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철인왕 성종의 설득적 리더십 : 진퇴(進退)논쟁을 중심으로

Philosopher King Seongjong’s Persuasive Leadership: Focusing on the Debates about Advance and Retreat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1, v.34 no.2, pp.275-304
https://doi.org/10.25024/ksq.34.2.201106.275
방상근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성종시대의 진퇴(進退)논쟁을 통해서 철인왕 성종의 설득적 리더십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종시대는 사림파라는 새로운 정치세력이 등장하면서 훈구파를 비판하고 새로운 정치를 모색해가던 ‘교화(敎化)’정치의 시대로 특징지을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성종시대의 ‘교화정치’를 사림파의 등장이라는 ‘외재적 요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내재적 요인’, 즉 성종이 인욕(人欲)에 물든 정치가들로 하여금 스스로의 내면을 돌아보도록 하는 ‘철학적’ 설득을 수행했다는 점을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교화를 이상으로 하는 유교정치 속에서 철인군주 성종의 설득적 리더십과 유교가 추구하는 교화의 본질로써 영혼치유의 정치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성종(Seongjong), 철인왕(philosopher king), 설득적 리더십(persuasive leadership), 진퇴논쟁(debates about advance and retreat), 교화(reclamation)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illuminate philosopher king Seongjong’s persuasive leadership through the debates of advance and retreat in his reign. Seongjong’s era can be distinguished by the Sarim(士林)’s entrance on the political stage, who criticized the Hungu(勳舊) and pursued new kinds of politics of reclamation or enlightenment. Former studies have explained that this new politics was made by the outer factor, namely Sarim’s emergence in politics. But this paper tries to focus on the inner factor, namely Seongjong’ efforts and ‘philosophical’ persuasion to make his subjects consider their corrupted mind and take care of their souls. Through- out this analysis, we can see Seongjong’ persuasive leadership as philosopher king and the politics of soul-care as the essence of confucian reclamation.

keywords
성종(Seongjong), 철인왕(philosopher king), 설득적 리더십(persuasive leadership), 진퇴논쟁(debates about advance and retreat), 교화(reclamation)


참고문헌

1

近思錄 , 論語 , 孟子 , 四書集註 , 書經 , 成宗實錄 , 朱子語類 .

2

강광식, 유교 정치사상의 한국적 변용 . 백산서당, 2009.

3

김미영, 「성리학에서 ‘공적 합리성’의 연원 군자 / 소인 담론을 중심으로」. 동서철학의 공적합리성 , 철학과현실사, 2005, 49 71쪽.

4

김범, 사화와 반정의 시대 . 역사비평사, 2007.

5

김용흠, 「조선전기 훈구·사림의 갈등과 그 정치사상적 함의」. 조선건국과 경국대전체제의 성립 , 혜안, 2004, 359 413쪽.

6

민현구, 「조선양반국가의 성립과 발전」. 한국사의 재조명 ,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140 187쪽.

7

蕭公權, 최명·손문호 역, 중국정치사상사 ,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8

와타나베 히로시, 「“중용”과 행복: 주자학자들의 모색」. 민족주의, 평화, 중용 , 까치 2007, 257 283쪽.

9

이승환,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 고려대학교출판부, 2001.

10

장현근, 「지식기반의 왕도정치」. 정치사상연구 제13집 2호, 2007, 78 101쪽.

11

정만조, 「16세기 사림계 관료의 붕당론」. 한국학논총 12, 1989, 79 129쪽.

12

지두환, 성종대왕과 친인척 . 역사문화, 2007.

13

진덕규, 한국정치의 역사적 기원 . 지식산업사, 2002.

14

최승희, 조선초기 정치사연구 . 지식산업사, 2002.

15

한영우, 「조선 건국과 사대부」. 한국사특강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127 145쪽.

16

Plato. Plato Complete Works , John M. Cooper & D. S. Hutchinson eds., Indianapolis,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97.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