간 욕망에 대한 지구의 경고‒광우병 쇠고기, GMO, 조류 인플루엔자를 중심으로」. 환경과생명 08/여름, 통권 56호, 2008, 49-61쪽

4

구연상, 공포와 두려움 그리고 불안: 하이데거의 기분분석을 바탕으로 . 화성:청계, 2002.

5

권영근, 「‘환경 호르몬’, 유전자 조작 물질, 먹을거리의 안전」. 환경과생명 통권30호, 2001, 62-82쪽.

6

기든스, 안소니, 박찬욱 역, 질주하는 세계 . 서울: 생각의나무, 2000.

7

기든스, 안소니, 이윤희ㆍ이현희 역, 포스트모더니티 . 서울: 민영사, 1991.

8

김수현, 생존의 밥상: 광우병에서 멜라민까지 죽음을 부르는 끔찍한 공포 . 서울:넥서스BOOKS, 2009.

9

김은진, 유전자 조작 밥상을 치워라 . 서울: 도솔, 2009.

10

김종덕, 먹을거리 위기와 로컬푸드 . 서울: 이후, 2009.

11

김철규, 「현대 식품체계의 동학과 먹거리 주권」. ECO 제12권 2호, 2008a, 7-32쪽.

12

김철규,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먹거리 정치」. 한국사회 제9집 2호, 2008b, 123-146쪽.

13

김흥주, 「생협 생산자의 존재형태와 대안농산물체계의 모색: 두레생협 생산자회를중심으로」. 농촌사회 제16집 1호, 2006, 95-142쪽.

14

김흥주, 「풀무생협 생산자의 사회경제적 성격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제18집1호, 2008, 43-89쪽.

15

랭, 팀ㆍ마이클 헤즈먼, 박중곤 역, 식품전쟁: 음식 그리고 문화와 시장을 둘러싼세계대전 . 서울: 아리, 2007.

16

로즈, 리처드, 안정희 역, 죽음의 향연: 광우병의 비밀을 추적한 공포와 전율의다큐멘터리 . 서울: 사이언스북스, 2006.

17

리트비노프, 마일즈ㆍ존 메딜에이, 김병순 역, 인간의 얼굴을 한 시장경제, 공장무역 .서울: 모티브, 2007.

18

맥도프 프레드ㆍ존 포스터ㆍ프레드릭 버텔 편, 유병선 외 역, 이윤에 굶주린 자들 .서울: 울력, 2006.

19

바바렛, 잭, 박형신ㆍ정수남 역, 감정의 거시사회학: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 . 서울: 일신사, 2007.

20

바바렛, 잭, 「서론: 왜 감정이 중요한가」. 잭 바바렛 편, 박형신 역, 감정과 사회학 ,서울: 이학사, 2009, 7-22쪽.

21

박성희, 「위험보도의 위기구축 기제 프레임 분석: 식품안전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35호, 2006, 181-210쪽.

22

바우만, 지그문트, 함규진 역, 유동하는 공포 . 서울: 산책자, 2009.

23

박재환, 일상성ㆍ일상문화연구회, 일상과 음식 . 한울아카데미, 2009.

24

박형신ㆍ이진희, 「먹거리, 감정, 가족동원: 미국산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집회의 경우」. 사회와 이론 통권 13집, 2008, 147-183쪽.

25

박형신ㆍ정수남, 「거시적 감정사회학을 위하여」. 사회와 이론 통권 15집, 2009,195-234쪽.

26

아베 쓰카사, 안병수 역, 인간이 만든 위대한 속임수 식품첨가물 . 파주: 국일출판사,2006.

27

유선형ㆍ이강형, 저신뢰 위험사회의 한국 언론 . 서울: 한국언론재단, 2008.

28

윤병선, 「세계 농식품체계 하에서 지역먹거리운동의 의미」. ECO 제12집 2호,2008, 89-115쪽.

29

윤형근, 「식량 위기의 해법, 먹을거리 민주주의」. 환경과생명 08/여름, 통권56호, 2008, 31-48쪽.

30

이귀옥ㆍ박조원, 「식품 위해(food risk)보도의 뉴스 프레임 분석: 김치 파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0집 5호, 2006, 260-305쪽.

31

이철호ㆍ맹영선, 식품위생사건백서 .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32

이철호, 식품위생사건백서 II.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33

이철호, 「우리나라 식품위생사건의 발생현황과 대응사례분석」. 식품과학과 산업 제39집 2호, 2006, 3-10쪽.

34

최정숙ㆍ전혜경ㆍ황대용ㆍ남희정, 「주부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성 우려의관련요인」.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제34권 1호, 2005, 66-74쪽.

35

켈러허, 콤, 김상윤ㆍ안성수 역, 얼굴 없는 공포 광우병 그리고 숨겨진 치매 .서울: 고려원북스, 2007.

36

티틀, 마틴, 김은영 역, 먹지마세요 GMO . 서울: 미지북스, 2008.

37

핼헤일, 브라이언, 김종덕ㆍ허남혁ㆍ구준모 역, 로컬푸드 . 서울: 시울, 2006.

38

Beardsworth, A. and Teresa Keil, Sociology on Menu: An Invitation to the Study of Food and Society. London: Routledge, 1997.

39

Beck, U., Risk Society. London: Sage, 1992.

40

Caswell, J., “A Food Scare a Day: Why Aren’t We Better at Managing Dietary Risk?”. Huma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vol.12, 2006, pp.9-17.

41

Fischler, C., “Food Habits, Social Change and the Nature/Culture Dileinma”. Social Science Information, vol.19, no.6, 1980, pp.937-953.

42

Furedi, F., Culture of Fear Revisited. London: Continuum, 2004.

43

Ganskau, E., Trust in Coping with Food Risks: The Case of St. Petersburg Consumers.Saarbücken, VDM, 2008.

44

Giddens, A., “Risk, Trust, Reflectivity”. Beck, U., Giddens, A. and Lash, S.(eds),Reflexive Modernisation: Politics, Tradition and Aesthetics in the Modern Social Order, Cambridge: Polity Press, 1994, pp.184-197.

45

Kneen, B., From Land to Mouth .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2.

46

Knight A. and R. Warland, “Determinants of Food Safety Risk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Rural Sociology, vol.70, no.2, 2005, pp.253-275.

47

Luhmann, N., Trust and Power. Chichester: John Wiley & Sons, 1979.

48

McMichael, P., The Global Restructuring of Agro-Food System.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4.

49

Miller, D. and Reilly, J., “Making an issue of food safety: the media, pressure groups, and the public sphere”. in D. Maurer and S. Sobel(eds), Eating Agendas: Food and Nutrition as Social Problems, New York: Aldine de Gruyter, 1995, pp.305-336.

50

Sellerberg, A. M., “In food we trust? Vitally necessary confidence and unfamiliar ways of attaining it”. in E. L. Fürst, R. Prättälä, M. Ekström, L. Holm and U. Kjaernes(eds), Palatable Worlds: Sociocultural Food Studies, Oslo: Solum Forlag, 1991, pp.193-202.

51

Smith, A.,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52

Smith, M. J., “From policy community to issue network: salmonella in eggs and the new politics of food”. Public Administration 69, Summer 1991, pp.235-255.

53

Weinberg, A. M., “Science and trans-science”. Minerva, vol.10, no.2, 1972, pp.209-222.

54

Winson, A., The Intimate Commodity. Ontario: Garamond Press, 1993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