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고종시대 군주를 둘러싼 통치체제 구상에 대한 일고찰 : 갑오개혁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n of governing system during the Kojong’s reign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0, v.33 no.3, pp.315-352
https://doi.org/10.25024/ksq.33.3.201009.315
김성혜 (이화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고종의 재위 시기는 전통과 서구와의 교섭ㆍ충돌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군주권과 정치체제를 둘러싼 다양한 논의와 실질적인 정치운영으로의 반영이 모색되었다. 당시 서구의 한반도 진출이 본격화되고 다양한 정치체제에 대한 인식이 도입된 것은 자주독립과 부국강병이라는 당면 과제 해결을 위해 군주가 어떤 지위와 역할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정치체제에 관한 주요한 논의는 군신 간의 권력분배와 균형을 어떻게 형성ㆍ유지할 것인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때 군주제를 주장하는 인물이나 정치세력은 군주의 변화와 각성을 국가발전의 선결조건으로 여기고 있었는데, 그들은 국가를 보전ㆍ발전시킴과 동시에 자신들의 정권 장악을 실현하기 위해 군주권을 규정하고 이용하려 했다. 이는 그들이 비록 군주의 지위와 권한을 둘러싼 다양한 견해 차이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부국강병과 자주독립이라는 당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군주가 정점에 서서 국가통합을 이루어야 하고 대외적으로는 통치 상징으로 존재해야 한다는 점에는 동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은 실질적으로 정치를 운영하는 데 있어 군주와 신하의 지위와 역할을 어떻게 규정지을까 하는 문제를 두고 고심했고, 이는 전제군주제ㆍ군신공치제ㆍ세도통치제라는 형태로 구체화되었다. 전제군주제 지지자들은 군주가 전제권력을 갖고 국정을 총괄하는 형태야말로 난국을 극복할 최선의 체제라 여겼다. 이에 반해 군신공치제 주창자들은 우유부단한 고종의 태도와 민씨 척족이 국정을 부정부패로 이끄는 상황을 고려해 개화파 중심의 실무관료가 정치를 운영할 것을 지향했다. 여기에 세도통치제를 내세운 박영효 등은 군주의 전제권력을 인정한 후에 그 권력을 재상이 양도받아 국정을 주도하는 정치형태를 구현하고자 했다. 군주제에 대한 다양한 논의는 군주의 존재 형태와 국정운영에서의 지위ㆍ역할을 명확히 규정하는 일이 당시 조선의 자주독립과 부국강병을 이루는 데 중요하다는 판단하에 이루어졌다. 또한 이 문제는 제반 정치세력들의 정계 진출이나 정권 장악을 실현하는 문제에 군주의 권한 설정이 어떻게 작용하는가와 연관되어 있었다. 다시 말하면 고종시대 군주권과 신권과의 권력분배와 권력행사를 둘러싼 논의는 각각의 정치세력들이 직접 국정을 운영하여 그들이 지향하는 정책을 구상하고 추진해 국가의 독립ㆍ발전을 이루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어 실천에 옮겨졌으며, 고종의 지지 획득 여부가 그 성패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고 하겠다.

keywords
period of Kojong’s reign, governing system, despotic monarchy, the governing system of condominate of monarch and government bureaucrats, the governing system of commission of powers to prime minister, 고종시대, 통치체제, 전제군주제, 군신공치제, 세도통치제


참고문헌

1

규장각문서

2

독립신문

3

승정원일기

4

議定存案

5

일본외교문서

6

일성록

7

주한일본공사관기록

8

김윤식, 万国政表

9

김윤식, 雲養集 .

10

박영효, 使和記略 .

11

박제형, 근세조선정감 . 서울: 탐구당, 1974.

12

어윤중, 従政年表 ,

13

어윤중, , 随聞録 .

14

유길준, 西遊見聞

15

유길준, 유길준전집 .

16

유인석, 毅菴集 .

