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A Review of a Aspect of ‘Dan Goon myth’ in Korean Language Text Book and a Search of a Standard for ‘Dan Goon myth’ in Korean Textbook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0, v.33 no.4, pp.261-288
https://doi.org/10.25024/ksq.33.4.201012.261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에서는 한국어 교재에서의 ‘단군신화’ 수록 현황을 분석하여 작품 수록 시의 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교육법 제1조인 ‘홍익인간’의 이념을 포함하고 있는 ‘단군신화’는 한국의 건국신화로서 한국인이 추구하는 이상과 세계관, 이상적인 국가관과 한국인의 심층적 정서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인의 문화를 이해할 때 매우 유용하며, 학습자가 자문화와 목표문화인 한국 문화를 비교하여 학습할 수 있어, 상호 문화 능력 신장을 위한 유용한 교수ㆍ학습 자료이다. 이 글에서는 한국어 교재에서 원전으로 삼고 있는 ‘단군신화’가 『삼국유사』 소재임을 밝히고, 『삼국유사』 소재 ‘단군신화’를 단락별로 나누어 교재 분석의 틀을 마련했다. 8종의 한국어 교재 분석 결과 첨가, 탈락, 변개의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삼칠일 동안 지킨 금기 내용을 100일로 바꾸는 변개 현상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신화를 신화로 읽지 않고 집필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적인 해석을 가한 결과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화의 장르적 특성을 인정하고 이를 살리는 방향으로 교재에 제시해야 하며, 원문에 제시할 수 없을 경우, 교사용 지도서나 기관 홈페이지 등의 교사용 카페나 자료실 등을 통해 지식을 공유할 것을 제안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교육은 한국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바탕이 된 상태에서 상호 문화 이해의 발판으로 마련하고, 이를 통해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문학 작품은 그 자체로 생생하게 살아 있는 유기체이며, 그것을 본래의 의도대로 살려주는 것이 문학 교육의 목표이다. 또한 우리가 만나는 외국인 학습자들은 문학 교육의 기본적인 소양을 갖춘 사람들이므로, 그들에게 원작의 내용을 그대로 살려서 전해주고, 문학의 장르적 특성을 훼손하지 않고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keywords
단군신화, 고전문학 작품 수록 시의 기준, 상호 문화 능력, 삼국유사, 첨가, 탈락, 변개 양상, 신화의 장르적 특성, Dan Gun Myth, a standard for contain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ext book,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Sam Gook Yu Sa, additions, omissions, and modifications, Mythological traits


Reference

1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한국어 중급 2. 경희대학교 출판부, 2003.

2

고려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 3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1.

3

김열규, 한국인의 신화 ‒ 저 너머, 저 속, 저 심연으로 . 일조각, 2005.

4

김정학, 「檀君神話와 토테미즘」. 이은봉 엮음, 檀君神話硏究 , 온누리, 1986, 63-89쪽.

5

김태곤ㆍ최운식ㆍ김진영, 한국의 신화 . 시인사, 1991.

6

서강대학교 언어교육원, 서강 한국어 4B . 서강대 국제문화교육원 출판부, 2006.

7

서대석, 한국 신화의 연구 . 집문당, 2001.

8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 읽기 4 . 문진미디어, 2000.

9

양민정, 「동아시아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신화 활용의 문학교육 연구」. 국제지역 연구 제11권 제4호, 한국 외국어대 외국학종합연구센터, 2008, 147-170쪽.

10

양민정,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 한국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 국제 지역 연구 제9권 제4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2006,101-125쪽.

11

양지선, 「단군신화를 활용한 한국어와 문화 교육」. 고황논집 제44집, 2009, 11-31쪽.

12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100시간 한국어 5 . 연세대 출판부, 2007.

13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생각하는 한국어 읽기 4 . 연세대 출판부, 1999.

14

유수연, 문화간 의사소통의 이해 . 한국문화사, 2008.

15

윤여탁,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교육 방법 ‒ 현대시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111,2003, 한국 국어 교육학회, 512-533쪽.

16

이성희, 「설화를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한국어 교육 제10권 2호,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1999, 257-271쪽.

17

이정재, 「단군신화 이본연구Ⅱ ‒ 천상계와 지상계의 신을 중심으로 ‒」. 한국 문화연구 3집, 경희대 민속학연구소, 135-158쪽.

18

이종문, 「 삼국유사 소재 단군신화의 원전에 관한 한 가지 의문」. 한문교육연구 제22집, 2003, 347-371쪽.

19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말이 트이는 한국어 Ⅴ 워크북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20

일연 지음, 리상호 옮김, 강운구 사진, 사진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 까치, 1999.

21

일연(一然) 지음, 이민수 옮김, 삼국유사(三國遺事) . 을유문화사, 1995.

22

임치균, 「고전소설의 이해 확산을 위한 교육 방안」. 한국 고소설학회, 고전소설교육의 과제와 방향 , 월인, 2005, 63-86쪽.

23

장덕순, 「단군신화의 문학적 시고」. 한국설화문학연구 , 도서출판 박이정, 1995.

24

장주근, 「단군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한국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 집문당, 1995

25

전미순, 문화 속 한국어 1 . 랭귀지 플러스, 2008.

26

조셉 캠벨, 이윤기 옮김, 세계의 영웅신화 ‒아폴로, 신농씨 그리고 개구리 왕자까지 .대원사, 1991.

27

조항록,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적 논의 ‒ 교재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교재개발의 현황과 주요 쟁점」. 한국어 교육 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3,249-278쪽.

28

지현숙, 「한국어교육학에서 제재를 중심으로 한 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 시학과언어학 제18호, 시학과 언어학회, 2010, 17-42쪽.

29

최광석, 「「홍길동전」의 교과서 수용 양상과 목표 학습 활동의 재구성」. 어문학 제108집, 한국어문학회, 2010, 133-162쪽.

30

최남선, 육당 최남선집 Ⅴ . 을유문화사, 1973.

31

최운식, 「단군신화의 교육적 성격과 의미」. 국어교육 79호, 한국어교육학회,1992, 369-393쪽.

32

허영식ㆍ정창화, 「다문화사회에서 간문화교육의 현장 착근 방향 ‒ 유럽과 독일의동향을 중심으로 ‒」.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9권 제3호, 2009.

33

황인교, 「문학 교육의 연구사와 변천사」. 한국어교육론 2 , 국제한국어교육학회편, 2005, 287-300쪽.

34

황인교,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학 교육 ‒ 기초 단계의 문학 작품 읽기를 중심으로 ‒」. 이화어문논집 16, 이화어문학회, 1998, 213-234쪽.

35

Carter, R. & Long, M. N., Teaching Literature , Longman, 1991, pp. 1-10.

36

Lazar, Gillian, “Why use literature in the language classroom?,” Literature and Language Teaching - A guide for teachers and trainers , Cambridge Teacher Training and Development, 1993, pp. 17-20.

37

Collie, Joanne & Slater, Stephen, Literature in the Language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pp. 3-6.

38

Littlewood, William T., “Literature in the school foreign-languae course,” in C. J. Brumfit, R. A. Carter(Ed), Literature and Language Teaching, Oxford University Press, pp. 178-180.

39

김민희, 「설화를 활용한 한국 언어ㆍ문화 교육 방안 연구」. 한국 외국어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7.

  • Downloaded
  • Viewed
  • 0KCI Citations
  • 0WOS Citations

Recommanded Articles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