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The Changes of Korean Schools in Vladivostok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1, v.34 no.1, pp.7-40
https://doi.org/10.25024/ksq.34.1.201103.7
Lee kyung sook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nges of korean schools in vladivostok in 1905-1922. The data for this study are official documents and newspaper articles in 1900s. Korean schools in vladivostok in 1905-1922 had 3 periods. The first period was 1905-1909, when koreans had established national schools by nationalism. The second period was 1909-1917, when korean schools were united by Russian school ratification policy. The third period was 1917-1922, when there were Russia revolution and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and vladivostok occupation of Japanese military. In the period, there were national schools and pro-japanese schools. Korean schools had changed with the times. Nevertheless korean schools in Vladivostok had overcame political and financial difficulties.

keywords
블라디보스토크 한인학교(korean schools in vladivostok), 신한촌(Sinhanchon), 민족주의학교운동(nationalism school movement), 한민학교(Hanmin school), 계동학교(GyuDong school)


Reference

1

《해조신문》,《권업신문》,《한인신보》,《독립신문》,《황성신문》,《대동공보》,《대한인정교보》 각 해당 일자.

2

「伊藤博文 被擊事件 眞相調査及嫌疑者 搜査ニ關スル件」 등 기타 일본 문건 자료: 국사편찬위원회(www.history.go.kr)가 제공하는 각 해당 문서들.

3

「Ф.28. Оп4, Д.2, Л.62‒63.」, 「Ф.28. Оп4, Д.24, Л.9」: 러시아국립극동역사문서보관소(РГИАДВ) 소장.

4

계봉우, 「꿈 속의 꿈」. 원고본, 1944, 한국독립운동사정보시스템(search.i815.or.kr) 제공.

5

국사편찬위원회, 러시아 중앙아시아 한인의 역사(하) . 국사편찬위원회, 2008.

6

김덕룡, 바람의 추억 . 선인, 2009.

7

김덕영, 한알의 겨자씨 . 휘경교회, 1964.

8

김민남 외, 간도의 삶과 교육 . 사람대사람, 2009.

9

류진규, 「이동휘를 추억하면서」. 1967, 한국독립운동사정보시스템 제공.

10

반병률, 「신한촌과 노령 한인사회」. 근대독립운동사와 연해주 신한촌 , 해외한민족연구소 학술대회, 1999, 1‒30쪽.

11

보리스 박ㆍ니콜라이 부가이 지음, 김광환ㆍ이백용 옮김, 러시아에서의 140년간: 재러한인 이주사 . 시대정신, 2004.

12

비숍, I.B., 신복룡 옮김,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 . 집문당, 2000.

13

이계룡, 고본지: 고려인들의 토지사랑 터밭의 고려인 러시아 대지를 가꾸다 . 행복한집, 2003.

14

이명화, 「노령지방에서의 한인민족주의 교육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집, 한국독립운동사연구회, 1989.

15

이병조, 「러시아 프리아무르 한인사회와 정교회 선교활동(1865‒1916)」. 한국외국어대학 박사학위논문, 2008.

16

이상근,「노령지역에 이주한 한인에 대한 교육」. 사학지 제28집, 단국대 사학회, 1995, 449‒496쪽.

17

장은영,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의 한인 이주과정과 거주 특성」.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8

정태수, 「망국 직후의 신한촌과 한민학교 연구」. 한국교육사학 13권, 한국교육사학회, 1991, 253‒309쪽.

19

천경화, 「노령지역에서의 한국인 민족교육운동」. 논문집 제19집, 부천대학교, 1998, 7‒41쪽.

20

최덕규, 러시아 국립극동역사문서보관소 한인 관련 자료 해제집 . 고려학술문화재단, 2004.

21

팀 에덴서, 대중문화와 일상, 그리고 민족정체성 . 이후, 2002.

22

현규환, 한국유이민사(상) , 삼화인쇄출판사, 1976.

23

朝鮮總督府 學務局, 第五十一回 帝國議會說明資料 . 朝鮮總督府, 1925.

24

韓國史料硏究所, 朝鮮統治史料 第10券 . 韓國史料硏究所, 1971.

25

韓國學振興院, 現代史資料 27‒朝鮮 三 . 韓國學振興院, 1984.

26

Habecker, David Eugene, “Ruling the east : russian urban administration and the chinese, koreans, and japanese in vladivostok, 1884‒1922,” University of Maryland, 2003.

27

Richardson, William, “Vladivostok: City of three eras,” Planning Perspectives , No.10, 1995, pp.43‒65.

28

Торопов, . А.A, Корейцы на российском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2 . Владивосток. 2004.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