17

강만길, 우리 역사를 의심한다 . 서울: 서해문집, 2002.

18

구선희, 「시세를 본 ‘개혁가’, 박영효」. 내일을 여는 역사 3, 2000, 214-242쪽.

19

구영수, 「한말개화운동에 관한 연구」. 동의법정 9, 동의대학교 지역사회개발연구원, 1993, 121-138쪽.

20

권정의, 「雲養金允植의 전통유학사상에 관해」. 전남사학 12, 1998, 93-118쪽.

21

琴章泰, 한국근대 유교사상 .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22

金度亨, 「毅菴柳麟錫의 정치사상연구」. 한국사연구 25, 1979, 131-153쪽.

23

김도형, 대한제국기 정치사상연구 . 서울: 지식산업사, 1994.

24

金麟坤ㆍ尹錞甲, 「초기개화파 형성과정과 민족의식」. 사회과학연구 1, 경북대학교사회학과연구소, 1985, 1-20쪽.

25

김봉렬, 유길준의 개화사상 연구 . 부산: 경남대학교출판부, 1998.

26

金信在, 「박영효의 정체구상과 그 성격 ‒ 상소를 중심으로」. 蕭軒南道泳博士古稀記念歴史学論叢 , 1993, 93-134쪽.

27

김인규, 「박규수 사상형성에서의 북학파 영향과 그 전개」. 동양철학연구 22,동양철학연구회, 2002, 105-132쪽.

28

김주성, 「金玉均ㆍ朴泳孝의 자유주의정신」. 정치사상연구 2, 2000, 37-60쪽.

29

김지영, 「어윤중의 경제사상」. 사학연구 51, 1996, 81-132쪽.

30

김현철, 「박영효의 권력분립론과 입헌군주제 구상」. 법사학연구 21, 2000, 31-55쪽.

31

김현철, 「박영효의 保民과 민권신장구상」. 정치사상연구 2, 2000, 249-272쪽.

32

김현철, 「박영효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군사 34, 1997, 78-101쪽.

33

김현철, 「박영효의 1888년 상소문 에 드러난 민권론의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33, 1999, 9-24쪽.

34

김현철, 「제2차 일본망명시기 박영효의 행적과 정변기도」. 근현대사강좌 11, 2000,55-83쪽.

35

金興洙, 「박영효의 역사교육관 ‒ 개화상소문 중 교육개혁안 내용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 12, 1996, 35-54쪽.

36

柳永益, 「갑오ㆍ을미년간(1894-1895) 박영효의 개혁활동」. 국사관논총 36, 1992,113-142쪽.

37

李光麟, 「유길준의 개화사상」. 역사학보 75, 1977, 199-250쪽.

38

李完宰, 「개화사상소고」. 한국학논집 5,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84, 63-91쪽.

39

박지향, 「유길준이 본 서구」. 진단학보 89, 2000, 87-112쪽.

40

배병삼, 「조선시대 사상가들의 정치 인식」. 동양고전연구 4, 1995, 211-271쪽.

41

배병삼, 「조선시대 정치적 리더십론」. 한국정치학회보 31-4, 한국정치학회, 1997,49-68쪽.

42

배병삼, 「조선조 개혁사상과 정치적 리더십」. 한국정치학회, 1997년 3월 학회 발표.

43

백승현, 「전환기 리더쉽과 플라톤적인 정치지도자론」. 고봉정치학회보 1, 1997,7-32쪽.

44

부남철, 조선시대 7인의 정치사상 . 서울: 사계절 출판사, 1996.

45

왕현종, 한국 근대국가의 형성과 갑오개혁 . 서울: 역사비평사, 2003.

46

兪東濬, 兪吉濬伝 . 서울: 일조각, 1987.

47

유미림, 「조선후기 왕권에 관한 연구」. 동양정치사상사 1, 2002, 79-100쪽.

48

유미림, 「조선후기 통치이념의 구조적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49

유미림, 조선후기 정치사상 . 서울: 지식산업사, 2002.

50

윤병희, 「대한제국말기 유길준의 사상과 활동」,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51

윤병희, 「유길준의 사회활동」. 한일관계사연구 13, 2000, 97-112쪽.

52

윤병희, 「일본망명시절 유길준의 쿠데타음모사건」. 한국근현대사연구 3, 1995,35-59쪽.

53

윤병희, 유길준 연구 . 서울: 국학자료원, 1998.

54

이광린, 개화파와 개화사상연구 . 서울: 일조각, 1989.

55

이기용, 「유길준과 福沢諭吉의 정치론 비교연구」. 한일관계사연구 13, 2000, 45-96쪽.

56

이상일, 「雲養金允植(1835~1922)의 정치활동」. 실학사상연구 17-18, 2000, 597-628쪽.

57

이상일, 「雲養金允植의 사상과 활동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58

이영찬, 유교사회학 . 운문서원, 2001.

59

정영훈, 「위정척사파의 군주제옹호 논리」. 白山朴成寿教授華甲紀念論叢 , 1992,378-403쪽.

60

정옥자, 「雲養金允植(1835-1922) 연구」. 高柄翊先生回甲紀念史学論叢 , 1984, 443-485쪽.

61

조홍찬, 「조선조말 개화파의 정치사상비교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62

총성의, 「위정척사파와 개화파지식인의 대외인식변화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63

최덕수, 「독립협회 정체론 및 외교론 연구」. 민족문화연구 13, 1978, 197-223쪽.

64

최덕수, 「박영효연구」. 동북아 6, 1997, 47-63쪽.

65

최덕수, 「박영효의 내정개혁론 및 외교론 연구」. 민족문화연구 21, 1988, 197-224쪽.

66

최덕수, 「使和記略(1882)연구」. 사총 50, 1999, 31-54쪽.

67

최진식, 「1880년대 초 김옥균과 김윤식의 현실인식」. 한국근현대사논총 , 1995,63-98쪽.

68

최진식, 「김윤식의 자강론 연구」. 대구사학 25, 1984, 9-38쪽.

69

최진식, 「어윤중의 부강론연구」. 국사관논총 41, 1993, 176-201쪽.

70

하원호, 「개화사상과 개화운동의 역사적 변화」. 한국근대개화사상과 개화운동 ,서울: 신서원, 2001, 145-178쪽.

71

한철호, 「유길준의 개화사상과 서유견문」. 진단학보 89, 2000, 34-63쪽.

72

한철호, 「유길준의 생애와 사상」. 한일관계사연구 13, 2000, 5-24쪽.

73

한형조, 주희에서 정약용으로 . 세계사, 1996.

74

허동현, 「1880년대 개화파인사들의 사회진화론 수용양태비교연구 ‒유길준을 중심으로」. 사총 55, 2002, 169-194쪽.

75

허동현, 「1881년 朝士 어윤중의 일본경제정책 인식」. 한국사연구 93, 1996, 121-146쪽.

76

허동현, 「어윤중의 개화사상연구」. 한국사상사학 17, 2001, 69-91쪽.

77

허동현, 兪吉濬論疏選 . 서울: 일조각, 1987.

78

原武史, 朝鮮と日本の 「一君万民」思想史 . 朝日新聞社, 1996.

79

月脚達彦, 「開化派の世界認識‒ 兪吉濬を中心に‒」. 歴史批評 53, 2000, 32-53쪽.

80

허동현, 「兪吉濬の日本観」. 韓日関係史研究 13, 2000, 25-44쪽.

81

佐藤能丸, 明治ナショナリズムの研究 . 芙蓉書房出版, 1998.

82

青木功一, 「朴泳孝の民主主義ㆍ新民論ㆍ民族革命論」. 朝鮮学報 80ㆍ82, 1976ㆍ1977, 156-182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